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863 Views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한국수출입은행 최영환 부행장. 2010. 2. 26. 목 차. 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 수출 ! 우리나라 수출의 문제점. 경제성장기여도. 대외의존도. 1.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 수출 !. I. II. II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E N D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한국수출입은행 최영환 부행장 2010. 2. 26
목 차 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수출! • 우리나라 수출의 문제점
경제성장기여도 대외의존도 1.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수출! I II II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 우리 경제의 대외의존도는 2005년부터 꾸준히 상승, 2008년에는 92.3%에 이름 • 2000~2008년 9년간 수출의 경제성장기여율은 73% 92.3% 기타(27%) 수출(73%) 2005 2006 2007 2008 자료 : 한국은행, IMF
수출실적의 대기업 집중 현상 초래 중소중견기업는 전체 기업의 99.87%를 차지하고 있지만 수출비중은 39.4%에 불과 대기업 편중의 우리나라 수출구조 2. 우리나라 수출의 문제점 I II II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1) 수출구조 양극화에 따른 기업생태계 불안정화 대기업 0.13% 60.59% 기 업 비 중 수 출 비 중 중견기업 0.32% 8.91% 중소기업 99.55% 30.50% 자료: 중소기업중앙회, 기은경제연구소, 한국산업기술재단, 2007년 기준
2. 우리나라 수출의 문제점 I II II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2)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도 저하 • 대기업 주도의 수출 외형 확대에도 불구하고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도 악화 • 수출고용유발계수 : 26.2명(’95) 7.1명(’07) • 수출부가가치유발계수 : 0.698(’95) 0.533(’07) (명) (%) (단위: 억불) 수출부가가치유발계수 VS. 수출고용유발계수 1995 2000 2005 2006 2007 1995 2000 2005 2006 2007 자료: 통계청, IMF, 한국은행, 중소기업중앙회, A.T. Kearney분석
2. 우리나라 수출의 문제점 I II III 우리나라 수출현황과 문제점 (3) 세계시장점유율 정체 • ’88년 최초로 세계시장점유율 2%대 진입 후 ’08년까지 20년 동안 “2%덫”에서 정체 • 최종재를 생산하는 대기업 위주 수출정책으로 부품소재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의 기술개발 중단이 그 원인 • 세계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환율상승 등에 따른 가격경쟁력 강화로 ’09년 세계시장점유율 3%대 최초 진입 3.0% “2%덫” 1988 1995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상 자료 : 한국은행, IMF, 현대경제연구원
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 독일의 세계 수출 1위 유지 비결 • 한국형 히든챔피언의 정의 •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 효과
한국vs. 독일 국가별 수출순위 1. 독일의 세계 수출 1위국 유지 비결 I II I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 독일은 2002~08년 7년간 세계 수출 1위 차지 • 독일의 비결은 • 독일의 총수출 중 히든챔피언이 차지하는 비중은 26.1% • 우리나라의 경우 25개 히든챔피언이 고작 0.35% 차지 1000개가 넘는 히든챔피언의 힘! (2002~08년 평균수출액, 단위: 10억불) 독일 26.1% 1000 개사 25개사 0.35% 히든챔피언수 히든챔피언 수출비중 한국
1. 독일의 세계 수출 1위국 유지 비결 I II I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Who are “Hidden Champions?” 세계시장 1~3위이고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매출액 40억불 이하 기업 한 국가의 수출은 소수의 대기업에 의해 결정된다는 통념과 반대로 수출능력이 뛰어난 중간규모의 회사(히든챔피언)들이 많아야 증대한다. 헤르만 지몬 (히든챔피언의 저자)
