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796 Views
존엄사. 1 학년 10 반 3 조 도덕 ppt 발표 자료. 1 학년 10 반 3 조 도덕 ppt 발표 자료. 11012 모대성 (ppt). 11003 김국현 ( 발표 ). 11008 김진수 ( 리더 ). 11010 김현중 ( 자료정리 ). 이제 시작하겠습니다 !. 목 차. 존엄사의 의미 인정기준 존엄사의 찬반의견 존엄사의 논란 다른 나라들의 존엄사에 대한 입장. 존엄사의 의미. * 존엄사의 의미란 ? * 소극적인 안락사 =( 존엄사 )
E N D
존엄사 1학년 10반 3조 도덕 ppt발표 자료 1학년 10반 3조 도덕 ppt발표 자료 11012 모대성 (ppt) 11003 김국현 (발표) 11008 김진수 (리더) 11010 김현중 (자료정리) 이제 시작하겠습니다!
목차 • 존엄사의 의미 • 인정기준 • 존엄사의 찬반의견 • 존엄사의 논란 • 다른 나라들의 존엄사에 대한 입장
존엄사의 의미 *존엄사의 의미란? *소극적인 안락사=(존엄사) 환자가 최신의 의학적 치료를 다하였음에도 회복 불가능한 사망단계에서 질병의 호전을 목적이 아닌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질병에 의한 자연적 죽음을 받아들임으로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품위를 지키며 죽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네이버 - 지식사전
인정기준 • 첫째,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 둘째,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연명치료의 거부, 중단에 관한 의사를 밝혔어야 합니다. • 셋째, 환자의 평소의 가치관에 비추어 본다고 하더라도 환자는 연명치료를 중단하였을 것이라는 판단이 있어야 합니다. *즉, 환자의 상태가 매우 심각하여 회복이 불가능 하거나 환자가 존엄사 하기를 원했다면 존엄사가 인정됩니다. [출처]네이버 지식인
존엄사 찬성의견 • 전혀 개선될 의지가 없는 무의미한 생명의 연속은 그 사람에게 전혀 도움이 안 된다. 병원의 이익창출의 도구일 뿐, 생명존엄에 대해서 병원이 주장하는 것은 구실에 불과하다. 본인이 활동과 의사표현이 가능할 때, 생명유지장치에 대해서 거부했다면 생명유지장치를 해서는 안 된다. • 인공호흡기를 비롯한 생명 유지 장치에 의존해 생명을 연장하고 있는 말기 중환자들의 삶의 질은 형편없이 낮다. • 인간 생명이 신성 불가침 하다는 원칙을 내세워 우리가 이들로부터 품위 있는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빼앗는다면 이는 매우 잘못된 것이다.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docId=43064369&qb=7KG07JeE7IKsIOywrOyEseydmOqyrA==&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8cqSF5Y7vlssbabRZ4ssc--187203&sid=T8Hpv@jCwU8AAAF5Fco
존엄사 찬성의견 • 인간의 자기결정권 (죽음의 방법을 선택할 권리) - 인간에 대한 존엄의 핵심은 자유로운 자기결정에 있다. 이러한 인간의 자기결정권은 삶과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에도 행사할 수 있으며, 누구나 자기의 생의 종말은 자기의 자유로운 의사에 의하여 결정할 자유가 보장되어 있다. - 죽음의 방법을 선택할 권리는 누구에게나 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말기 암 환자 80%가 집에서 죽음을 맞길 원한다고 한다. 이러한 환자들의 의견을 존중해주어야 한다. • 대한민국 헌법 10조에는 행복추구권에 대한 항목을 명시하고 있다. 모든 국민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에 합당한 서비스를 받아야 하며 죽음에 있어서도 개인이 품위 있는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 적은 확률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에게 기회비용을 낭비한다. [출처]- http://www.cyworld.com/hhbbini/10514734
