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likes | 1.21k Views
6 장 . e-ERP. e-ERP 의 개요. 1. 기업의 전사적 자원에 대한 최적화 기존의 정보화는 특정부문의 한정된 업무영역만을 목표로 부문 최적화 ERP 는 기존의 Local Optimum 을 조직 전반의 Global Optimum 으로 전환 1970 년대 자재소요계획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MRPI) 1980 년대 제조자원계획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MRPII)
E N D
1. 기업의 전사적 자원에 대한 최적화 • 기존의 정보화는 특정부문의 한정된 업무영역만을 목표로 부문 최적화 • ERP는 기존의 Local Optimum을 조직 전반의 Global Optimum으로 전환 • 1970년대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MRPI) • 1980년대 제조자원계획(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MRPII) • 1990년대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생산관리분야의 JIT(Just In Time), TQM(Total Quality Management) • -경영관리분야의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등을 기반으로 함 • 2000년대 확장형 ERP (Extended ERP) : SCM, CRM, PDM의 개념을 포함 • 기업의 전사적 자원에 대한 정의 산업화사회의 3M • -Man(인적자원): 기업의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 • -Material(물적자원): 생산부문의 자재소요계획에서 제조자원과 물류흐름을 관리 • -Money(재무자원): 기업의 현금흐름과 자금수지에 대한 관리 • 시장환경의 글로벌화에 따른 제품생산 및 자원관리에 대한 가치사슬구조의 혁신 e-ERP의 출현배경
동일한 정보(데이터, 문서, 도면)의 중복관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 시스템 부서간, 업무 프로세스간 정보의 흐름(교환 및 공유) 단절 독립 시스템(모듈) 1 독립 시스템(모듈) 1 부서간 정보 및 업무 프로세스의 표준화 부재 부서(기능) 1 부서(기능) 2 e-ERP의 출현배경 • 2. 기업 자원관리를 위한 정보의 통합관리 중요성 증대 • 기존의 화일시스템 구조에서 통합된 정보시스템 구조로 전환 •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다양한 조직적 • 업무를 정보시스템에 반영하여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상황으로 발전
ERP 시스템의 개념 정의 • 기업의 제품 생산을 위한 구매, 생산, 영업, 설비, 자재 등의 본원적 활동뿐만 • 아니라 인사, 회계, 원가 등의 지원활동을 통합하여 기업이 보유한 유무형의 • 경영자원을 전사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시스템 • ERP 시스템의 구축목적 ERP 시스템의 개념과 목적 정보기술 활용 프로세스 통합 인터넷, 4GL, EDI, 인트라넷, 통합DB 수주에서 출하까지, 다 부문 업무연계 E R P 시스템 구축 자원 최적화 B P R Master 정보 체계화 인적, 물적, 재무자원 Business Process Redesign 기업경영의 최적화 기업경영의 최적화
통합 데이터베이스 (IDB) 통합 시스템(모듈) 1 통합 시스템(모듈) 2 부서내 프로세스 1 부서간 프로세스 2 부서간 프로세스 3 부서내 프로세스 4 부서(기능) 1 부서(기능) 2 부서(기능) 3 ERP 시스템의 개념과 목적 • ERP 시스템의 처리방식 조직의 여러 부문에 걸친 프로세스 지향적인 정보시스템 처리방식 Cross-Functional Process-Oriented
