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1.46k Views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형성. 교과목 : 가톨릭 사회복지학 B 지 도 : 전영순 교수님 발표일 : 2013. 5. 22 학 과 : 사회복지학부 , 간호학부 10 조원 : 20131059 이민섭 20133040 최경민. 목 차. I.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E N D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형성 교과목 : 가톨릭 사회복지학B 지 도 : 전영순 교수님 발표일 : 2013. 5. 22 학 과 : 사회복지학부, 간호학부 10조원 : 20131059 이민섭 20133040 최경민
사회복지사란? • 1) 정의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사회사업에 종사하는 사람.
사회복지사란? • 2) 일반적인 활동영역 • (1) 공적사회복지영역 사회복지사업법 제14조 • (2)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영역 지역복지사업, 아동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모자복지 등의 민간 사회복지지관 영역 • (3) 보건의료영역 (1)의료사회복지사 (2)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란? • 3) 특이한 사회복지사 • (1) 학교사회복지사(School Social Worker) • (2) 자원봉사활동관리 전문가 (Voluntary Activities Coordinator) • (3) 교정사회복지사(Correctional Social Worker) • (4)군사회복지사 (Military Social Worker) • (5)산업사회복지사(Industrial Social Worker)
클라이언트란? • 1) 정의 • 클라이언트는 (전문가의 서비스를 받는) 의뢰인[고객]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원래 고객이라는 의미에서 점차 변호사나 사회사업가 등의 전문가의 원조를 청해 상담을 의뢰하는 사람의 뜻을 지니게 됨
클라이언트란? • 2)사회복지에서의 클라이언트 • 사회복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을 총칭하여 말한다. • 그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장애인 등과 같은 사회적인 약자에서부터, 일반 국민에게까지 확대될 수 있다. • 기존의 대상이나수급자라는 말이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수동적으로 만들고, 낙인(stigma)이 박힐 수 있다는 이유로 인해 클라이언트라는 말을 그대로 쓰고 있다.
관계형성이란? •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서로 관련을 맺는것.
1. 사회 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란? • 개별지도의 관계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태도나 감정의 역동적 상호작용 • 그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자신과 그 환경 간에 보다 나은 적응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에 있다.
2. Biestek의 7대 관계론 • 1) 개별화(individualization) • 개별화라는 것은 각 클라이언트의 독특한 자질을 알고 이해하는 일 • 각 개인의 도와줌에 있어서 상이한 원리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 인간은 개인이어야 하며, 개별적 차이를 지닌 특정한 인간으로서 처우되어야 한다.
2. Biestek의 7대관계론 • 2) 의도적인 감정표현(purposeful expression of feelings) • 이것은 자기감정 특히 부정적 감정을 자유로이 표현하려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 사회복지사는 의도적으로 경청하여야 하며, 그의 감정 표현을 낙담시키거나 비난하지 말아야 하고, 치료상 필요할 경우에는 자극을 주고, 격려도 해주어야 한다.
2. Biestek의 7대 관계론 • 3) 통제된 정서적 관여(controlled emotional involvement) • 클라이언트와의 면접은 주로 정서적인 면에 관계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자기감정을 말로서 표명하도록 권고해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이들의 감정에 호응하기 위해 정서적으로 관여 • ---이 관여는 통제되어지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총체적 목적에 따라, 클라이언트 욕구의 변화에 따라, 또는 사회복지사의 전진적·진단적 사고에 따라서 그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 Biestek의 7대 관계론 • 4) 수용(acceptance) • 수용이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그의 있는 그대로를 이해하고 다루어 나가는 하나의 행동원칙이다. • 이때에는 클라이언트의 존엄성과 그 인격의 가치에 대한 관념을 유지해 나가야 한다. • 그러나 수용은 정상적인 길에서 벗어난 태도나 행동을 시인한다는 것은 아니다. • 수용의 대상은 선한 것(the good)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참된 것(the real)이다.
2. Biestek의 7대 관계론 • 5) 비판단적 태도(non-judgmental attitude) • 이것은 사회복지사의 기능이 문제 혹은 욕구 발생의 원인에 대해서 클라이언트가 잘못이 있나 없나 혹은 그에게 어느 정도 책임이 있느냐의 여부를 말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태도나 행동에 대한 평가적인 판단은 하고 있어야 한다.
2. Biestek의 7대 관계론 • 6)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 개별지도 과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는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유로운 권리와 욕구를 갖고 있다는 점을 인식. • 사회복지사의 임무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필요한 제반 자원을 발견 ·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은 클라이언트의 능력, 법률 및 도덕의 한계 또는 사회복지기관의 활동범위 등에 따라 제한을 받게 된다.
2. Biestek의 7대 관계론 • 7) 비밀보장(confidentiality) • 비밀보장은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요구이므로 사회복지사는 이에 응할 책임이 있다. • 이것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개별지도의 인간관계는 성립될 수 없다. • 그러나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권리는 절대적인 것만은 아니다. • 때로 클라이언트의 비밀은 그 기관 내에서나 다른 기관 전문직원에게 밝혀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모든 직원에게 비밀보장의 의무가 확대 적용된다.
