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 likes | 692 Views
경의선 철도 , 도로 출입시설 공용야드 토목공사. 발주처 : 한국철도시설공단 감리사 : ㈜ 대한콘설탄트 ㈜ 한국철도시설공사 시공사 : 현대건설주식회사 협력사 : 동남산업개발. 목 차. 1. 공 사 개 요. 2. 시험동치환. 3.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및 결과. 4. 본동치환. 5. 본동치환 확인시험. 6. 결 론. 1 . 공사개요. 가 . 공사명 : 경의선 철도 , 도로 출입시설 공용야드 토목공사 중 동치환공사 나 . 주요 공사 내용
E N D
경의선 철도,도로 출입시설 공용야드 토목공사 발주처 : 한국철도시설공단 감리사 : ㈜대한콘설탄트 ㈜한국철도시설공사 시공사 : 현대건설주식회사 협력사 : 동남산업개발
목 차 1. 공 사 개 요 2. 시험동치환 3.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및 결과 4. 본동치환 5. 본동치환 확인시험 6. 결 론
1.공사개요 가.공사명 :경의선 철도,도로 출입시설 공용야드 토목공사 중 동치환공사 나.주요 공사 내용 •시험동치환 : 149.0 ㎡ •본동치환 : 58,306.0 ㎡ •품질관리 1)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 : 동치환 전:12공 , 동치환 후:12공 2) 평판재하시험(확인시험) : 6개소 시험동치환 후(3개소), 본동치환 후(3개소) 3) 간극수압계:6개소(시험동치환시) : 2개소/시험장소 4) 지하수위계:6개소(시험동치환시) : 2개소/시험장소
동치환공법 1.공법의 개요
동치환공법 2.공법의 특징 3.시공순서
현장위치도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도라산 내
개 요 기 설계된 타격에너지가 현장의 조건에 적합한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동치환의 구근(쇄석기둥)이 조성되는 깊이를 확인하여, 파운더의 크기나 무게 등을 현장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기 위해 시행되는 일련의 시험을 말한다. 본 현장에서 시험동치환은 3개소의 대표지점에서 실시하였으며, 각각 다른 타격에너지를 사용하여 작업시 가장 효과적이고 적합한 타격에너지를 선정 하였다. 2. 시험동치환
사전조사 계측기설치(간극수압계,지하수위계)
사전조사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
시험동치환의 타격시방 ※ 3개의 타입으로 시행한 시험동치환 타격시방
3. 시험동치환확인시험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 평판재하시험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의 성과비교
시험동치환(전) 시험동치환(후) EL.(+) (m) N-Value EL.(+) (m) N-Value BH-9 BH-10 TYPE-1 107.47 2 2 - - 105.97 7 7 105.17 14 104.47 35 25 103.67 18 102.97 20 15 102.17 17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의 성과비교(TYPE -1)
시험동치환(전) 시험동치환(후) EL.(+) (m) N-Value EL.(+) (m) N-Value BH-6 BH-7 TYPE-2 107.33 2 3 - - 105.83 1 6 105.33 15 104.33 12 12 103.83 14 102.83 19 24 102.33 38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의 성과비교(TYPE -2)
시험동치환(전) 시험동치환(후) EL.(+) (m) N-Value EL.(+) (m) N-Value BH-12 TYPE-3 107.81 3 - - 106.31 5 105.81 16 104.81 8 104.31 18 103.31 12 102.81 20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의 성과비교(TYPE -3)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평판재하시험의 성과
log(s)-log(q) s-q 2 2 Bearing Capacity (q, tf/m ) Bearing Capacity (q, tf/m ) 0.1 0.00 2.00 4.00 침 하 량 3.6 mm 6.00 1 Settlement (s, mm) Settlement(s, mm) 8.00 허용지지력 2 31.8 tf/m 이상 10.00 침 하 량 12.00 3.6 mm 허용지지력 극한지지력 10 2 31.8 tf/m 이 2 95.5 tf/m 14.00 극한지지력 16.00 2 95.5 tf/m 18.00 100 20.00 1 10 100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a) log p-log s 곡선 (a) log p-log s 곡선 (b) p-s 곡선 (b) p-s 곡선 (a) log p-log s 곡선 (b) p-s 곡선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평판재하시험의 성과(TYPE-1,2,3)
No. 870(3.0m), No. 871(6.0m) No. 863(3.0m), No. 865(6.0m) No. 874(3.0m), No. 875(6.0m) No. 872(3.0m), No. 873(6.0m) No. 868(3.0m), No. 869(6.0m) No. 876(3.0m), No. 877(6.0m)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과잉간극수압의 측정 결과(TYPE-1,2,3)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실내시험 결과 이하계속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과 ※ 실내시험 결과
시험동치환 확인시험 결론 ※ 본 시공에 적용될 타격시방의 산정
개 요 시험동치환의 결과를 검토하고 현장에 적합한 타격에너지를 산정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지반개량을 시행하는 작업을 말 한다. 작업 중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현상-타격의 증감, 타격홀의 형상, 주변부의 지반의 거동 등-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시공관리를 지속 적으로 해야한다. 4. 본동치환
4. 본동치환 ※ 수정된 동치환타격시방
4. 본동치환 “동치환 작업 ”
5. 본동치환확인시험 평판재하시험,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
5. 본동치환확인시험 결과 ※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의 성과비교(BH-1,BH-2,BH-3)
5. 본동치환확인시험 결과 ※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의 성과비교(BH-4,BH-5,BH-7)
5. 본동치환확인시험 결과 ※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의 성과비교(BH-8,BH-9,BH-11)
5. 본동치환확인시험 결과 ※ 평판재하시험의 성과(PBT-1, PBT-2, PBT-3)
(a) log p-log s 곡선 (a) log p-log s 곡선 (a) log p-log s 곡선 (b) p-s 곡선 (b) p-s 곡선 (b) p-s 곡선 5. 본동치환확인시험 결과 ※ 평판재하시험의 성과(PBT-1,2,3)
6. 결 론 본 현장의 개량효과는 현장확인시험(표준관입시험,평판재하시험) 과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추 및 표준관입시험 결과 동치환 구간에 따라 3.1m~4.0m(평균3.58m, 상부 골재층 포함) 하부까지 동치환구근(쇄석기둥)이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약층 하부 모래층 및 풍화토층의 강도도 증가하였다. 평판재하시험(Φ400)결과 6개소(시험 동치환 후 3개소, 본동치환 후 3개소)에서 시행한 평판재하시험은 모두 극한값을 나타내었다. 허용지지력의 관리기준은 qe=30t/㎡이며, 침하량의 관리기준은 1 inch(2.54c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