정보시스템의 변천과정 ERP 시스템의 개념과 목적 MRP-I MRP-II ERP-I ERP-II 시스템 내용 확장형 ERP (Extended ERP) 전사적자원관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자재소요계획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제조자원계획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명칭 2000 1990 년대 1970 1980 기업의 전업무 대상과 SCM, CRM, PDM 통합 기업의 전업무 대상 (영업, 생산, 자재, 물류, 품질, 인사, 회계, 원가) 범위 제조 제조, 영업, 회계 기업내 전업무 지원과 공 급망관리, 고객관계관리, 제품데이터관리 판매계획, 생산계획, 생산 일정계획, 자재소요계획, 능력소요계획, 작업순위 판매계획, 생산계획, 생산 일정계획, 자재소요계획, 능력소요계획, 작업순위 생산과 자재소요계획 기능 ERP 효과에 추가적으로 고객관계, 협력사관계를 고려한 생산 및 스케줄링, 전략적 가치관리 기업의 효율성 향상, 비용절감, 생산량 증대 유휴시간 감축 비용절감, 효율향상, 고객요구대응, 판매예측향상 기업의 효율성 향상, 비용절감, 생산량 증대 유휴시간 감축 도입효과 시스템의 한계와 낮은 성공율, 기업 내부 프로 세스 확립 미흡 기업의 네트워크 형성과 네트워크 경쟁력을 위한 Hub 구축 미흡 시스템의 한계와 낮은 성공율, 기업 내부 프로 세스 확립 미흡 기업 내부의 전반적인 관리를 지원하기에는 미흡 한계점
ERP 시스템의 구축방법 • ERP 시스템의 구축방법 기존 MIS 시스템의 구축방법과의 유사점 계획, 분석, 설계, 구축, 유지보수 등의 단계를 거쳐 수행됨. 업무범위가 조직 전반을 대상으로 프로세스 지향적이면서, 여러 부문에 걸친 개발과정을 수행 정보시스템의 개발과정에서 조직적 저항이 발생하여 변화관리가 필요함. 기존 MIS 시스템의 구축방법과 차이점 전사적 자원의 최적화를 위한 업무의 재설계 과정이 필수적임. 자체개발 보다는 ERP 패키지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Customizing 수행이 필수적임. ERP 패키지내의 Best Practice에 대한 수용여부가 중요한 관건임.
현행 분석(모델링) 현행 AS-IS 문제점/요구사항 패키지 분석 및 선정 (현업과 패키지 비교) 벤치마킹 (Best Practice) 요구분석 및 개념설계 GAP 리스트 작성 전사 데이터 표준화 개선안 및 도입모듈 선정 세부실행계획 수립 개선 (TO-BE) 상세설계 및 프로토타이핑 ERP 시스템의 구축방법 • 구축방법 1안 : 현행 분석 후 ERP 패키지 도입 표준화,BPR, ERP 구축 동시 수행
패키지 분석 및 선정 (현업과의 비교) 벤치마킹 (Best Practice) 현행 분석(모델링) 현행 AS_IS 문제점/요구사항 요구분석 및 개념설계 GAP 리스트 작성 개선안 및 도입모듈 선정 개선 (TO-BE) 전사 데이터 표준화 세부실행계획 수립 상세설계 및 프로토타이핑 ERP 시스템의 구축방법 • 구축방법 2안 : ERP 패키지 선정 후 현행 분석 표준화,BPR, ERP 구축 동시 수행
ERP 시스템의 특징 • 기능적 특징 1) 산업별 업무기능을 지원하는 솔루션 ERP 공급업체가 지원하는 범용형 솔루션과 산업특화 솔루션 범용형 솔루션은 다양한 유형의 생산형태를 지원하며, 파라미터의 조정이나 프로그램 수정이나 추가에 의해 제품기능을 지원. 산업특화 솔루션은 업종의 특성에 맞도록 프로세스가 구성되어 프로그램 수정이나 추가가 거의 없이 Best Practice를 기반으로 제품기능 지원. 2) 글로벌 환경에서의 다국적 기업 지원 한 국가내의 단일회사가 아닌 글로벌 경영환경에 따른 다국적 기업 지원 여러 국가의 통화, 결제수단, 언어처리 등의 기능변경 및 추가가 용이함.
ERP 시스템의 특징 • 기능적 특징(계속) 3) 통합된 업무 프로세스 지원 조직 구성원의 인사관리, 물류관리, 영업지원, 제품생산 및 구매활동 지원 지역적으로 분산된 본사와 대리점간의 거래지원 국제적으로 분산된 본사와 해외지사간의 통합적 회계(국제기준 수용) 4) 파라미터 설정에 의한 단기간의 구현을 지원 사용자들의 업무요구사항에 대하여 입력화면, 처리화면, 출력화면 등에 대한 지원 뿐만 아니라 새로운 요구 발생시 패키지가 보유한 프로그램의 기능 수정이나 파라미터(parameter) 설정으로 변경이 용이해야 함. ERP 설치시의 개발기간 단축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으로 투입자원을 절감.
