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0 likes | 1.2k Views
“석면피해구제제도 시행준비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업무담당자 교육연찬회. 석면관련질환의 이해. 부산대학교 석면중피종연구센터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강 동 묵. 순서. 석면관련질환의 이해 석면구제요청할 때 주의할 점. 1. 석면관련 질환의 이해. 석면의 체내 이동. 대기 중의 석면 ( 음식물 , 토양 ). 입. 코 인두. 폐. 후두. 식도 위 대장. 늑막. 임파관. 난소 신장. 복막. 석면의 건강장애. 폐질환 석면폐 / 원형무기폐
E N D
“석면피해구제제도 시행준비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업무담당자 교육연찬회 석면관련질환의 이해 부산대학교 석면중피종연구센터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강 동 묵
순서 • 석면관련질환의 이해 • 석면구제요청할 때 주의할 점
석면의 체내 이동 대기 중의 석면 (음식물, 토양) 입 코 인두 폐 후두 식도 위 대장 늑막 임파관 난소 신장 복막
석면의 건강장애 • 폐질환 • 석면폐/원형무기폐 • (원형무기폐는 호주에서 인정) • 늑막질환 • 늑막삼출액/늑막비후/늑막반 • (늑막비후는 호주에서 인정) • 암 • IARC 석면 원인 확정 • 폐암/악성중피종 • 난소암/후두암 • IARC 석면원인추정 • 인두암, 위암, 대장직장암 • 기타(관련성 논의 중: 신장암등) • 합병증 • 폐성심
석면의 노출: 석면소체(Asbestos body) coated asbestos bodies uncoated asbestos fibers Ferruginous bodies • 석면 섬유가 폐까지 들어오면 폐 내의 대식세포가 석면을 포식하게 된다. H & E stain shows beaded appearance
석면폐증(Asbestosis) • 정 의 : 석면에 의한 폐실질의 섬유화 • 잠복기 : 10-30년 • 증 상 : 호흡곤란, 제한성 폐기능 변화, 객담없는 기침 등. 심한 경우체중감소, 흉통 동반 • 진 단 : 흉부엑스선, HRCT • 예 후 : 점진적으로 악화. 결국 중증의 손상 또는 사망
석면폐X-ray 설명 폐에 공기가 들어서 검게 보여야 하나 섬유화로 인해 흰 선들이 보인다 흉막이 돌처럼 딱딱해져서 아주 희게 보임. 석면폐 흉막석회화
정상과 석면폐의X-선비교 • 왼쪽(정상폐)에 비해 오른쪽(석면폐와흉막반) 사진이 훨씬 희고 중간중간 반점이 보임
석면폐증CT 소견 폐가 섬유화가 되면서 희게 변했고 중간중간 공기집이 생겨 벌집처럼 보임 벌집모양 폐 흉막 비후
흉막반(Pleural plaques) • 원 인 : 석면이 폐로부터 늑막에 침착하여 발생 • 적은 노출(비연속적)이나 환경노출에서도 발생 • 석면노출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임상양상 • 병 리 : 늑막에 생기는 작고, 단단한 표면을 가진 판 • 양성병변으로 악성의 가능성은 없음 • 잠복기 : 10-20년, 10년 이하에서도 발생
흉막반(Pleural plaques) • 증 상 : 없으며, 예후도 양호. 흉막반이있는 사람의 절반 이상에서 흉통을 호소함 • 진 단 : 흉부엑스선, 흉부 C-T • 단순 방사선 촬영 • 흉부 CT에 나타나는 흉막반의 50-80%발견 • 시간이 지나면 흉막반은 석회화되어 단순 방사선 촬영시에 더 쉽게 발견 • 치 료: 불필요. 주기적 관찰 필요(늑막비후, 늑막삼출액) • 의 미 : 이전의 석면노출의 증거.
흉막반 조직 흉막이 딱딱해져서 희게 보임. 주변에 갈색의 흉막과 대비됨 흉막반
흉막반CT 소견 흉막이 두꺼워져서 긴 선처럼 보이며 중간에 아주 희게 된 것은 석회화 소견 흉막반과 흉막석회화
암: IARC monograph • Group1 agent : reviewed in Mar. 2009 • Alltype of asbestos (chrysotile, crocidolite, amosite, tremolite, actinolite, and anthophyllite) • Sufficient evidence in humans • Lung, mesothelioma, larynx, ovary • Limited evidence in humans • Colorectum, pharynx, stomach
폐암, 중피종 • 석면의 기여율 • 폐 암 (폐세포의 암) : 흡연(80%)+ 석면+? • 악성 중피종(흉막의 암) : 석면(8~90%) • 2. 폐암의 위험요인(위험도) • 흡연: 10배 • 석면: 5배 • 흡연과 석면: 50배 발견되면 사망! (1년 이내 , 50% 이상)
석면노출과 폐암 • 관련성 평가 고려지점 • 잠복기 • 누적 노출량 • 흡연과의 상호작용 • 석면폐증유무 • 섬유의 종류
폐암 위험도 5배 10배 50-90배 폐암 석면노출에 의한 암 사망의 가장 많은 원인이 폐암임.