2. 한국형 히든챔피언의 정의 I II I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수출 1억불 이상이고 지속적인 세계시장 지배력을 갖춘 글로벌 강소기업 • 2008년 기준 수출 1억불 이상 중소중견기업은 118개뿐 • 평균업력은 절반이고 해외법인수는 약 1/6에 불과하지만 매출평균 및 수출평균은 독일에 비해 우월 독일형 히든챔피언 수출 1억불이상 중소중견기업주] 주] KIS-VALUE에서 2008년도 수출실적이 1억불이 넘는 업체 (단,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제외)자료 : KIS-VALUE, A.T. Kearney 분석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흐름 3.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 효과 I II I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히든챔피언 육성 효과 기업생태계 및 수출구조 개선 1 • 기업생태계의 허리 보강 • 대기업 편향 수출구조 개선 무역수지 및 외화가득률 개선 2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품의 수출 증대 • 부품소재의 국산화에 따른 수입 대체 2 고용창출과 건전한 소비 진작 수출 증가 (수입대체) 3 1 중소중견 기업 글로벌 경쟁력강화 5 • 기업성장에 따른 신규 고용 증가 (중소중견기업 고용인력비중 : 88.4%) • 고용에 기초한 건전한 소비진작 4 기업 성장 고용 증가 소비 증가 GDP 증가 국내 매출 증가 3 투자 증가 투자확대에 따른 내수경제 활성화 4 • 중소기업 부가가치 창출비중 : 50.6% 기업내부 역량강화 국가브랜드와 국가위상 제고 5 • 히든챔피언 증가로 국가브랜드 강화 • 지속가능성장에 따른 국가위상 향상 자료 : 한국은행, 중소기업연합회, A.T. Kearney 분석
히든챔피언 300개사를 육성한다면? 3.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 효과 I II III 히든챔피언 육성의 필요성 예상 국민경제 파급효과1) 수 출 증 대 (백만불) • 2008 대한민국 전체 수출액의 14% 규모 480억불2) 수출증대 고 용 창 출 • 2008 고용인력의 2% • 2008 실업자수의 70% 49만명 GDP증 대 • 2008 우리나라 GDP의 30% 규모 256억불3) 세 수 창 출 • 2008 중소기업 법인세 수입의 약 6% 규모 5천억원4) 주) 1. 2011~20년 10년간 경제 파급효과 누적기준 2. 2008 선박 수출 규모 (432억불)의 약 1.1배 3. 2008 정보통신 산업규모와 유사 4. 수출 5천만불 이상 기업의 2006-07 평균 당기순익률(=3.3%) 적용 자료 : 한국은행, 중소기업연합회, A.T. Kearney 분석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 육성사업 실행절차 • 육성대상기업 선정 • 히든챔피언 마스터플랜 수립 • 패키지형 서비스 제공 • 체계적인 성과관리 • 시범사업(pilot project) 실시 • 2010년도 사업계획 • 육성사업의 기대효과
기업 신청 심사 및 육성대상선정 중장기사업계획 진단/수립지원 맞춤형 서비스플랜 1. 육성사업 실행절차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실행절차 1 2 3 4 5 6 서비스 제공 성과 관리 1 기업신청 또는 여신부점 추천 기술력, 성장잠재력, CEO역량, 재무안정성 심사 후 선정위원회에서 심사결과 검토 후 육성대상기업 선정 2 기업별로 지정된 육성전문가는 중장기사업계획 진단 또는 부재 시 수립 지원 등 밀착형 서비스 제공 3 중장기사업계획에 따른 기업의 성장단계별 니즈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플랜 수립 4 국내외 전문기관과의 협업시스템 구축을 통한 필요 서비스 적기 제공 5 6 육성대상기업에 대한 성과평가 및 서비스 지원내용에 대한 피드백(feedback)
2. 육성대상기업 선정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1) 신청자격 : 수출유망 중소ㆍ중견기업 •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외감법인에 한해 신청접수 • 단, 공정위에서 지정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기업 제외 (2)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이 높은 기업 우선 고려 • 세계일류상품인증, 신기술 인증, 특허 등 기술력이 높은 기업 • 녹색신성장동력 산업, 수입대체용 부품소재산업 등 국가전략산업에 속한 기업 또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높은 기업 • CEO의 히든챔피언이 되겠다는 성장의지가 강한 기업 • CEO의 기술이해도, 명확한 비전(vision)과 체계적인 실행전략 등
2. 육성대상기업 선정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3) 선정기준 및 선정위원회 한국형 히든챔피언 적합도 (80%) 재무건전성 (20%) 기술력 성장 가능성 CEO 역량 재무 안정성 • 기술개발투자 • 특허보유건수 • 기술개발 추진 능력 • 기술혁신성 등 • 세계시장점유율 • 시장성장성 • 수출해외투자 등 글로벌화 역량 • 중장기사업계획 등 • 기술이해도 • 성장의지 • 동종업종경험 • 관리능력 등 • 수출입은행 신용평가시스템 재무등급 40% 30% 10% 20% 평가점수 60점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위원회에서 최종선정
3. 히든챔피언 마스터플랜 수립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 히든챔피언 마스터플랜 중장기 사업계획 맞춤형 서비스플랜 맞춤형 서비스플랜 • 육성전문가는 중장기사업계획에 따른 성장단계별 니즈(needs) 파악 맞춤형 패키지 서비스 설계 • 육성대상기업과 수출입은행 간 비밀유지협약(NDA) 체결 • CEO와 수은경영진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 실행력 제고 중장기사업계획 • 성장전략워크샵을 통한 중장기사업계획 공동 개발 (육성대상기업 CFO + 육성전문가) • 중장기사업계획은 “비전+전략+실행방안”으로 구성
