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2

사회성의 발달과 문제점

사회성의 발달과 문제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7 년 대국민 공개강좌. 사회성의 정상적 발달. Normal development of Sociality. 아동의 발달. 신체 정신 사회성 의사소통 타인과의 관계 맺기. 왜 사회성인가 ?. 사회성이란 ?. 타인과 관계를 맺고 즐거움을 나누는 능력 타인과 동맹을 만들고 유지하는 능력. 사회성이 중요한 이유. 정서의 조절 인지 및 언어 발달 도덕성 및 초자아 발달

ezra
Download Presentation

사회성의 발달과 문제점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회성의 발달과 문제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7년 대국민 공개강좌

  2. 사회성의 정상적 발달 Normal development of Sociality

  3. 아동의 발달 • 신체 • 정신 • 사회성 • 의사소통 • 타인과의 관계 맺기

  4. 왜 사회성인가?

  5. 사회성이란? • 타인과 관계를 맺고 즐거움을 나누는 능력 • 타인과 동맹을 만들고 유지하는 능력

  6. 사회성이 중요한 이유 • 정서의 조절 • 인지 및 언어 발달 • 도덕성 및 초자아 발달 • 장기적인 사회적, 정서적 적응, 학습 및 인지능력, 시민의식 등은 어린 시절에 사회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가질 수록 더 촉진된다.

  7. 인지, 학습능력 정서 조절 능력 사회성 양심과 도덕 현실 검증과 적응 능력

  8. 사회성, 어떻게 발달하나?

  9. 사회성과 정서의 발달 사회성 발달의 지표들

  10. 발달 청소년기 학령기 근면성 학령전기 주도성 걸음마기 자율 유아기 신뢰

  11. 1-3개월 1. 자신의 몸을 탐색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 손가락 빨기 • 자신의 손을 관찰하기 • 다른 사람의 손이 자신의 몸에 닿을 때 그 부분을 쳐다보기 • 자신이 다른 사람과 독립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고, 신체 부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배움

  12. 1-3개월 2.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보이고 양육자를 알아본다. • 낯익은 어른에게 편안함을 느낌 • 접촉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 • 깨어있거나 활동이 적을 때 그리고 집중하고 있을 때 가장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짐 • 길고 간헐적인 상호작용보다는 짧고 빈번한 상호작용이 더 이로움 • 사회적 상황에 대해 미소와 기쁨을 나타냄

  13. 3-6개월 •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 • 까꿍놀이 • 자기 이름에 주의를 기울이기 • 자발적인 미소 • 크게 웃기

  14. 6-9개월 • 감정 표현의 범위가 넓어지고 친숙한 사람들을 더 좋아하게 된다. • 확실히 구별되는 몇 가지 감정을 표현 • 낯선 사람과 친구를 구별함 • 언어와 몸짓에 능동적으로 반응함 • 장난감을 잃어버렸을 때 불쾌함을 나타냄

  15. 9-12개월 • 모방과 자기 통제의 획득이 중요해 진다. • 손으로 음식을 집어먹음 • 두 손으로 컵을 쥘 수 있고 도와주면 컵을 쥐고 마실 수 있음 • 간단한 동작을 따라 함 • 양육자와 떨어졌을 때 불안감을 나타냄

  16. 1-2세 • 자기 자신에 대해 인식이 커지며 자신이 어떤 일을 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 부모에게 강한 애착을 느끼고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애정을 나타냄 • 혼자서 놀이를 함 • 나쁜 감정을 표현함 • 새로운 것을 성취했을 때 긍지와 기쁨을 나타냄 • 어른들의 행동을 놀이로 모방함 • 자기 주장을 통해 자기 자신을 드러냄 • 다른 사람의 일을 거들어줌

  17. 2-3세 • 자기 자신을 더 능력 있고 창조적인 존재로 여기게 된다. • 모든 것을 탐색하려 하고 자아가 강해지며 자립심이 발달

  18. 2-3세 2. 성 정체성(gender identity)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자기 주장이 강해진다. • 배변 욕구를 나타냄 • 옷을 입고 벗는 것을 거들 수 있음 •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주장하고 어른들의 요구에 ‘싫어’라고 말함 • 자신에 대해 평가하기 시작하고 좋다, 나쁘다, 매력적이다와 같은 자기 의견이 발달함 • 자신의 감정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고 감정에 대해 이야기 • 빠른 감정 변화를 경험하고 두려움이 증가함 (어두움, 특정 사물 등) • 공격적인 감정과 행동을 나타냄

  19. 2-3세 3. 다른 친구들 주변에서 각자의 놀이를 하는 평행적 놀이를 좋아한다. • 다른 아이들을 지켜보고 잠깐씩 놀이에 참여 • 자기 물건을 지키려 함 • 노래하기, 박수치기, 춤추기와 같은 단순한 그룹 활동에 참여 • 놀이할 때 상직적 사물을 사용 • 성 정체성에 대해 알게 됨

  20. 3-4세 1. 손재주와 자립심이 향상되면서 더욱 독립적인 아이가 된다. • 연속된 간단한 지시들을 따른다 • 뭉툭한 칼을 이용해 빵에 버터를 바르거나 작은 주전자에서 물을 따르는 것과 같이 음식과 관련된 간단한 일을 혼자서 완수할 수 있음 • 혼자 손을 씻을 수 있고 상기시켜 주면 스스로 코를 풀 수 있음