흉막 악성 중피종 • 왼쪽: 정상 폐 • 오른쪽: 정상폐를 둘러싸는 흉막이 암으로 두꺼워져 폐를 압박하고 있음: 흉막 악성중피종
흉막악성중피종CT 소견 • 오른쪽(왼쪽 폐)은 폐(검은색)와 둘러싸고 있는 흉막이 깨끗한데 반해, 왼쪽(오른쪽 폐)은 흉막이 두꺼워져(흉막악성중피종) 폐의 부피가 감소했음
53세 남 • 건설업 일용직
석면관련 질환의 치료 • 특별한 치료법이 없다. • 증상이나 합병증 예방 위주 • 즉시 노출 금지 • 금연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 고혈압, 통증 관리에 대한 투약 • 호흡곤란자: 산소공급 • 폐 이식 고려 • 악성중피종, 폐암 • 1. 수술(surgical removal of a part) • 2. 항암요법(Chemotherapy) • 3. 방사선동위원소 치료법 (Radiation)
현재 직업병 인정기준 •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 20. 석면으로 인한 질병 • 석면에 노출되는 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근로자에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상 또는 소견이 나타나면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 가. 석면폐증 나. 원발성 폐암 또는 악성 중피종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1) 석면폐증과 동반한 경우 2) 늑막비후, 초자성 비후, 판상석회화, 담액증, 석면소체 또는 석면섬유를 동반하거나 발견되는 경우 3) 1)이나 2)에 해당하지 않으나, 석면에 10년 이상 노출된 경우. 다만, 노출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에도 흡연 기간, 석면에 노출된 기간, 노출 후 발병까지의 기간 등을 고려하여 석면으로 인한 질병으로 인정되면 포함한다.
현행 산재 기준의 문제 • 폐암과 악성중피종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 • 잠복기 개념이 빠져 있음 • 명확하지 않은 개념(담액증, 석면섬유 동반)이 담겨져 있음
악성중피종 •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것(법 제44조제1항 및 이 영 제40조에 따른 의료기관에서 발급한 진단서에 한한다) • 가.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원발성악성중피종으로 진단되는 경우 • 나. 임상적 판단과 영상의학적 판단을 통하여 원발성악성중피종으로 진단되는 경우(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한다)
악성중피종: 네덜란드 IAS(진단적합성 재검토) • 가.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원발성악성중피종으로 진단되는 경우 • 병리 패널에서 재검토 • 나. 임상적 판단과 영상의학적 판단을 통하여 원발성악성중피종으로 진단되는 경우(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한다) • 임상의(호흡기내과) 패널에서 재검토:
악성중피종등록체계 • 필요성: • 국가간 비교, 원인의 파악, 추세 확인 후 향후 예측 • 실시국가 • 이탈리아 • 프랑스 • 네덜란드 • 영국 • 호주
호주의 중피종 등록체계 • 2009년에 재시작: 중피종 등록과 시료은행 연계 • 암등록과연계 • ADRI(asbestos related diseases research institute)에 등록본부소재 • 암등록에 등록되면 ADRI로 연락 • 노출관련 정보 재확인, 동의 후 시료확보 • 임상시험, 새로운 치료제 개발 • “석면피해구제정보시스템”이 중피종 등록체계의 정보를 완결성있게 확보하여야 함 -> 석면중피종환경보건센터와 연계가 필요: 국가암등록본부와 연동필요
구제법 중 원발성폐암 다음 각 목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로서 석면노출로부터 발병까지의 잠복기간, 노출력 등을 고려하여 석면노출과 발병 간의 인과관계가 인정될 것 가. 다음 어느하나의검사등을 통해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되는 경우 1) 조직병리학적 검사 2) 임상적 판단과 영상의학적 판단(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한다) 나. 의학적 판단 등이 다음 1), 2), 3)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 1) 석면폐증 2) 석면에 의한 흉막반이 있는 경우 3)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석면소체 또는 석면섬유가 있는 경우 가) 건조폐건조폐 중량 1g당 석면소체가5,000개 이상이 있는 경우 나) 건조폐 중량 1g당 길이 1㎛ 이상인 석면섬유가 5,000,000개 이상이 있는 경우 다) 건조폐 중량 1g당 길이 5㎛ 이상인 석면섬유가 2,000,000개 이상이 있는 경우 라) 기관지 폐포세정액1㎖당 석면소체가5개 이상이 있는 경우
구제법 중 석면폐증 • 석면노출력 • 잠복기>10 년
실무자들이 확인할 사항 • 거주력은 초본과 비교확인
직업력 중 특별히 주의할 점 • 담당자들이 석면관련 직업을 잘 모름 • 생애 모든 직업을 나열할 것: 별지 이용할 것 • 필요 시 재확인 요청함: 시간과 업무곤란 초래 • 판정위원회에서 필요 시 산재로 연결
Www.krcard.org 환경부지정 석면중피종연구센터1577-7512, 051)510-8133www.krcar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