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0 likes | 2.51k Views
아동 임상심리평가. 충북대 심리학과 황 순택. 임상심리평가의 구성. 면담 행동관찰 심리검사. 심리검사의 한계. 행동 vs 구인 ( 구성개념 , construct) 예 : 싸움 vs 공격성 심리검사를 통해 알고싶은 것은 내부의 구인 ,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료는 드러나는 행동 행동과 구인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1:1 대응 관계는 아니다 행동으로 구인을 추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추론의 오류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 된다. 좋은 심리검사의 요건. 신뢰도 타당도
E N D
아동 임상심리평가 충북대 심리학과 황 순택
임상심리평가의 구성 • 면담 • 행동관찰 • 심리검사
심리검사의 한계 • 행동 vs 구인(구성개념, construct) 예: 싸움 vs 공격성 • 심리검사를 통해 알고싶은 것은 내부의 구인,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료는 드러나는 행동 • 행동과 구인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1:1 대응 관계는 아니다 • 행동으로 구인을 추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이 추론의 오류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 된다
좋은 심리검사의 요건 • 신뢰도 • 타당도 • 표준화 • 규준 • 경제성
임상심리검사의 유형 / 강점과 약점 • 최대 수행 검사 : Wechsler’s, 학업성취검사, 신경심리검사, 발달검사 • 전형적 수행 검사 : - 자기보고형 검사: MMPI, SCL-90-R ,MBTI 등 - 투사적 검사:Rorschach, TAT, DAP 등 • 제 3 자 보고형 검사 : SMS, CBCL, KPRC 등
아동 심리검사의 특징 • 성인과 같이 인격이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발달과정 중에 있다. • 똑같은 행동이라도 연령에 따라 정상일 수도 비정상적일 수도 있다. • 아동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인식, 보고하기 어렵다. • 따라서,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의견이 필수적이다. • 양육자의 인식능력과 해석, 성격, 아동과의 관계 등이 보고에 영향을 준다. • 양육자의 보고의 원자료(행동)을 찾는 것이 방법이다.
아동 심리검사의 종류 • K-WISC-III • BGT, VM I • DAP • Rorschach • TAT(CAT) • MFFT • CPT(TOVA) • SMS • CBCL • KPI-C, KPRC
KPI-C •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 (홍창희, 김지혜, 주영희, 황순택, 1997) • 제작 목적(용도) : - 임상장면에서 아동의 정신과적 문제의 선별 진단 - 학교장면에서 심리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들의 조기 발견 • 문항수집 : - 우리나라 임상장면에서 환아나 보호자가 호소하는 증상들 - PIC(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Wirt, & Lachar, 1977), CBCL, 사회성숙도 검사, DSM-Ⅳ, ICD-10 • 구성 : 예/아니오 방식, 255문항, 16개 척도, 4-15세 아동 대상
KPRC •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김지혜, 조선미, 홍창희, 황순택, 2006) • KPI-C의 수정판 • 구성 : 3 타당도척도, 자아탄력성척도, 10임상척도. 총 177문항, 4점 평정척도 보호자평정형(cf. 자기보고형, 교사평정형)
* KPRC의 척도구성
해석의 단계적 절차 • 프로파일의 타당성/정보의 왜곡 평가 - 과잉긍정 : ERS, L척도 하강, 다른 모든 척도의 지나친 상승 - 과잉부정 : ERS, L척도 상승, 다른 모든 척도의 지나친 하강 - 무작위 반응 • 척도별 검토 - 상승척도와 하강척도 • 프로파일의 해석
T-R 척도의 상승 • 부주의 하게, 일관성 없이 응답했을 가능성 • 독해능력이 부족했을 가능성 • T-R척도 상승시 임상척도의 상승 가능성 증가 • 프로파일을 그대로 해석하는 것은 주의해야
L 척도 •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제행동을 부정하고, 아주 바람직한 아이로 기술하려는 방어적인 태도를 측정 • 아동의 사소하거나 자연스러운 부정적 행동도 전혀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태도 • 이 척도 상승시 임상척도의 점수가 저하된다. 따라서, 임상척도의 경미한 상승도 심각한 문제를 반영할 수 있다.
F 척도 • 현재 경험하는 적응문제를 의도적으로 과장하려 하거나 실제로는 있지 않은 증상을 호소하는 것과 관련된 척도 • 규준집단에서의 평균 점수 분포를 기준(하위 10%)으로 선정된 문항 • 의도적으로 증상을 과장하려는 시도 • 척도상승시: 심각한 정신병리와 부적응의 가능성을 시사 점수가 상승할 때 다른 면접이나 검사결과와 함께 고려하여 해석
세 타당도 척도의 동시적 검토 1 • T-R, L, F 척도가 모두 상승하지 않는 경우: 표준점수대로 해석 • L 척도 단독 상승 임상집단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음 F 척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을 경우 대체로 정상발달 아동 임상집단에서 문제를 김추거나 부정하려는 태도 • F 척도 단독 상승 문제를 과장해서 보고하려는 시도 부적응의 가능성 다른 자료나 문항분석 필요 / 프로파일을 그대로 해석하면 오해석할 가능성이 있다.