존엄사의 반대의견 • 존엄사를 반대하는 이유는 인간의 생명은 소중한 것인데 그 목숨을 타인에 의도 하에 절단 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존엄사를 반대하는 이유는 인간의 목숨은 돈으로 가치를 매길 수 없다. 왜냐하면 돈이 많이 든다고 인간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비윤리적이고 자연의 섭리에 어긋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 존엄사를 반대하는 이유는 존엄사는 자신의 목숨을 제 명 전에 끊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거의 자살이라고도 봐도 무방하다.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docId=59344483&qb=7KG07JeE7IKsIOuwmOuMgOydmOqyr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8OAXU5Y7tVssvV9%2Bs8ssc--053745&sid=T8diuUozx08AADs91vo
존엄사의 반대의견 • 존엄사를 반대하는 이유는 존엄사는 생명을 포기하는 행위이다. 언젠가 환자가 기적적으로 깨어날 거라는 희망을 품은 가족들은 존엄사를 원하지 않는다. 그런데 존엄사를 법적으로 인정하게 된다면 장애인, 노인과 같은 약자들이 먼저 죽게 될 것이다. 결국 이들에게는 존엄사는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니라 의무인 것이다. 이처럼 노인과 같은 약자들 또한 생명을 존중하여 존엄사와 같은 행위를 법적으로 막아야 한다. • 존엄사를 반대하는 이유는 안락사가 허용되는 경우 환자 보호자들이 이를 악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현재는 핵가족화가 되어가고 있어서 가족은 점점 이기적이게 되는데 이것이 악용되지 않으리라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201&docId=100015206&qb=7KG07JeE7IKsIOuwmOuMgOydmOqyrA==&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sp=1&pid=g8OAXU5Y7tVssvV9+s8ssc--053745&sid=T8diuUozx08AADs91vo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0211&docId=49180570&qb=7KG07JeE7IKsIOuwmOuMgOydmOqyrA==&enc=utf8§ion=kin&rank=10&search_sort=0&spq=0&sp=1
존엄사의 논란 세브란스 병원 존엄사 김 할머니 진료비청구 소송 제기 • 유인물2 참고
위 기사를 읽은 후에 나의 생각 사람의 생명을 지키고 살려야 할 의사들이 오로지 돈을 받기 위해 법원에 김 할머니의 죽음으로 슬픔에 빠진 유가족을 대상으로 소송을 낸 것은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런 사건이 터진 이유는 현대인들의 물질 만능적 가치 주의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로 인한 사건으로 현대 사회의 사람들은 이를 보며 반성하고 돈이나 물질적인 가치로 사람을 판단하지 않고 진심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존중해줬으면 한다.
다른 나라들의 존엄사에 대한 입장 • 미국: -미국 에서는 오래 전 부터 안락사에 관한 많은 논쟁이 있어왔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미국은 주 (州) 마다 차이가 있지만 40개 주가 환자가족의 동의 등 엄격한 요건 아래 소극적 안락사(존엄사) 행위는 대체로 인정하나 적극적 안락사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영국: -19세기 말부터 안락사에 대한 논쟁을 벌였고, 안락사를 합법화하려는 입법제안이 몇 차례 있었으나 지금도 법률로는 안락사가 허용되지 않고 있다. -다만 제한적으로 존엄사를 인정하는 판결이 선고되고 있어 소극적 의미의 안락사는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 호주: -호주는 96년 안락사를 법제화했다가 6개월 만에 폐기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호주연방 8개 주 가운데 3개 주가 소극적 안락사를 법으로 허용하고 있고 나머지 주들도 관습법상 이를 인정하고 있다. • 일본: -95년 요코하마 (橫濱) 법원의 판례에 따라 환자의 참기 힘든 고통, 죽음의 임박성, 본인의 의사, 고통제거수단의 유무 등의 기준에 따라 융통성을 발휘하고 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7&dirId=710&docId=25567121&qb=7Zi47Iqk7ZS87Iqk7KCc64+E&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8tHJ35Y7vlssbaSZvwssc--021316&sid=T8B572JywE8AAG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THE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