  21. 3-4세 2. 다른 아이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 • 장난감을 함께 가지고 놀고 도와주면 교대로 가지고 놂 •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이를 시작하고 참여하며 게임을 구성 • 연극 놀이를 하고 장면을 재연할 수 있음(예: 여행가기, 동물 흉내내기)

  22. 4-5세 1. 스스로를 개별화된 존재로서 인식한다. • 도리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함(공정성, 선한 행동, 나쁜 행동 등) •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함

  23. 4-5세 2.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 우정의 발달 •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한 인식이 넓어짐 • 이성에게 관심을 보임 • 친구들과의 상상놀이를 좋아함 • 연극 놀이는 더 구체적이고 현실과 유사해짐

  24. 1~3세 부 모 또 래 다양한 사회 구성원 애 착 사 회 화

  25. 1. 영유아기

  26. 갓난아기도 사회생활을? 유아는 사회적인 존재이다.

  27. 신생아의 반응성 • 외부의 자극을 지각하고, 활발히 반응 • 모방능력 • 다른 사람의 행동에 반응하여 혀를 내밀고, 입을 열거나 다물고, 눈썹을 떨면서 따라 함. •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때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해야 가장 효과적

  28. 영아기 발달과제 –“애착”

  29. 상호적 조화 과정 • 영아는 ‘상호 조화’ 과정을 통해 점차 주변 환경의 변화에 참여 • 영아와 성인 양쪽 모두가 응시와 말, 소리, 미소 등을 이용해 서로 조화를 이루고 닮아가려고 시도하는 것 • 사회적 상호 작용 과정이 발달하면서 아이들의 언어와 인지 발달에 ‘정교한 조절’ 체계를 구성(Bruner, 1987)

  30. 애착이란? • 한 개인(혹은 동물)과 주 양육자 사이에 존재하는 특별한 정서적 유대 • 유아와 돌보는 이 사이에 생기는 특별한 형태의 사회적 상호관계 (Bowlby, 1969) • 유아가 생존을 위해 부모의 행동에 완전히 의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아와 부모 사이에 형성되는 특별한 관계(Bowlby,1958,1969,1988; Main,1993;Rothbard and Shaver,1994) • 생애 첫 해에 형성

  31. 애착의 역할 • 유아의 생존 • 사회적인 상호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본적 행동양식 • 사회화된 구성원으로서의 발달의 기초를 형성 • 정서 조절의 중요한 요소

  32. Conrad Lorenz, “Imprinting”

  33. Harry Harlow, “Love monkey experiment”

  34. 애착의 3단계 (I) • 사회적 반응 단계 • 출생~2개월 • 부모와의 관계가 영아의 항상성 유지와 관계(Srern,1985) • 영아가 타인과 즐거움을 주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함 • 사회적 반응의 차별화 단계 • 친밀감 추구 단계 • 중요한 보호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적극적으로 추구

  35. 애착의 3단계 (II) • 사회적 반응의 차별화 단계 • 2~6개월 • 환경과 양육자에 대한 관심 증가 • 선택적인 사회적 미소 : 4주~12주

  36. 애착의 3단계 (III) • 친밀감 추구 단계 • 6개월 이후 • 중요한 보호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적극적으로 추구 • 이인불안 • 7~9개월 • 자기와 엄마, 타인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 • 분리불안 • 10 ~ 18개월 • 생존을 위한 능동적 대처 • 자신의 불편감 또는

  37. 얼굴 구분의 발달 • 행동의 선택성(behavioral selectivity) • 반응의 변별(response differentiation) • 얼굴과 비얼굴 자극 • 엄마의 얼굴과 낯선 사람의 얼굴

  38. 얼굴 구분의 발달 • “사회적 변별력” (“Social discrimination”) • 영아의 ‘미소 짓기’와 ‘소리 내어 웃기’ • 특정 인물이 제시한 서로 다른 유형의 사회적 자극과 사물에 대한 반응(Goldbert, 1982). • 누구와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맺을 것인지, 누구를 공격할 것인지 등을 결정 • 긴밀한 애착 • 적어도 한 명의 특정 성인에 대한 강한 상호적 정서 • 아이의 행복과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결정적이다.

  39. 애착의 세 가지 유형(Main & Solomon, 1986) • A type: 불안정/회피(insecure/avoidant): 10-25% • B type: 안정(secure): 70% • C type: 불안정/저항(insecure/resistant): 5-15% • D type: 비조직적/혼란(disorganized/disoriented)

  40. 애착에서의 어머니의 역할 • Maternal attunement • 정서적으로 잘 준비된 어머니와 영아와의 초기 관계(Emde,1983;Stern,1985) • 어머니가 영아와 감정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행동하는 것(Stern,1985) • 행동의 유형들 • 상호 응시 (mutual gaze) • 모성의 놀이 자극 (maternal play stimulation) • 얼굴을 통한 감정 교환 (facial emotional interchange) • 위안 (soothing)

  41. 2. 걸음마기

  42. 걸음마기 발달과제 –“분리개별화” M. Mahler(1897-1986)

  43. 분리개별화란 무엇인가? • 6개월~3세 • 어린 아동이 어머니로부터 분리하여 주체성을 형성하는 과정 • “유아의 심리적 탄생” • 이 시기가 애착 형성에서 가장 예민한 시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