ERP 시스템의 특징 • 기술적 특징 1)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대부분의 기업이 ERP 서버와 사용자들의 PC를 연결하는 아키텍처를 채택함. 지역적인 분산처리를 위해 ERP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방향으로 구조를 선정 2) 개방형 체제 및 다양한 정보기술 지원 업계표준과 국제표준을 수용하는 개방형 시스템환경을 구성함. ERP 패키지의 대부분은 3세대 보다는 4세대 언어를 기반으로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방식을 채택하여 이식성, 호환성, 확장성의 장점을 가짐. Web 기반의 ERP 시스템이 최근 부각되고 있으며, Visual 계열의 CBD(component-based Development) 및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활용
ERP 시스템의 특징 • 기술적 특징(계속) 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DBMS) 채택 영업, 생산, 자재, 품질, 인사, 회계 등의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기업의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기존 화일시스템의 구조보다 거래 데이터의 중복 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 4)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및 멀티미디어 지원 ERP 패키지의 운영환경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이 간편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가지고 있음. GUI 환경에서 문자, 그래픽, 음성, 화상, 동영상 등의 각종 정보를 쉽게 활용하며, 제품설계도면, 불량제품 처리화면 등을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Excel이나 스프레드쉬트 혹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전환하여 정보교환이 가능
e-ERP 시스템의 구성 • e-ERP 시스템의 구성 • Front-Office 업무 기업의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 (고객관리, 주문처리, 납품관리, 사후관리 등) • 제조활동 관련업무 기업의 제조활동에 관련된 구매활동, 생산활동, 외주관리업무 등 • Back-Office 업무 기업의 거래활동에 대한 내부적인 업무지원 기능을 포함 (설비 및 기자재 등의 자산관리, 회계관리, 인사관리 등)
e-ERP 시스템의 구성 • 제조업 ERP 시스템의 기능 구성 Front-Office Back-Office 제품영역 생산관리 인사관리 영업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 (IDB) 납품관리 자산관리 거래처관리 구매관리 회계관리 원자재, 부자재 외주관리 금융기관 협력사관리
e-ERP 시스템의 주요 기능 • 영업관리 제품계획 가격정책 광고홍보 전략 기능 • 소비자분석 • 시장조사 • 영업성과 • 시장점유율 • 가격결정 • 유통망분석 • 수익성분석 • 경쟁사 비교 • 제품개발 • 판촉계획 • 광고효과분석 • 클레임분석 전술 기능 • 주문접수 • 주문처리 • 영업사원관리 • 제품재고관리 • 제품원가 • 유통망 개발 • 매장관리 • 유통채널개선 • 물류관리 • 고객면담 • 제품선적관리 • 고객사후관리 운영 기능
e-ERP 시스템의 주요 기능 • 생산관리 생산계획 설비계획 품질계획 전략 기능 • 생산일정계획 • 자재수급계획 • 재고계획 • 물류계획 • 설비가동계획 • 공정관리계획 • 설비통제 • 제품설계 • 품질통제 • 품질보증 전술 기능 • 원자재 소요 • 부품 소요 및 명세 • 물가 조사 • 원자재 구매관리 • 원자재 입고관리 • 작업장 관리 • 설비가동 • 설비이력관리 • 작업투입인력 • 공정관리 • 생산실적관리 • 재공품 관리 • 품질검사 • 품질실적 • 재고상태 • 선적일정관리 운영 기능
