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0 likes | 1.04k Views
국내 돼지고기 시장 현황. 양 형 조 ( 사 )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목 차. 제 1 장 . 국내 돼지고기 수급 현황 제 2 장 . 국내 돼지고기 가격 추이 제 3 장 . 국내 FTA 추진 현황과 국내 양돈업 제 4 장 . 국내외 돼지고기 시장 전망. 제 1 장 . 국내 돼지고기 수급현황 . 1 . 돼지 사육현황 가 . 연도별 사육두수 . O ’ 03 년 이후 감소 추세 -> ’ 06. 12 월이후 증가
E N D
국내 돼지고기 시장 현황 양 형 조 (사)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목 차 제 1 장. 국내 돼지고기 수급현황 제 2 장. 국내 돼지고기 가격 추이 제3장. 국내 FTA추진 현황과 국내 양돈업 제 4 장. 국내외 돼지고기 시장 전망
제 1장. 국내 돼지고기 수급현황 1. 돼지 사육현황 가. 연도별 사육두수 O ’03년 이후 감소 추세 -> ’06. 12월이후 증가 O 사육두수 감소 요인( 환경오염, 질병발생), 두수 증가(가격상승)
사육농가 사육두수
나. 최근 (’00년 이후) 돼지 사육두수 추이 O ’00년 대일 수출 중단이후에도 사육두수 증가 O ’03년 12월 이후 사육두수 감소 추세 : 사육두수 감소 (+대체수요)-> 가격상승, 품질저하 -> 수입량 증가
2. 돼지고기 소비 현황 가. 연도별 돼지고기 소비추이 O 돼지고기 소비량 증가 : 17.4Kg(’05) -> 18.1Kg(’06) - 미국산 쇠고기 수입 중단지속에 대한 대체 효과 O 수입 돼지고기의 소비 비중 : 19.5%(’05) -> 21.7%(’06) - 미산 쇠고기 수입중단에 따른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 (단위 : 천톤)
3. 돼지고기 수출 추이 가. 연도별 돼지고기 수출 경향 o 돼지고기 최대 수출시기 : ’04-’99년 (’98년 88,306톤) o 수출 가능국(현) : 필리핀, 러시아, 몽골 o 수출 개척 대상국 : 태국, 대만, 홍콩, 싱가폴 등 o ’00년(대일 수출중단)이후 돼지고기 수출 : 저가 위주 수출 o ’04년 이후 돼지고기 수출 경향(검역기준) - 국내가격 상승으로 제한적(부산물 중심) - ’06년 러시아 수출 확대 (단위 : 톤)
나. 국내 돼지고기 국가별 수출실적(’06년, 통관기준) (단위: 톤, 천$, $/kg)
다. 월별 돼지고기 수출경향 o 저지방 위주(특히 등심, 후지) 수출 지향 o ’04년이후 지육가격 상승으로 수출 제한, 수출대상국의 경제 상황. (단위 : 톤)
4. 돼지고기 수입추이가 . 월별 돈육 수입 실적 (단위 : 톤)
나. 국가별 수입실적 o 수입국의 다변화 : 북미산 증가, 유럽산 감소 o 북미산 증가 요인 : 수입업체 증가(쇠고기 대체 수입) o유럽산 감소 : 가격 상승 및 생산 물량 감소
다 . 연도별, 부위별 수입 실적 (단위 : 톤)
가. 국내산 돼지고기 부위별 재고추이 5. 돼지고기 재고량
나. 국내 수입 돈육 부위별 재고량 추이(추정치) (단위: 톤)
1. 돼지 가격 동향가. 연도별 돼지가격 제 2 장. 국내 돼지가격 추이
o 월별 지육가격 추이 생산비 (3,200원선)
다. ’06년이후 국내 돼지 지육 및 유통가격 특징 o 출하두수 감소율에도 불구하고 지육가격 상승율이 저조. o 부위별 소비 경향 변화 가시화 - 삼겹살을 제외하고 냉장육 판매 부진 : 품질 악화 주 요인
라. 돼지고기 부위별 유통가격 (단위 : 원/kg)
3. 돼지고기 지육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상호 관계
4.국내 돼지고기 유통여건의 변화 가. 세계 육류 교류 확대(FTA) 나. 국내 생산기반 위축(질병 , 생산성 저하, 생산비 인상 등) 다. 육류 산업의 구조조정 필요성 대두 O 도축장 구조 조정 O 도축세 폐지 O 육가공산업(1차, 2차 산업)의 위축 라. 소비자의 수입육에 대한 인식 제고 마. 육류 판매 마케팅의 다양화 바. 국내 육류 시장변화 : 부산물 가격하락, 수익성 저하 등
제 3 장. 국내 FTA 추진 현황과 양돈업 1. 우리 나라 FTA 추진 가. FTA협상 결과 및 진행현황
2. 한.칠레 FTA 추진결과 가. 한. 칠레 FTA 관세 철폐 이행계획 나. 한. 칠레 FTA 이후 돼지고기 수입실적(단위 : 톤)
O 칠레의 주요 수출국 및 실적(’06년) (단위 : 톤)
가. 주요국가와의 FTA에 따른 축산물에 미치는 영향 정도 3. FTA 체결시 국내 양돈업에 미치는 영향 * 참 조 : # 영향 강함, o 중간 정도 영향, - 영향없음.* 자료 : 농촌경제연구원
나. 한미 FTA 타결 내용 o 냉장 삼겹살과 기타 (갈비, 목살 등) : 10년 폐지 - 10년차 까지 SG발동 - SG발동 물량 : 8,250톤 -> 13,938톤(매년 복리 6% 증량) SG발동 세율 : 100%(1- 5년차) (6-10년차) : 70% ->50%(매년 5% 삭감) o 냉장육(도체와 이분도체, 전후지) 냉동육, 식용 설육, 돼지고기 가공품 2014년 1월 1일에 폐지 o 소시지 : 5년 폐지
O 미국산 돼지고기의 냉장육 및 냉동육 수입량 (’06년 기준)
o 한국산과 미국산의 지육가격 추이(’06년-’07년)
라. 한. 미 FTA 체결에 따른 양돈산업에 미친 영향o 경제적인 피해 발생 : 2-6조 추정 * 자료 : 농촌경제연구원, “한.미 FTA의경제적 효과에 대한 부분균형모형 분석”’05.12 o 양돈농가의 심리적인 피해 o 관련 산업 위축 : 도축 감소에 의해 발생- 양돈농가, 사료업체, 동물약품업체, 도축가공업체. 등
o 수입량 증가로 인한 국내 사육두수 및 가격 변화(KMTA)
제 4 장. 국내 양돈업 전망 1. 국내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시장 전망 가.국내 양돈업 여건 1)생산여건 o 소모성 질병과 생산성 저하 지속 - 산자수 ( 9.02두(’05) -> 8.75두(’06)] - 육성률 : 86.40%(’04) -> 81.45%(’05) -> 80.5%(’06) - 모돈 회전수 : 1.99회(’04) -> 1.94회(’05) o 환경오염 단속 강화 2)소비여건: 경기부진의 소비 악화 3)수출여건: 등심 등 저지방 부위의 일정 가격수준유지를 위한 수출필요 4)수입여건: 오퍼 가격 상승, 국내 생산량 부족으로 수입량 증가
3. 돼지고기 수급전망 (단위 : 톤)
5. 해외 주요국가의 가격 추이 (단위: $/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