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혼성오비탈

혼성오비탈. 1205 김다윗. 혼성오비탈. s, p, d 등 일반적인 오비탈들로부터 만들어진 새로운 오비탈 . 일반적인 오비탈로는 설명할 수 없는 화학 결합을 설명할 수 있음. 혼성오비탈의 필요성. CH 4 분자는 탄소 원자를 중심으로 4 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한 정사면체 구조 . 6 C 이 갖는 오비탈 : 1s 2 2s 2 2p 1 x 2p 1 y 최외각 전자는 4 개이지만 2s 2 오비탈이 전자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4 개의 수소와 결합 불가능 .

fergal
Download Presentation

혼성오비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혼성오비탈 1205 김다윗

  2. 혼성오비탈 s, p, d 등 일반적인 오비탈들로부터 만들어진 새로운 오비탈. 일반적인 오비탈로는 설명할 수 없는 화학 결합을 설명할 수 있음.

  3. 혼성오비탈의 필요성 CH4분자는 탄소 원자를 중심으로 4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한 정사면체 구조. 6C이 갖는 오비탈: 1s2 2s2 2p1x 2p1y 최외각 전자는 4개이지만 2s2오비탈이 전자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4개의 수소와 결합 불가능. 구형의 s 오비탈과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는 아령형의p오비탈만으로는 정사면체 구조가 불가능. 1개 2s 오비탈+3개 2p 오비탈로 이루어진 정사면체 sp3혼성오비탈 도입.

  4. sp3오비탈 s 오비탈1개 + p 오비탈3개 -> sp3오비탈4개 결합각: 109.5’. 정사면체.

  5. sp3오비탈 구조

  6. CH4

  7. NH3 • 사면체가 아닌 삼각뿔 구조 • 결합각107.8’ • 하나의 sp3오비탈에 비 공유 전자쌍을 채움

  8. sp2오비탈 s 오비탈1개 + p 오비탈2개 -> sp2오비탈3개 결합각: 120’. 정삼각형

  9. sp2오비탈 구조

  10. C2H4

  11. BH3

  12. 벤젠(C6H6) 1개의 탄소 당 3개의 sp2 혼성오비탈. 1개 : 수소와의 단일 결합. 2개 : 수소와의 이중 결합. 두 결합의 길이가 같다는 문제 발생. 2pz 오비탈: 단일 결합이 이루어진 수소 원자와 결합

  13. sp오비탈 s 오비탈1개 + p 오비탈1개 -> sp오비탈2개 결합각: 180’. 직선.

  14. sp오비탈 구조

  15. C2H2

  16. BeH2

  17. dsp3오비탈 • s 오비탈1개 + p 오비탈3개 d 오비탈1개 ->dsp3오비탈2개 • 삼각쌍뿔(사면체 두 개를 붙여 논 모양) • PCl5

  18. d2sp3오비탈 • s 오비탈1개 + p 오비탈3개 d 오비탈2개 ->d2sp3오비탈2개 • 팔면체 • SF6, XeF4

  19. 비대칭 구조 s오비탈: + p오비탈: + / - 한쪽 : 보강. 한쪽 : 상쇄

  20. 출처 • http://www.gnedu.net/php-bin/swebdata/%B0%ED%B5%EE%C7%D0%B1%B3/2%C7%D0%B3%E2/%B0%FA%C7%D0/1%C7%D0%B1%E2/hs20011219103710/html/ac1.htm • http://blog.naver.com/kyonak/20102240928 • http://ko.wikipedia.org/wiki/%EC%9B%90%EC%9E%90_%EA%B6%A4%EB%8F%84#.ED.98.BC.EC.84.B1.EC.98.A4.EB.B9.84.ED.83.88_.28_.EC.98.A4.EB.B9.84.ED.83.88.EC.9D.98_.ED.99.94.ED.95.99.EC.A0.81_.EC.9D.98.EB.AF.B8_:_.EB.B6.84.EC.9E.90.EC.9D.98_.EA.B5.AC.EC.A1.B0.2C_.EC.84.B1.EC.A7.88_.29 • http://www.escinfo.com/zbxe/unit03_02#혼성오비탈과 분자의 모양 • http://doopedia.co.kr/m/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4079 • http://www.chemistry.pe.kr/chemistry/chem2504.htm • http://www.gnedu.net/php-bin/swebdata/%B0%ED%B5%EE%C7%D0%B1%B3/2%C7%D0%B3%E2/%B0%FA%C7%D0/1%C7%D0%B1%E2/hs20011219103710/html/ac2.htm • 줌달 일반화학 • 옥스토비 일반화학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