e-ERP 시스템의 주요 기능 • 자재관리 자재계획 (원, 부자재) 협력업체관리 전략 기능 • 자재발주 • 거래처선정 • 재고계획 • 외주계획 • 사급계획 • 재고통제 • 제품설계 • 품질통제 • 품질보증 전술 기능 • 원자재 소요 • BOM 관리 • 견적관리 • 구매관리 • 입고관리 • 창고관리 • 거래처관리 • 발주관리 • 납품관리 • 입고관리 • 자재수불관리 • 사급관리 • 수입검사 • 자재품질실적 • 자재재고수준 • 협력업체품질 운영 기능
e-ERP 시스템의 주요 기능 • 인사관리 인력계획 노사정책 전략 기능 • 채용계획 • 직무분석 • 인원배치 • 교육계획 • 경력개발 • 인사고과 • 급여분석 • 근태분석 • 노조관리 • 상벌관리 • 교육효과분석 • 업적분석 전술 기능 • 인사기록관리 • 직무명세 • 근무일지 • 교육훈련일정 • 출장명세 • 급여처리 • 수당처리 • 상여금처리 • 출근관리부 • 승진대상자 • 상벌처리 • 교육자료관리 • 동호인활동 운영 기능
e-ERP 시스템의 주요 기능 • 회계관리 손익계획 전략 기능 • 재무회계 • 재무제표 • 손익계산서 • 관리회계 • 원가관리 • 원가보고서 • 세무회계 • 절세방안수립 전술 기능 • 전표처리 • 매출장관리 • 매입장관리 • 총계정원장관리 • 시산표 작성 • 일계표 작성 • 자산관리 • 감가상각 • 제조원가관리 • 원단위관리 • 물류비용 • 관리비용 • 부가세 관리 • 지방세 관리 • 국세 관리 • 법인세 관리 운영 기능
e-ERP 시스템의 도입방법 • e-ERP 시스템의 도입기준 도입방식의 선택 자체개발할 것인가? 혹은 외부 ERP 패키지를 구입할 것인가? 단계적인 접근 (Phased Approach)에 의한 ERP 구축인가? 혹은 일괄적인 교체(Big Bang Approach)에 의한 ERP 구축인가? 자체 개발과 패키지 도입 방식에 대한 검토 ERP 도입을 위한 ERP Planning 과정에서 도입방법과 접근방법에 대한 검토 필요 조직 여건(전문인력, 예산, 기간, 경험 등)을 고려하여 선정
e-ERP 시스템의 도입방법 • 자체개발과 패키지도입의 장단점 비교 장 점 단 점 구 분 • 초기 투자비가 상대적 낮음 • 사용자 요구사항의 반영 • 자사의 고유업무에 적합한 • 시스템 구성이 가능 • 자사의 know-How 축적 가능 • ERP 업체의 종속성 배제 • 개발기간이 장기간 소요 • 다수의 개발인력 필요 • 신기술 적용의 어려움 및 위험 부담 • 업무프로세스 개선의 어려움 • 과다한 유지보수 비용 자체 개발 • 상대적으로 높은 초기 투자비 • 컨설팅 및 교육기간이 필요 • 사용자의 요구사항 반영 미흡 • 선진 업무 프로세스 적용 어려움 • 특정 ERP 업체에의 종속성 • 시스템 전문지식의 확보 어려움 • 전사적인 시스템 통합 가능 • 개발기간의 단축 • BPR을 통한 업무개선 효과 • 검증된 최신 기술의 활용 • 경영혁신의 수단 활용 • 표준화에 의한 유지보수비 절감 ERP 패키지 도입
e-ERP 시스템의 도입과정 • ERP 시스템의 도입과정 1) 정보전략계획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경영환경, 기업전략, IT환경에 대한 분석으로 자원할당을 위한 IS 전략을 도출 주요 산출물로는 조직의 IS 전략, 현행 IS 평가, 전사적 IS 아키텍처 수립 최종 산출물은 ERP 도입계획 자체개발 혹은 패키지도입에 대한 선택 단계적인 개발 혹은 일괄교체방식에 대한 선택 2) 현황분석(AS-IS Analysis) 현행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문제점이나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과정 3) 미래업무설계(TO-BE Design) 현황분석을 통한 AS-IS프로세스를 개선하는 프로세스 재설계 과정 4) ERP 시스템 구축 (Customizing & Implementation) 자체개발이나 패키지 도입에 따른 적용기업의 To-Be 프로세스를 반영하는 과정 5) ERP 시스템 유지보수(Maintenance) ERP 시스템의 구축 이후에 나타나는 업무변경이나 시스템 변경사항을 관리
