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313 Views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접근 저해 요소. 백남중. 저작툴 문제. 저작 도구의 다양화 새로운 콘텐츠 제작에의 노력 기본적으로 시장 점유에의 목적 장애인 사용자를 위한 고려 부족. 개발자. 접근성이 보장안된 저작툴 사용의 어려움 신기술을 보조공학기기에의 연계 어려움 개인적인 문제. 보조공학기기 문제. 기본적으로 보조공학기기 기술과 신기술은 격차가 있다 신기술 접목을 위한 인적 , 경제적 어려움. 사용자 문제. 기본적인 웹 활용을 위한 지식 부족 새로운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육 부족. 운영체제 문제.
E N D
저작툴 문제 • 저작 도구의 다양화 • 새로운 콘텐츠 제작에의 노력 • 기본적으로 시장 점유에의 목적 • 장애인 사용자를 위한 고려 부족
개발자 • 접근성이 보장안된 저작툴 사용의 어려움 • 신기술을 보조공학기기에의 연계 어려움 • 개인적인 문제
보조공학기기 문제 • 기본적으로 보조공학기기 기술과 신기술은 격차가 있다 • 신기술 접목을 위한 인적, 경제적 어려움
사용자 문제 • 기본적인 웹 활용을 위한 지식 부족 • 새로운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육 부족
운영체제 문제 • MS의 경우 1990년 Windows 3.0이 출시된 이후 7년 후인 1997년에 MSAA 발표 • 현재 국내 스크린 리더의 경우 Windows를 제외한 다른 운영체제는 전혀 접근 못함.
브라우저 문제 • Internet Explorer만 제대로 접근 • FireFox의 경우 탭 키 이동시 음성 출력, 링크나 콘트롤 이외의 텍스트 등은 접근 불가. 스크린 리더의 가상커서 키 작동 안함 • Opera의 경우 접근 안됨
위젯에의 접근 • Vista의 가젯 접근 불가능 • 인터넷 위젯 프로그램 접근 불가능
RIA에의 접근 • RIA 접근을 위한 ARIA(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 발표 • 기본적인 콘트롤 접근 불가
센스리더의 미디어 제어 기능 • 센스리더가 미디어 제어 기능 제공 • Ctrl+[ 정지 Ctrl+] 재생 • 기본적으로 동영상 제작시 재생, 정지에 관한 콘트롤을 개발자가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스크린 리더가 사용자(시각장애인)의 사용성 도모를 위해 제공
HTML5의 Structured Mode • Html 5에서는 문서의 구조화를 위해 Structured Mode를 제공. • Structured Mode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스크린 리더는 문서 내의 Raw Text를 이용 • 보조공학기기 업체에게 위의 내용을 포함하기 위하여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