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likes | 293 Views
작자미상 ‘ 양산백전 ’. ■ 갈래 : 애정소설 , 적강 ( 謫降 ) 소설 , 영웅소설 , 군담소설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전기적 , 우연적 요소가 강하며 , 행복한 결말 ■ 주제 죽음을 무릅쓴 연인의 사랑과 재생 후의 성취 고난 극복을 통한 애정 성취 ■ 인물 양산백 : 전생에 선관 . 인세에 적강 . 기골이 준수 총명 . 추양대가 심랑과 결혼한 뒤 양대의 신행길에 묻어달란 부탁과 편지를 남기고 죽음 . 후에 양대와 부활하고 부귀영화를 누림 .
E N D
작자미상 ‘양산백전’ ■ 갈래 : 애정소설, 적강(謫降)소설, 영웅소설, 군담소설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전기적, 우연적 요소가 강하며, 행복한 결말 ■ 주제 죽음을 무릅쓴 연인의 사랑과 재생 후의 성취 고난 극복을 통한 애정 성취 ■ 인물 양산백: 전생에 선관. 인세에 적강. 기골이 준수 총명. 추양대가심랑과 결혼한 뒤 양대의신행길에 묻어달란 부탁과 편지를 남기고 죽음. 후에 양대와 부활하고 부귀영화를 누림. 추양대:전생에 선녀. 선관과 정을 통한 죄로 적강. 꽃다운 기질. 지혜. 양산백과 사랑을 맹세하지만 추상서(父)가 심랑에게 정혼시킴, 효와 사랑(번민). 후에 신행길에 묻힌 산백의 묘가 갈라지자 그 속으로 뛰어 들어가 산백과부활함
작자미상 ‘양산백전’ 갈등 절(사랑)을 선택하는 추양대 추양대
허균 ‘홍길동전’ ▣ 연대 : 조선 선조 . ▣ 작자 : 허균 ▣ 형식 : 국문, 장편, 사회, 영웅, 이상, 도술 소설 ▣ 성격 : 당대의 사회 문제를 다룬 소설로 현실성이 강함. 도술적 요소. 비판적. 사실적 묘사 미흡 ▣ 문체 : 국문체. 산문체. 문어체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배경 : 조선 시대, 조선국과 율도국 ▣ 주제 : ① 적서 차별의 철폐와 인간 평등 사상[봉건적 사회 제도의 개혁] ② 탐관오리의 부정 부패 일소와 빈민 구제 사상[탐관오리 규탄]. ③ 율도국의정벌·지배[해외 진출과 이상국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