e-ERP 시스템의 도입과정 • 정보전략계획(ISP) 사업계획 경영자원 조직분석 환경분석 기업전략 실행계획 프로세스분석 정보자원분석 투자계획 정보체계도 데이타분석 IS 전략 시스템 타당성 평가 ERP도입계획 현시스템평가 IT 환경 변 화 관 리 ( C h a n g e M a n a g e m e n t )
e-ERP 시스템의 도입과정 • ISP 이후의 ERP 도입과정 적용기업 ERP 공급사 현상분석 AS-IS ERP 패키지 교육훈련 기존 PROCESS/시스템 TO-BE MODEL작성 ERP 패키지 PROCESS 신 PROCESS 정립 Customizing 추가분 개발 ERP 패키지 MODULE ERP 시스템 구축 시스템 운영 구현 관리체계 정립 ERP 패키지 지원체제 기대효과 분석
e-ERP 시스템의 도입과정 현황분석(AS-IS Analysis) 1) 업무분석 : 업무 프로세스상의 병목현상이나 가치 없는 활동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찾아내는 작업 2) 정보분석 : 업무분석과정에서 정보의 중복관리, 단절현상 등의 비효율성을 제거하여 적절한 정보가 제공되거나 활용되도록 분석하는 과정 미래업무설계(TO-BE Design) 1) AS-IS 프로세스 분석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반영하고, 조직의 목표나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작업 2) TO-BE 프로세스의 설계에는 최소 3-5년 정도 변화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여 프로세스를 설계 3) ERP 패키지의 도입 시에는 ERP 패키지의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는 차이분석(Gap Analysis)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함.
e-ERP 시스템의 도입과정 ERP 커스터마이징 (ERP Customizing) 1) 자체개발의 경우에는 기존 시스템의 수정보완(Upgrade)이나 재개발 수행 2) ERP 패키지 선정의 경우에는 차이분석의 결과를 반영한 커스터마이징 수행 3) 커스터마이징 방법 파라미터 지정방식: 업무 및 정보요구에 따른 파라미터 만을 선택, 지정 프로그램 수정방식: 마스터 정보항목 등의 모든 프로그램 수정, 추가 ERP 시스템 구축 및 Data 검증 1) 단위모듈에 대한 Test: 프로그램상의 오류나 처리결과에 대한 검증 2) 모듈간의 통합 Test: 단위모듈 프로그램간의 Data 처리 연계 검증 3) ERP 시스템 운영환경 구축 하드웨어(H/W), 운영체제(OS), 데이터베이스(DBMS), 통신망(LAN) 등 4) ERP 시스템의 구축 이후에 기초 데이터나 처리 데이터의 값을 검증
e-ERP 시스템의 도입과정 ERP 유지보수 (ERP Maintenance) 1) Data 검증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ERP 유지보수단계로 연결됨. 2) 유지보수과정에서의 ERP 시스템 수정 새로운 업무의 발생 업무처리방법의 변화 사용자의 프로그램 수정 및 추가요구 ERP 시스템의 지속적 개선 (Upgrade 등)
e-ERP 시스템의 도입효과 ERP 도입효과 TO-BE Process AS-IS Process 업무재설계 (BPR) ERP 시스템 구현과 운영 • 업무 프로세스의 통합과 신속한 처리 • 조직내 정보공유기반 조성 및 중복작업 배제 • 정확한 의사결정 정보 제공과 관리수준 향상 • ERP 투자대비 효과로 관리비용의 절감 • 정보처리과정의 개선으로 조직 핵심역량 강화 • 최종사용자의 정보활용과 고객만족도 향상 • 조직내 정보자원의 통합과 정보인프라 개선
