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 likes | 496 Views
국어사 강의안 ( 첫번째 ) - 단국대학교. 2007 학년도 1 학기 김양진. 강의 계획. < 교과서 > 국어의 역사 . 김무림 . 2004. 강의 노트 (.ppt) < 참고서 > 국어발달사 . 박병채 . 세영사 . 1989. 국어사개설 (신정 판 ). 이기문 . 탑출판사 . 1998 신국어학사 ( 전정판 ). 김민수 . 탑출판사 . 1980. 과제 : 별도 공지 성적 산출 방법 : 중간 (30)+ 기말 (30)+ 과제물 (20)+토론(10)+ 출석 (10) .
E N D
국어사 강의안(첫번째) - 단국대학교 2007학년도 1학기 김양진
강의 계획 • <교과서> • 국어의 역사. 김무림. 2004. • 강의 노트(.ppt) • <참고서> • 국어발달사. 박병채. 세영사. 1989. • 국어사개설(신정판). 이기문. 탑출판사. 1998 • 신국어학사(전정판). 김민수. 탑출판사. 1980. • 과제 : 별도 공지 • 성적 산출 방법 : 중간(30)+기말(30)+과제물(20)+토론(10)+출석(10)
<국어사> 강의에 앞서.. (1) 역사 시대구분의 방법 • 정치체제에 따른 시대구분 • 왕조별 • 殷-周-秦-漢-魏-隨-唐-宋-元-明-淸 • 조선-부여-삼한-삼국(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후삼국-고려-조선-대한제국-한국/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 • 민족구성 단계별 • 종족(Stamm/tribe)-부족(Volk)-전근대민족(pre-modern Nation)-근대민족(Modern Nation)-신민족(neo-Nation) • 정치주체별 • 부족정-귀족정-왕정(전제정)-시민정치(민주정)
경제제도에 따른 시대구분 • 맑스의 5단계설 • 원시공산제-고대노예제-중세농노제-현대자본제-미래 공산사회 • 토플러의 4단계설 • 농업혁명 이전-농업혁명-산업혁명-정보혁명 • 시간구성에 따른 시대구분 • 1000년 단위 • 기원-1차밀레니엄-2차밀레니엄 • 100년 단위 • 15c-16c-17c-18c-19c-20c-21c • 30년(세대) 단위 • 할아버지세대-아버지세대-우리세대
사건구성에 따른 시대구분 • 트로이전쟁-예수탄생-십자군전쟁-르네상스-종교개혁-산업혁명, • 콜럼버스 미대륙 발견-청교도 이주-미국독립-남북전쟁-제2차세계대전-9·11사태 • 한사군설치-삼국통일-고려건국-임진왜란-병자수호조약-경술병탄-3·1운동-남북분단 / 4·19혁명–5·16군사혁명-광주항쟁-6·29선언-IMF-한·일월드컵…
기록체계에 따른 시대구분 • 선사시대 : 고고학적 유물에 따라 세분 •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 • 오리냐크기-페리고르기-솔뤼트레기-마들렌기 • 역사시대 : 사용 문자에 따라 세분 • 상형문자-음절문자-음소문자-자질문자 • 한자-훈민정음-한글
논리체계에 따른 시대구분 • 2분법 : 과거-현재 • ※ 현재성 및 현대성의 다양한 기준 고려 • 외형, 생활방식(의식주), 사고방식, 사회체제(선거, 경제활동, 문화활동 등) • 3분법 : 고대-중세-현대 • 4분법 : 고대-중세-근대-현대 • 5분법 : 상고-고대-중세-근대-현대
※ 본 강의에서 국어의 역사를 <논리체계에 따른 시대구분>을 기본으로 하고, <정치체제에 따른 시대구분> 및 <사건구성에 따른 시대구분> 보충하여 시대구분하고 논의를 진행한다.
(2) 한국어의 시대구분 • 기록체계에 따라 • 歷史 이전[先史]시대, 5C 이전, • 한민족 형성을 언제로 잡느냐에 따라 약 3천/천5백년 • 한자표기[借字表記]시대, 5C~15C, • 광개토대왕비~훈민정음 창제까지, 약 천년 • 훈민정음 시대, 1443~1933.. • 훈민정음 창제~한글맞춤법까지, 약 500년 • 한글 시대, 1933~현재.. • 한글맞춤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약 70여년 • 논리 체계에 따라 • 1. 상고시대 : 알타이-삼한 이전 - (약 2,000년/최소 1,000년) • ※ 국어의 선사(先史)
2-1 고대전기 : 삼한-삼국(BC 57 ~ AD676) - 약 700년 • 2-2 고대후기 : 통일신라(676~936) - 약 270년 • 3-1 중세 전기 : 고려시대(936~1392) - 약 440년 • ※ 김무림(2004)에서는 고려시대를 고대국어로 다룸. • 3-2 중세 중기 : 조선전기-임란이전(1392~1592) - 약 200년 • 3-3 중세 후기 : 임란-병자개항(1592~1876) - 약 180년 • ※ 김무림(2004)에서는 임란-개항까지를 근대국어로 다룸. • 4-1 근대 전기 : 병자개항~일한병탄(1876~1910) - 약 35년 • 4-2 근대 후기 : 일한병탄~광복(1910~1945) - 약 35년 • 5. 현대 : 광복~현재(1945~2007) - 약 60년 • ※ 김무림(2004)에서는 개항 이후를 현대국어로 다룸.