3. 사회복지사의 윤리 강령에서 볼 수 있는 관계 형성 • 1) 전문가로서의 자세에 대한 항목 참조 •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에 나와 있는 전문가로서의 자세의 2항을 참조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종교 · 인종 · 성 · 연령·국적 · 결혼상태 · 성 취향 · 경제적 지위 · 정 치적 신념 · 정신, 신체적 장애 · 기타 개인적 선호, 특징, 조건, 지위를 이유로 차별 대우를 하지 않는다고 나와 있다.
3. 사회복지사의 윤리 강령에서 볼 수 있는 관계 형성 • 2)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에 대한 항목을 참조 • (1)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하며 이를 활용하고 전파할 책임이 있다. • (2)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사회복지사는 저들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자발적이고 고지 된 동의를 얻어야 한다. • (3) 연구과정에서 얻은 정보는 비밀보장의 원칙에서 다루어져야 하고,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신체적, 정신적 불편이나 위험·위해 등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3. 사회복지사의 윤리 강령에서 볼 수 있는 관계 형성 • 3) 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에 대한 항목 참조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지불능력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이유로 차별대우를 해서는 안 된다
3. 사회복지사의 윤리 강령에서 볼 수 있는 관계 형성 • 4)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에 나와 있는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 (1) 클라이언트의 권익옹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행동한다. • (2)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존중해야 하며, 전문적 기술과 능력 을 최대한 발휘한다. • (3) 클라이언트가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행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저들의 이익 을 최대한 대변해야 한다. • (4)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직무 수행과정에서 얻은 정보에 대해 철저하게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 • (5) 클라이언트가 받는 서비스의 범위와 내용에 대해,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알 권리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 • (6) 문서·사진·컴퓨터 파일 등의 형태로 된 클라이언트의 정보에 대해 비밀보장의 한 계·정보를 얻어야 하는 목적 및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야 하며, 정보 공개 시에는 동의를 얻어야 한다. • (7) 개인적 이익을 위해 클라이언트와의 전문적 관계를 이용하여서는 안 된다. • (8) 어떠한 상황에서도 클라이언트와 부적절한 성적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 • (9) 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환경조성에 클라이언트를 동반자로 인정하고 함께 일해야 한다.
4 . 관계 형성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사례 •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6361더 ‘은밀’하고 ‘조용’하게, 장애인생활시설 속 인권침해 • http://news.donga.com/3/all/20130415/54447549/1보육원 지도교사들, 훈계한다며 중학생 집단폭행-매장 협박 • http://news.kbs.co.kr/news/naverNewsView.do?SEARCH_NEWS_CODE=2656918 ‘아동 학대 보육원’ 감시 사각지대 • http://news.sportsseoul.com/read/life/1183408.htm 日 보육원 교사, 낮잠시간 틈타 여아 옷 벗기고 성추행 '체포'
5 . 관계 형성은 어떻게 해야 좋을까? • 영화 데드맨워킹(Dead Man Walking)
2. 그리스도의 이웃 사랑 •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다스리신 것이 아니라 섬기셨다. 마태복음 25장 40절에서 “너희가 내 형제들인 이 가장 작은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해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 준 것이다.”라고 하신 것처럼 그리스도의 사랑과 이웃 사랑은 하나인 것이다.
3. 느낀점 • <이민섭> • 나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관계를 현재의 이론으로 공부하고 있다. 그러나 내가 이런 이론적 공부를 하는 것은 내가 장차 나아가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를 섬기고 동등한 관계로서 서로 발전해가는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함이다. 또한 내가 꽃동네대학교를 오게 됨으로써 나는 예수님께서 강조하신 이웃 사랑의 계명이 사실은 사회복지사가 당연히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는 것을 배웠고, 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다시금 이 사실을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 사회로 나아가서 이러한 마음을 잃지 않는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다. • <최경민> • 갑자기 조가 바뀌어 당황스러웠고 다른 과라서 주제도 다르고 시간도 많이 안 맞아 힘들었다. 그래도 틈틈이 시간을 내어 조금씩 하다 보니 완성 아닌 완성이 되었는데 내가 아직 많이 부족함을 느꼇고, 더 열심히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참고문헌 • <문헌> • 전영순 “가톨릭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 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10 • 장인협, 이혜경, 오정수(2007), “사회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 한국 사회복지사협회http://www.welfare.net/site/Index.action • <사이트> •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6361 -웰페어뉴스 • http://news.donga.com/3/all/20130415/54447549/1-동아신문 • http://news.kbs.co.kr/news/naverNewsView.do?SEARCH_NEWS_CODE=2656918–kbs뉴스‘ • http://news.sportsseoul.com/read/life/1183408.htm • -스포츠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