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likes | 1.67k Views
성가대 세미나 자료. 정성이 듬뿍 담김 입술의 제사를 드리자 !. ■ “ 이러므로 우리가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미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자 . 이는 그 이름을 증거하는 입술의 열매니라” ( 히 13:15) ■ “ 시와 찬미와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 너희의 마음으로 주께 노래하며 찬송하며” ( 엡 5:19) ■ “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하여 구원에 이르니라” ( 롬 10:10) ♣ 특별히 찬송으로써 맺게 되는 입술의 열매로 참으로
E N D
정성이 듬뿍 담김 입술의 제사를 드리자! ■ “이러므로 우리가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미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자. 이는 그 이름을 증거하는 입술의 열매니라” (히 13:15) ■ “시와 찬미와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 너희의 마음으로 주께 노래하며 찬송하며” (엡 5:19) ■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하여 구원에 이르니라” (롬 10:10) ♣ 특별히 찬송으로써 맺게 되는 입술의 열매로 참으로 아름답고 값진 것. (찬미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자!) ♣ 우리 입술로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찬미하고 곡조에 맞추어 고백 ◈ 성가대원은 레위지파(구별되게 봉사하였던 하나님의 종) ① 사명감과 소명 없이는 수행할 수 없는 엄숙한 직분 ② 정성과 마음보다 훈련과 연습을 통한 경건의 연습과 충성으로 사명을 감당해야 함. (공교하게 찬양)
음악 파트 지휘자, 반주자, 관현악 대원 성가대장, 후원회, 총무/서기, 각 부서(장) 행정 파트 성가 대원 소프라노, 엘토, 테너, 베이스 성가대 구성 반주자 요건 지휘자 요건 ① 신앙심이 깊고 순종하는 사람 (어머니와 성령의 역할) ② 건반악기에 수준급의 실력 ③ 재치 있는 사람 ※ 어린 교인들을 적극 발굴해야 합니다. ① 신앙이 깊은 사람 ② 인격이 원만한 사람 ③ 예술적 감각이 있는 사람 ④ 음악적 기술이 있는 사람 (청음, 시창, 건반악기) ※ 길러내야 합니다. 성가 대장 대원 ① 전문 음악가의 Manger 역할 (일정관리, 프로그램, 준비) ② 음악을 이해하고, 사랑해야 함. ③ 신앙적인 Leadership (대원 관리) ④ 봉사정신 ① 적정 대원수 : 교인수의 1/10 이 적정 수준임. ② 대원 구성비 : 8 : 6 : 4 : 6 (S : A : T : B), 내성/외성 ③ 대원 자격 - 믿음(세례교인) - 열심(연습/복습) - 섬김의 정신 - 가창력 / 독보력 ④ 대원 모짐 - 좋은 성가대가 되는 것 - 적극적 발굴 - 고등부/대학부 성가대 지원
성가대 성공 요건 –연습 ! 연습 ! 연습 ! ■ 연습 - 개개인의 음악적 자질과 관계없이 연습은 필수 - 연습은 많을 수록 좋다.(다다익선) - 연습에 모일 만한 매력을 느끼도록 함. - 연습이 성공적이어야 연주에 성공할 수 있음. - 연습이 곧 찬양임. (하나님은 우리의 생활 자체를 찬양으로 받으심) ■ 연습 장소 : 성가대석이 가장 좋고 여건이 안되면 가장 유사한 장소 ■ 연습 회수와 시간 : 주일 예배 직전과 직후, 주중 1회 연습, 기타 특별행사 연습 ■ 연습 시간 구성 ① 예배직전 연습 : 체조 → 발성연습 → 조용한 곡 → 본곡 ② 일반연습 시간 : 발성연습곡 → 콩코네 50번 연습곡(음질, Tone) → 콜위붕겐 연습곡(음정/박자) → 찬양곡 연습(다음주 및 기타 준비곡) → 정리 ■ 효과적인 연습 방법 ① 많은 대원 참석 - 사명감, 연습을 재미있게, 음악실력을 높일 수 있게, 말보다는 연습에, 실수는 간접 지적, 약속 지키기, 인격을 믿고 늦더라도 참석유도, 건의할 수 있는 분위기 ② 성실하게 알차게 연습 - 배우는 것이 있게, 도전할만한 곡, 대원들의 준비(목소리 관리, 발성등) ③ 가사에 은혜를 받아야 함. - 가사를 잘 읽고 의미를 생각 할 것. 곡의 클라이막스와 가사를 연관하여 찬양, 선곡
생각하는 발성 –와우 발성이 보인다(1) ■ 노래 잘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 ① 호흡( 복식 호흡) ② 공명(울림, 두성) 1. 자세 : 자연스러움, 습관화 ● 선 자세 - 양쪽 다리를 어깨 넓이 만큼 벌리고 가만히 아랫배를 당긴다. (자연스러운 긴장) - 어깨와 가슴을 펴고 둔부가 당겨지는 것을 느낀다. - 시선을 자연스럽고 턱을 편하게(주종관계) - 느낌은 반가운 사람을 만났을 때 느낌. ● 앉은 자세 - 척추를 펴고 아랫배를 받친다.(선 자세의 느낌 그대로) 2. 호흡: 규칙적이고 자연스러움 – 하루에 6분 투자 ● 호흡은 가창에 있어서의 깊이이며, 제일의 원동력이고 절대적인 원리이며, 가장 중요한 에너지 ● 노래를 위한 가장 모범적인 호흡은 노래하는 동안에 방해를 주지 않고, ● 횡경막을 이용한 복식 호흡법 1) 호흡의 원리 : 잠잘때 호흡 / 어린아이 호흡, (확인방법) 허리 90˚ 이상 / 누워서 2) 호흡 연습의 방법 3) 복식호흡의 바람직한 결과 : 탄력있게 자연스럽게 - (3대 원칙) 가능한 빨리, 가능한 깊게, 가능한 많이 ● 호흡에 있어서 금기 사항 - 어깨 가슴 오르락 내리락, - 목에 힘 - 갑자기 많이 쉬고 내는 것 - 호흡하는 소리가 너무 큰 것
생각하는 발성 –와우 발성이 보인다(2) 3. 공명 - 울림이 있는 소리가 아름답다(사람이 가장 훌륭한 악기) - 생각하는 자연스러움(Idea로 소리가 난다) ← 울림이 있는 말 - 기술이 아니라 감각적인 느낌 - 올바른 자세, 복식 호흡과 더불어 이루어져야 함. ● 두강 공명 : 두성 발성(젊음의 색깔), 전두동, 하품하는 느낌(고음) ● 비강 공명 : 구강 공명과 두부 공명 연결, 유성 자음(m, n), 허밍(중성) ● 구강 공명 : 저음 ● 흉강 공명 : 저음 “소리를 띄운다 → 두성과 비성 활용하여 같은 포인트(같은 느낌과 자세)에서 저음” “노래를 어떻게 부르면 좋을까 하늠 모든 음악적인 생각들, 그러한 생각들의 에너지를 키울 때 우리 신체가 그 생각의 에너지 만큼 반응하도롤 우리의 몸을 지으셨다” 4. 발음 - 발성은 모음과 같은 것이다 - 아, 이, 우, 에, 오( 정형의 “아” ) - 하품했을 때의 혀의 감각 - 스타카토와 빠른곡, 피아노에서의 자음이 중요 - f와 p (꽉찬 수박과 빈 수박) - 사투리, 된 발음, 센 발음 ← 세련미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