정치체제에 따라 • 부족국가시대(고조선, 삼한), 약 2천5백년 • 왕정시대, 약 천7백년 • 고대왕정(삼국), 약 7백년 • 중세왕정(고려, 조선), 약 1천년 • 근대왕정(대한제국), 14년(1897~1910) • 피지배시대(일제 침략기), 35년(1910~1945) • 민주정시대, 약 60년(1948~현재) • 자유 민주정/인민 민주정
경제제도에 따라 • 수렵시대 : 70C B.C. 이전. • 한민족인지는 불분명 • 농본시대 : 70C B.C. ~ A.D. 19C말 • 약 9,000년 • 산업시대 : 19C말 ~ 20C말 • 약 100년 • 정보시대 : 20C말 ~ 21C초 • 약 10~20년
사건구성에 따라 • 한사군설치(B.C.108) …한사군 설치 앞뒤로 한민족 언어사의 중요한 사건이 있었을 것. 辰, 韓, 馬韓 • 삼국통일(676) …단일한 한민족 언어체의 등장 • 고려건국(936) …중앙어(현재 경기지역어) 기반 형성 • 훈민정음창제(1443) … ???(당시의 실제 언어 확인) • 임진왜란(1592~1599) …방언 및 언어간 뒤섞임 현상 • 병자수호조약(1876) …근대 외래 언어 이입 • 경술병탄(1910) …일본어의 절대적 영향 • 남북분단 (1945) …중앙어의 이원화(남-영어, 북-고유어 강조)
보충1. 한반도의 정치사와 한국어 • 한반도에서 정치 변화의 흐름은 언어의 변화에 긴밀하게 작용 • 고대 한반도의 언어 – 4언어군 • 부여계(夫餘系) –원시 알타이어계 언어 • 숙신계(肅愼系) –퉁구스어계 언어 • 한계(韓系) – 원시 알타이어계 혹은 드라비다어계 • 한계(漢系) – 지나-타이어계 • 고대 한반도 4언어군의 분포 • 북부 : 부여계 + 말갈계 + (漢系-한사군) • 남부 : 부여계 + 韓系 + (漢系-위만조선?)
시대별 언어 주체 • 신화시대 - 한반도에서 정치적 세력화를 최초로 꾀한 것은 단군족. • 전기조선 : 단군조선 2333C B.C.~ 10C B.C. • 부족국가 시대(3C B.C. ~ A.D. 3C) • ⇒ 부족국가 이후의 언어는 삼한을 중심으로 본 강의에서 다룸. • 중기조선 : 기자조선 10C B.C. ~ 3C B.C. ※기자(箕子)=王 • 후기조선 : 위만조선 3C ~108 B.C.(3대) – 한사군 => 한(漢)의 언어적 영향권. ※위만조선의 언어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 부여계 : 예(濊, 東濊), 맥(貊, 句麗, 高句麗), 부여(東扶餘, 北扶餘, 南扶餘), 옥저(沃沮, 南沃沮, 北沃沮) ※해모수(解慕漱), 해부루(解夫婁), 주몽(朱蒙), 부여=불여(불여)=?부리야트 • 말갈계 : 숙신(肅愼)->읍루(邑婁)-> 말갈(靺鞨) • 한계(韓系) : 마한(馬韓->百濟), 진한(辰韓->斯羅, 新羅), 변한(弁韓->伽倻) • 한계(漢系) : 秦系(->秦韓), 漢系(->낙랑,현도,진번,임둔)
삼국시대(3C.-676) • 고구려 –전진(前秦:351~383) –북위(北魏:386~556, 모용외, 몽골어계 부족국가) • 백제 –동오(東吳:3C~4C) • 신라 –왜? • 통일신라시대(676-892) • 신라 -1차 언어 통일(경주 중심) - 당나라의 언어적 영향권. • 후삼국 시대(892-936) • 신라, 후백제(892), 후고구려(896) • 고려 시대(936-1392) - 2차 언어 통일(개성 중심) • 후기 – 몽골어 및 한아언어의 영향권 • 조선 시대(1392-1910) • 명청시대 중국어(한어, 한아언어, 만주어)의 영향권 • 식민 시대(1910-1945) – 일본어의 영향권 • 분단 시대(1945-현재) • 남한(자본주의) – 영어의 영향권 • 북한(사회주의) – 순수 고유어 강조
보충2. 한반도의 경제사와 한국어 • 구석기 시대 : 수렵/어로 시대 • 활, 화살, 그물, 벼리, 작살 / 주몽(朱蒙), 장보고(張寶庫/弓福) • 신석기 시대 : 농경 시대 • 밭, 논, 벼, 쌀, 겨, 밥, 구들, / 가배(嘉俳), 수릿날(端午/車得) • 청동기 시대 : 부족국가 시대 - 노예제 시대 • 구리, 거울, 그릇, .. • 철기 시대 : 절대왕정시대 - 노예제 시대 • 쇠, 쇠스랑, 자물쇠… • 산업 시대 : 자본주의/사회주의 시대 • 공장, 자동차, 아파트, 티비, 라디오, 오디오… • 정보화 시대 • 인터넷, 컴맹, 넷맹, 가상현실, 네오이즘, 메트리스