세 타당도 척도의 동시적 검토 2 • T-R 척도 상승, F 척도 상승하지 않는 경우 상당히 드물지만 무선응답의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일관성 없이 응답한 문항의 내용을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독해력 부족 -문항의 미묘한 뉘앙스차이를 이해 실패 가능성. • T-R 척도와 F 척도의 동시 상승 무선응답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문항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만한 능력이 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ERS 척도(자아탄력성) • 내적, 외적 스트레스에 융통성 있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개인의 전반적인 능력 • 자아탄력성이 높은 아동들은 상황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행동을 하고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문제해결의 책략들을 융통성 있게 사용 • 심리적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이나 적응잠재력을 측정하기 위해 포함됨. • 문항내용: 자신감 / 또래관계에서의 효능감 / 원만한 관계형성능력 / 정서적 안정감/ 자신감 / 집중력 • 여러 정신병리 발현의 역지표이며, 정신병리의 발현시 환경적 요인의 심각성과 아울러 치료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 및 좋은 예후를 시사해주는 지표 • KPRC의 모든 임상척도와 높은 부적 상관: 우울과는 - .70, 비행과는 - .60 상관
VDL 척도 (언어발달) • 아동의 언어발달이 연령에 맞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측정함 • 언어발달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적 수준, 학업성취 정도 등도 관련됨 • 광범위한 영역의 지적 발달을 반영하는 내용들로 구성 • 다른 척도들과 관련하여 두 발달척도는 다른 적응상의 문제와의 관련성을 시사 • 종합적으로 진단을 내리거나 예후를 평가하는데 유용 • 모든 임상척도와 유의한 수준은 정적 상관 : 운동발달척도(.69), 정신병 척도(.64)
PDL 척도 (운동발달) • 정신운동기능, 동작성 능력에서 발달의 지체나 기능손상을 측정 • 전반적인 지적 수준, 운동능력의 발달, 정교한 정신-운동 협응력, 위생관리 등과 관련이 있다. • 일상적인 위험에의 대처능력 등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 • 척도상승은 운동능력과 신체발달의 지체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 모든 임상척도와 유의미한 상관: 언어발달척도와 가장 높은 상관(.69)
ANX 척도 (불안) • 자연현상, 동물, 대인관계, 사회관계에서의 두려움이나 불안을 측정 • 수면장애, 등교거부, 타인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실수 회피, 지나친 긴장, 예민성, 걱정 등과 관련된 문항 • 모든 임상척도와 정적인 상관: 우울(.67), 정신병 척도(.65), 자아탄력성(-.50)
DEP 척도 (우울) • 우울한 기분, 자신감의 결여, 활동성 저하, 가정불화, 흥미의 감소, 사회적 철수 등을 측정 • 임상척도와는 모두 의미 있는 정적상관: 사회관계척도(.67), 자아탄력성((-.70) • 스트레스를 견디고 환경적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정도가 매우 낮음 • 걱정이 많고 쉽게 상처받으며 사소한 일에도 금방 좌절, 짜증을 내거나 반항적이며, 때로 감정의 기복, 낮은 자아존중감, 자기 비판적, 무망감을 보인다.
SOM 척도 (신체화) • 건강과 신체감각에 대한 내용들 • 신체화 경향성 : 심리적인 문제를 신체증상으로 표현, 호소 • 주의나 관심을 얻으려는 시도 / 책임감, 불편한 상황 회피 수단 • 경미한 상승시 신체증상 유무와는 무관하게 피곤감, 통증, 고통을 호소함을 시사 • T 70 이상 상승시: 요통, 호흡곤란, 위 통증, 흉부통증, 현기증 등 호소.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신체증상 발현 / 과도한 수면, 만성적인 무기력 등을 시사함. • 모든 임상척도와 유의한 상관: 우울척도(.55)
DLQ 척도 (비행) • 비행성향, 품행장애: 반항과 불복종, 공격성과 적대감, 충동성, 무책임, 거짓말, 도벽 등을 측정 • 부적응과 높은 상관: L척도(-.72), F척도(.68), 과잉행동척도(.66) • 척도상승시: 비순응적이고 무책임한 행동, 충동적 행동, 분노조절 무능, 짜증, 불순종, 불평, 불량 교우, 잦은 다툼, 공격행동, 학교성적 저조, 학업동기 부족, 사회기술 결핍, 또래문제, 책임전가 등 시사
HPR 척도(과잉행동) • ADHD: 부주의, 산만, 과잉행동, 충동성, 학습문제, 대인관계문제, 우울 등 측정 • L척도(-.66), 자아탄력성 척도(-.36), 비행 척도(.65), 정신증 척도(.61)의 상관 • 척도상승시: 시비를 잘 걸고, 또래와 잦은 갈등, 다른 사람의 대화 방해를 비롯한 광범위한 영역에 서 행동문제, 통제력 저하와 관련된 문제, 판단력 미숙, 사회인지의 왜곡과 관련된 문제 나타난다. 이들은 부모나 교사에게 불응하는 경우가 잦고 훈계나 지도를 통해 행동이 잘 교정되지 않는다.
