220 likes | 366 Views
유닉스 명령어 모음집. 유닉스의 역사. 1969 년 미국의 벨연구소 (Ken Thompson) 에 의해 개발. 유닉스 명령어. $ or % : prompt sign $ % $ <Ctrl+D> : log out login $ Passwd : 암호의 설정과 변경. $ date : 요일 , 월 , 일 , 시간 , 년도정보를 표시 $ date Mon Dec 4 08:00 EST 2000 $ who : login 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단말기
E N D
유닉스 명령어 모음집
유닉스의 역사 • 1969년 미국의 벨연구소 (Ken Thompson)에 의해 개발
유닉스 명령어 • $ or % : prompt sign $ % • $ <Ctrl+D> : log out login • $ Passwd : 암호의 설정과 변경
$ date : 요일,월,일,시간,년도정보를 표시 $ date Mon Dec 4 08:00 EST 2000 • $ who : login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단말기 번호의 순서에 따라 열거해 준다. • $ Cal 12 2000 : 2000년 12월 달력을 표시해 준다.
$ Ls : 디렉토리 내용을 열거함 (인수 –l : 파일 및 디렉토리의 구분,허가내용, 소유자,크기,변경시간등의 표시) $ ls –l total 3 drwxr- xr-x 3 lee 128 Dec 3 14:00 ex - rw- r- -r- - 1 lee 92 Dec 3 14:00 list drwxrwxr-x 2 lee 48 Dec 3 14:00 sex
drwxrwxr-x 2 lee 48 Dec 3 14:00 sex 0123456789 0 : 디렉토리와 파일의 구분 123 : 소유자 허가내용 456 : 소유자가 속한 그룹의 허가내용 789 : 기타의 사용자 허가내용 (r:읽기 허용, w:쓰기 허용, x:실행 허용, -:허용 안함)
$ chmod : 액세스에 대한 허가 상태를 변경 할 수 있다. 1. 기호 표현법 • [ugoa] [+-] [rwx] [누구에게] [허가,불허가] [읽기/쓰기/실행] (u:소유자, g:소유자가 속한 그룹, o:이외의 사용자, a:모든 사용자) ◆ sex 디렉토리를 다른 사람이 읽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는….^^; • $ ls –l sex drwxrwxr-x 2 lee 48 Dec 3 14:00 sex • $ chmod go-r sex • $ ls –l sex drwx------ 2 lee 48 Dec 3 14:00 sex
2. 8진수 표현법: 8진숫자를 논리연산자 or에 의해 결합하여 사용 • 0400 = 소유자에게 읽기허용 • 0200 = 소유자에게 쓰기허용 • 0100 = 소유자에게 실행허용 • 0040 = 그룹에 읽기 허용 • 0020 = 그룹에 쓰기 허용 • 0010 = 그룹에 실행 허용 • 0004 = 그 외 다른 사용자에게 읽기 허용 • 0002 = 그 외 다른 사용자에게 쓰기 허용 • 0001 = 그 외 다른 사용자에게 실행 허용
위와 똑같이 sex 디렉토리를 다른 사람이 읽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는…. • $ ls –l sex drwxrwxr-x 2 lee 48 Dec 3 14:00 sex • $ chmod 0700 sex • $ ls –l sex drwx------ 2 lee 48 Dec 3 14:00 sex
$ Man : 명령어들의 사용 지침서 $ man cal cal 명령어의 사용방법을 알려줌 l b : 한화면 뒤로 이동 l f : 한화면 앞으로 이동 l q : man 명령어를 빠져나감. • # : 명령어 입력의 교정시 사용, 바로 앞의 글자를 지움 $ whp#oanu##mi = $ whoami 누구의 이름으로 로그인 되어 있나 알려줌
$ @ : 입력한 행의 line을 전부 지울 때 사용 • $ pwd :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를 표시(dos의 dir과 유사) • $ cd : 디렉토리의 이동 • $ mkdir : 디렉토리의 생성(dos의 md) • $ rmdir : 디렉토리의 제거(dos의 rd)
$ cat a1 : a1이라는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dos의 type) • $ cat a1 a2 : a1,a2라는 파일을 연속해서 화면에 출력 • $ cp : 복사명령(도스의 copy) $ cp b1 b2 : b1파일을 새로운 b2파일에 복사한다(새파일 생성) $ cp –r B1 B2 : B1디렉토리를 B2디렉토리로 복사한다.
$ mv이동명령(도스의 move) $ mv c1 c2 : c1파일을 c2파일로 이동 (c1은 지워짐, 다시말해 파일명 바꾸기임) • $ rm d1 : d1파일을 지움(도스의 del) • $ stty : 단말기 특성의 현재 설정된 내용을 출력 $ stty all • <del>, <break> : 현재 수행중인 작업의 중지
$ ctrl+s : 화면에 출력중인 것을 일시적으로 멈춤 (도스의 pause) • $ ctrl+q : 다시 시작함(도스의 esc) • $ ctrl+d : 파일의 끝을 표시 • $ ed e1 : e1파일을 편집하거나 새로 생성 (행 편집기) • $ vi f1 : f1파일을 편집하거나 새로 생성 (화면 편집기)
$ mail i.d : i.d로 메일을 보낼경우 $ mail younkil 여기다가 메일내용을 쓰고 마지막에 밑에꺼를 누릅니다. <ctrl+d> • $ mail i.d < file : file내용을 보낼경우 • $ mail : mail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write kim : 계정이름 kim으로 로그인 되어있는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낸다. • Kim의 단말기에 메시지가 나타나고 kim이 $write 상대방i.d를 치면 서로 대화할 수 있다, 끝낼때는 <ctrl+d> • $ Mesg n : 단말기가 메시지를 접수하지 못하게 하는 명령어 • $ Mesg y : 단말기가 메시지를 접수하게 하는 명령어
$ Wall : 시스템 관리자가 주로 모든 단말기에 메시지를 보내는 명령어 $ wall 여기다가 내용을 적고 밑에꺼 치면 된다. <ctrl+d> • $ uucp source destination : source컴에서destination 컴으로의 파일복사
$ compress : UNIX상에서 압축을 하는 명령어로서 압축후 .Z라는 화일을 생성시킨다. $ compress filename1 : filename1을 압축 $ uncompress filename1 : filename1을 압축풀기 • $ finger : who보다 사용자의 실제이름,유휴시간,사무실이름 등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제공 주로 놀고있는 사용자를 파악하는데 쓰임 ^^;
$ w : 시스템 사용자 리스트와 cpu사용시간등에 관한 정보 출력 • $ ps : 시스템 내에서 현재 작업중인 프로세스의 리스트 출력 • $ du : 디렉토리내의 파일들이 차지하고 있는 디스크의 용량을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