보충3. 한반도의 사회사와 한국어 • 계층관계에 따라 • 원시부족 사회 -> 귀족(호족) 사회 -> 양반(관료제) 사회 -> 시민민주주의 사회/인민민주주의 사회 • 헤게모니에 따라 • 모계사회 -> 부계사회 ->남녀평등 -> ? • 존대어의 변화 • 격식체 : 합니다-하오-하게-해라 • 비격식체 : 해요-해 • 엄마, 이것 좀 하셔. • 남성/여성 언어의 변화 • 우리 형은 예뻐요. • 언니, 이거 얼마야? • 계집애-기집애-지지배
관용어에 반영된 사회상 • 예전에 • 방동지네 장물이다(싱겁다), 오종포팔어라(땅팔아라), 양떡 먹일 놈(총맞을 놈), 예끼, 澤出이(못난이) • 물꼬를 트다, 시치미를 떼다, 따/떼 놓은 당상(堂上), 하마평(下馬評), 실랑이하다(이리위 저리위하다), ... • 요즘에 • 금배지를 달다,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다, … • <과제1> 요즘 학생들이 많이 쓰는 관용 표현 조사해 오기
보충4. 한반도의 문화사와 한국어 • 신화시대의 한민족어 • 환인(桓因), 환웅(桓雄), 단군(檀君=tenggri(몽)/tangri(터)/당골/당골레>단골), 왕검(王儉, 님금), 아사달(阿斯達=白山), 평양(平壤=平那?), 궁홀산(弓忽山)=방홀산(方忽山 )=금미달(今彌達), 소도(蘇塗, 솟대), … • 치우(蚩尤=慈烏支=饕餮=돗긔아비/도츼아비>도깨비/도채비) • 고죽국(孤竹國=句麗?), 백이(伯夷), 숙제(叔齊) ※仲子 • 박(朴), 혁거세(赫居世)=불구내(弗矩內), • 전설시대의 우리말 • 마한(馬韓), 마파람(=南風), 이마/마빡, 이물.. • 온조(溫祚)와 십제(十齊), 도미(都彌)와 두미강, • 김 알지(=아지=小兒), 보희[阿海]와 문희[阿之] • 단오(端午=車衣), ※車得公
서동(薯童)과 원효(元曉=薛誓幢=薛新幢=始旦) • 가슬갑(嘉瑟岬)=加西岬=嘉栖岬=古尸岬=岬寺 • 불지촌(佛地村)=발지촌(發智村)=불등을촌(弗等乙村) • 노힐부득(努詰夫得/等)과 달달박박(達達朴朴) • 종교 문화와 우리말 • 샤머니즘 : 당골, 박수, 서낭당, • 불교 : 중(僧?), 스님(僧?), 비구(比丘), 비구니, 절(刹?), 탑(塔), .. • 유교 : 종묘, 사직, 신위, 위패, 장유유서, • 기독교 : 예수, 하나님, 여호와, 자매, 형제, .. • 천도교 : 한울, 개벽, …
외래 문화와 우리말 • 중국 문화의 유입 : 고대-조선 후기. • 筆-붓, 友-벗, 江-가람, 風-바람, 窟-구덩이 • 토시(套袖/套手), 좌(坐)시다>좌시다>자시다 • 여진 문화의 유입 : 고대-조선 후기. • 두만강-tuman, 종성(鐘聲)-tungan. • 몽고 문화의 유입 : 고려 말기. • 보라, 설렁탕/수라, 족두리 • 일본 문화의 유입 : 임진왜란, 조선 말기-현재. • 사시미, 스시, 다꽝, 다마네기, 와리바시, 마세이… • 주격조사 ‘가’, 속격조사 ‘의’ • 단두대에 오르다, 눈에 불을 켜다, ... • 서구 문화의 유입 : 해방 이후-현재.
영어(버스, 라디오, 센스, 프라이팬, 껌, ..), 프랑스어(부르주아, 쿠데타, 마담, 까페오레, ), 독일어(가제, 바이러스, 아스피린, 게놈..), 네덜란드어(빵, 메스, 프로(procent)), 그리스어(아르케, 카타르시스, 에로스, 알파..), 라틴어(미사, 에고, 스타디움, ..), 러시아어(아지트, 빨치산, 페치카, 프락치, ..), 이탈리아어(파쇼, 피날레, 마피아, 에스프레소, 마카로니, 파스타, 피자, 스파게티, 템포, …) • 생활 문화와 우리말 • 국수를 먹다 : 결혼하다 • 미역국 먹다 : 해산하다 • 귀밑머리 올리다 : (여자가) 혼인하다. • 바가지 긁다 : 아내가 남편을 타박하다 • 낙인을 찍다 : 죄인시하다 • 난장맞을/젠장맞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