FAM 척도 (가족관계) * FAM 척도 (가족관계)
FAM 척도 (가족관계) • 가족원들 간의 갈등, 부모가 아이를 대하는 태도, 부모의 부적응 여부 등을 측정 • 가족내 관계와 분위기는 아동의 부적응이나 정신병리에 영향 • 치료계획을 세우거나 개입방법을 결정할 때 중요한 정보 제공 • 모든 임상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 F척도(.57), 우울척도(.43) • 척도상승시: 부모의 이혼이나 별거, 갈등적 가정, 가족 공동의 관심사나 활동의 부재, 양육에 대한 부모의 의견 불일치, 심리적 혹은 신체적 학대, 부모의 알콜 또는 정신건 강의 문제 등의 가능성이 크다.
SOC 척도 (사회관계) • 또래관계나 어른들과의 관계 등 사회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측정 • 또래관계에서의 소외, 리더쉽과 자신감의 부재, 대인관계에서의 불안이나 수줍음, 제한된 인내력과 포용력 등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 • 다른 척도와의 관계: 자아탄력성 척도(-.55), 우울척도(.66) • 척도상승시 : 친구를 사귀는데 어려움이 있고, 소수의 친구만 사귄다. 사회적 관계에서 철수되어 있으며, 수줍음이 많고 밖에 잘 나가지 않으려 한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을 어려워하고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는 것도 힘들어한다.
PSY 척도 (정신증) • 발달상의 일탈, 망상과 환각, 비현실감, 상동적인 행동, 현실접촉의 어려움 등 정신병적 증상을 측정 • 다른 척도와의 관계: F척도(.85), 우울척도(.67), 비행척도(.62), 과잉행동척도(.62), 언어발달척도(.64) • 척도상승시 :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며 의존적이고, 적응력이 떨어진다. 전반적으로 적응에 어려움을 보일 뿐 아니라 인지능력이나 학업성취에서도 저조한 수행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일부 아동은 혼란되고, 의사소통이나 정서소통에 문제를 보이며, 현실에 무관심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정신병, 전반적 발달장애, 정서적 불안정, 사회적 기술의 부족, 사회적 철수나 고립)
진단별 프로파일 • 정신지체 • 학습장애 • 우울증 • 품행장애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별 프로파일: 정신지체 • 58명의 정신지체 아동의 평균점수 프로파일 • 언어, 동작의 두 발달 척도에서 70 T 이상 상승 • 특히 언어발달 척도의 평균은 80T • 우울, 사회관계의 문제 - 2차적으로 수반 • 과잉행동 척도, 정신증 척도의 상승 -중복진단 가능성 • F척도, 정신증 척도의 상승 - 현실검증, 판단력 저하, 사회적 철수
진단별 프로파일: 학습장애 • 21명의 학습장애 아동의 평균점수 프로파일 • 모든 척도에서 70T 이하 • 언어발달, 우울, 과잉행동, 정신증 척도에서 70T에 육박 • 우울, 사회관계의 문제 -이차적으로 수반 • 과잉행동, 정신증 척도의 상승 - 경미한 기질적 문제 의심; 중복진단가능성
진단별 프로파일: 우울증 • 우울증으로 진단된 아동 30명의 평균점수 프로파일 • 모든 임상 척도가 50T 이상 • 우울 척도에서 상승 • 발달 척도의 상승 - 경미한 발달상의 지체 • 비행, 과잉행동 척도의 상승 - 우울이 행동상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음 • 사회관계, 정신증 척도의 상승 - 2차적으로 수반된 사회적인 철수
진단별 프로파일: 품행장애 • 일차 진단이 품행장애인 아동 15명의 평균점수 프로파일 • 행동상의 문제와 관련된 두 척도가 가장 높게 상승 • 언어나 동작 등 발달면에서 평균정도 • 정서면에서 경미한 우울 시사 • 가족관계, 사회관계 척도에서 평균정도
진단별 프로파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로 진단된 아동 124명의 평균점수 프로파일 • 프로파일의 양상은 품행장애의 경우와 매우 유사하나 모든 척도에서 5T~10T 정도 더 상승 - 품행장애 아동들에 비해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의 적응상 문제가 보다 심각함을 시사 • 특히, 우울이 심하고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의 양상 • 언어발달, 정신증 척도의 상승은 경미한 기질적인 문제와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