4. 패키지형 서비스 제공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1) 금융서비스 히든챔피언으로의 성장활동(value chain) 전반에 걸친 기업 금융수요에 맞게 설계된 금융서비스 일괄 제공 해외시장개척 • 해외시장개척자금* • 해외투자자금(M&A금융 포함) • 수출팩토링 및 수출환어음 매입 • 수출거래 이행성보증 등 제 작 • 포괄수출자금 • 수출제작자금 • 수입자금 등 시설확충 • 시설증설용 수출자금 기술개발 • 기술개발자금* • 히든챔피언 펀드* * 표시된 자금은 신규서비스로 도입예정
4. 패키지형 서비스 제공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2) 비금융서비스 외부 전문기관과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업의 성장활동에 필요한 비금융서비스 제공 해외시장개척 • 해외시장진출전략 • 해외 Buyer 주선 • 해외시장조사 • 현지 전문가(회계사, 변호사 등) 주선 • Country Risk 등 현지국 투자정보 등 기술개발 • 기술자문 및 평가 • 산학연 연계지원 • 정책자금주선 및 컨설팅 경영역량향상 • 경영컨설팅 • 재무(환관리)컨설팅 • 필요인력지원 등
4. 패키지형 서비스 제공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개방형 협업시스템 구축을 통한 금융비금융 서비스 일괄 패키지 지원 기술개발자금 기술자문/평가 수출금융/시장개척자금 시장조사/Buyer 주선 기술개발 Innovation Factory 해외시장개척 Global Frontier • 정부 정책자금 연계 • 국내외 기술연구소 수입자금/해외자원개발 구매자문 시설확충자금 경영컨설팅/환관리컨설팅 경영자원확충 Augmentations toResources 원자재 조달 Strategic Sourcer • 구매대행 전문회사 • 현지 구매전문 컨설팅 업체 • 국내외 컨설팅 업체 자료: Benchmarking Study, 각 업체 인터뷰, A.T. Kearney 분석
사업계획 달성 사업계획 미달성 5. 체계적인 성과관리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1) 1년 단위 사업계획 달성 여부 등 성과평가 계속 지원 마스터플랜 수정 육성대상기업 제외 (2)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한 피드백(feedback) • 육성대상기업을 대상으로 1년 단위 만족도 설문조사 실시 •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육성사업모델 개선 노력
6. 시범사업(pilot project) 실시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12개 시범사업 대상기업의 특징 (1) 높은 수출비중 • 평균매출액 648억원, 평균수출액 464억원 평균수출비중 73%로 중견기업 평균수출비중(13.3%)의 5.5배 (2) 성장잠재력이 높은 산업에 포진 • 12개 업체 중 50%인 6개 업체가 녹색신성장산업에 포진 (3) 높은 기술력과 R&D투자 • 평균 보유 특허건수 26건 • 평균 매출액 대비 R&D투자비중 7.17%로 중소기업 평균(2.06%)과 중견기업 평균(1.3%)의 각각 3.5배와 5.5배 (4) 시범사업 대상기업 중 중견기업 25% 차지 • 12개 업체 중 25%인 3개 업체가 중견기업으로 평균수출비중 79%
6. 시범사업(pilot project) 실시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시범사업 대상기업에 대한 지원현황 비금융서비스 금융서비스 총 251억원 지원 • 지원업체수 : 총 8개 업체 • 기간 : 09.11.01~10.02.22 • 환위험진단 및 컨설팅 • 국제계약 법률자문 • 덤핑과세에 관한 법률자문 • 중장기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워크샵 실시(12개 기업 대상) • 현재 12개 기업의 마스터플랜 수립 중
7. 2010년도 사업계획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계획 향후 10년간 연평균 2조원씩 총 20조원을 지원하여 한국형 히든챔피언 300개사 육성 2010년도 사업계획 육성대상기업 100개사 추가 선정 총 1조원 지원 목표 < 2010년도 육성대상기업 선정 계획 > 3차 선정 (40개사) 2차 선정 (30개사) 1차 선정 (30개사) (누적 : 100개사) (누적 : 60개사) (누적 : 30개사)
8. 육성사업의 기대 효과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기업의 성장 경로 중소기업 중견기업 글로벌 강소기업 (히든챔피언)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의 핵심 사업모델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고 이들 중견기업들이 글로벌 강소기업, 즉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하도록 지원 기업생태계 활성화로 건전하고 지속적인 성장 기반 마련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이라는 국책은행으로서 설립 목적 달성
8. 육성사업의 기대 효과 I II III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1) 중견기업 저변 확대로 기업 생태계의 선진화 • 국내 대기업 하청 중소기업의 글로벌 중견기업으로의 성장 대기업에 대한 협상력 제고 및 독자 기술개발 추진 가속화 (2) 세계 최우량 부품소재를 공급하는 중견기업 육성 • 국내 대기업의 경쟁력 지속 강화 뒷받침 (3) 중견기업의 가교 역할 강화로 상생모델 정착 • 중견기업은 중소기업이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거쳐야 할 가교로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상생모델 정착 • 중견기업은 “중소기업의 꿈”이자 “대기업의 세계 경쟁력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