e-ERP 시스템의 도입효과 ERP 도입효과 1) 업무 프로세스 통합과 신속한 처리 기업내 기업간 업무의 통합으로 프로세스 연계에 의한 경영혁신 추구 2) 조직내 정보공유기반 조성 및 중복작업 배제 ERP 단위모듈간의 인터페이스와 조직내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3) 정확한 의사결정 정보제공 및 관리수준 향상 정보의 정확성과 실시간 정보처리로 각종 의사결정에서 최적화 관리가 가능 4) ERP 투자대비 효과로 관리비용 절감 최적 실행사례를 기반으로 관리비, 재고비용, 인건비 등의 비용 절감 5) 정보처리과정의 개선으로 조직 핵심역량 강화 기업의 업무활동 중 부가가치 없는 활동의 개선으로 경영자원을 집중 6) 최종사용자의 정보활용과 고객만족도 향상 업무관련 데이터나 정보의 실시간 접근으로 대고객 서비스의 향상 7) 조직내 정보자원의 통합과 정보 인프라 개선 기존 정보시스템의 한계점과 새로운 정보기술의 활용으로 확장성, 유연성 향상
중소기업을 위한 ERP ASP 서비스 • 중소기업을 위한 ERP ASP 서비스 ERP 도입과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ERP 도입을 위한 경영층의 인식도가 낮음 투자예산의 확보 어려움 정보화 전문인력이 부족 중소기업의 경영자원에 제약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대기업과는 달리 ERP 구축을 위한 투자예산이나 관리인력 등의 여건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ERP 패키지 일부를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I N T E R N E T Client LOG IN MANAGER ASP MANAGER 공통기준 정보관리 Business Process DB MANAGER A 부품기업 인사담당자 인사기준정보 인사관리 근태관리 급여관리 정산관리 A기업 Database B 부품기업 영업담당자 영업기준정보 수주관리 납기일관리 출하(납품) B기업 Database 모듈별 공통기준 정보 월판매계획 완재품재고 판매수불부 ID/PASSWORD 설정 A D O OLE DB 자재기준정보 제품수불부 자재수불부 C 부품기업 자재담당자 C기업 Database 시스템권한 부여 자재관리 일발주 가입고 입고 ID/PASSWORD 확인 D기업 Database 재고현황 거래처관리 회계기준정보 전표처리 원장관리 시산표 재무제표 D 부품기업 회계담당자 중소기업을 위한 ERP ASP 서비스 • 중소기업용 ERP ASP 시스템 구성도
중소기업을 위한 ERP ASP 서비스 • ERP ASP 서비스의 특징 • ERP ASP 서비스의 비용구조 비교 중소기업의 ERP 환경 구성을 위한 IT 아웃소싱 기법의 도입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 구성으로 기업의 경영관리 및 자원관리를 수행 표준화된 ERP ASP 패키지의 선정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운영 구분 비용 항목 ERP ERP ASP Setup 비용 전체비용에 포함 업체별 최초 1회청구 응용 서비스 비용 Rental 비용 없음 월 정액제 비용 없음 유지보수 비용 구축비용(연10-15%) DB 초기화 비용 없음 컨설팅 및 구축비용 ERP 설치 비용 사용자수 비례비용 사용자수 비례비용 구축 비용 ERP 컨설팅 비용 외부 컨설팅 비용 ASP 컨설팅 비용 ERP 커스터마이징 거의 없음 커스터마이징 비용 ERP Upgrade 비용 단계적 Upgrade 거의 없음 전체 소요 비용 매출액대비 0.5-1%수준 ERP구축비 10-25%수준
ERP SCM(DRP) MRP - Ⅱ 공급(유통)망관리 제조자원계획 MRP - CRP Ⅰ CRM 자재소요계획 생산능력계획 고객관리 재무회계 PDM 일반관리 제품데이터관리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Time Horizon 차세대 ERP 시스템 • ERP 시스템의 향후 전망 • 확장형 ERP 개념의 등장(SCM, CRM, PDM 등의 업무영역을 포함) • 변화하는 IT 환경 적응을 위해 자체개발보다는 아웃소싱 이용 • 글로벌 경영과 새로운 사업기회의 창출을 위한 e-Business환경 구축
Thank You Good Lu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