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likes | 952 Views
아동 및 청소년 정신장애의 약물치료. 김 태 호 한양의대 정신과. 치료에서의 원칙. 포괄적인 평가 : 진단 , 장단점 , 아동 , 가족 포괄적인 치료 : 약물 , 정신치료 등 다학제적 접근 가족 - 부모와 협력. 치료의 목표. 증상의 완화 정서 및 행동상의 기능 수준 증진 기능 수행 결함의 교정 정상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 제거. 약물사용 시 고려 사항들 (1). 1. 적응증 2. 치료 효능의 증거들 3. 치료 작용의 기전 4. 약역동학 / 약역학 5. 용량 및 용법
E N D
아동 및 청소년 정신장애의 약물치료 김 태 호 한양의대 정신과
치료에서의 원칙 • 포괄적인 평가 : 진단, 장단점, 아동, 가족 • 포괄적인 치료 : 약물, 정신치료 등 • 다학제적 접근 • 가족-부모와 협력
치료의 목표 • 증상의 완화 • 정서 및 행동상의 기능 수준 증진 • 기능 수행 결함의 교정 • 정상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 제거
약물사용 시 고려 사항들(1) 1. 적응증 2. 치료 효능의 증거들 3. 치료 작용의 기전 4. 약역동학/약역학 5. 용량 및 용법 6. 여러 약제들 7. 가격
약물사용 시 고려 사항들(2) 8. 식약청(FDA) 지침 9. 부작용 10.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주의/대책 11. 독성작용 12. 금단효과 13. 약물상호작용 14. 검사소견에 대한 영향
약물사용 시 고려 사항들(3) 15. 초기 의학적 평가 16. 의학적 추적 방법들 17. 금기 사항 18. 과량 복용 시 위험성 19. 내성/남용/중독 가능성 20. 치료 기간 21. 대체 약물
약물치료의 첫 단계-평가 • 다양하고 포괄적이고 신뢰 있는 정보 • 치료적 동맹관계의 수립 • 가족 요인 • 진단(diagnosis) • 증상(symptoms) • 장애(impairment)
약물 요법의 제한점 • 안정성, 효능, 부작용 입증이 부족하다. • 장기 추적 연구 자료 부족하다. • 성인과의 반응 차이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 • 소아정신장애의 진단분류가 덜 체계적이다. • 전통적으로 환경(양육)이 강조되어 왔다.
정신과 약물 분류 • 각성제:Methylphenidate, Dextroamphetamine, Pemoline, (caffeine) • 항정신병약 : Haloperidol, Clozapine, Risperidone, Olanzapine • 항우울제 : TCAs(Imipramine), SSRIs, Bupropion • 기분안정제 : Lithium, Carbamazepine, Valproic acid • 항불안제(안정제/수면제) : Benzodiazepines, (Barbiturates) • 기타 : Diphenhydramine, Naltrexone, Propranolol, Clonidine, Desmopressin
소아정신질환의 분류 • 발달장애 - MR, PDD(Autism), LD/DLD • 행동장애 - ADHD, ODD, CD • 정서장애 – AXD(SAD), Depression • 생리기능장애 – Eating d/o, Sleep d/o, Elimination d/o • 기타 - Tic d/o, Psychoses, Drug abuse
Bradley C(1937) : The Behavior of Children Receiving Benzedrine. • The Emma Pendleton Bradley Home • 30 children(<12 years-old, 21 boys) • BZD 20mg(10mg to 30mg/d) • School performance : 14 children responded in a spectacular fashion(나머지 8명 partial response; 5명 행동 변화; 2명 No changes. • Emotional response : 15명 뚜렷한 호전, 7명 부분 호전) • Other psychological changes(특히 motor activity); physiological observations; duration of effect; dosage • Comment : Paradoxical effect? The stimulation of inhibition function of CNS, EEG findings Am J Psychiatry, 94:577-585
ADHD 약물치료 • Stimulants - methylpheniate, pemoline - dextroamphetamine • TCAs, Bupropion, SSRIs, Venlafaxine • Clonidine, Guanfacine • Adderall • Concerta(OROS MPH) • Metadate CD, MPH-SR/ER • Atomoxetine
MPH • CNS stimulants • 용량 : 0.3-0.6mg/kg/d(<1mg/kg/d) • 용법 : 오전(혹은 오후), 2-4주 시도, • 효능 : 75%에서 호전 • 문제점 : 각성 효과에 따른 부작용, 식욕저하로 성장 관련, 틱 악화 • 내성, 습관/중독성(-)
Treatment Share Trend in US 60% 50% MPH IR 40% Adderall IR 30% Share of TRx 20% Dex and Pem Adderall XR 10% MPH SR Concerta Metadate 0% Focalin 1999/08 2000/08 2001/07 2001/12 2002/01 2002/05 MPH IR Adderall IR Dex and Pem MPH SR Concerta Metadate CD Adderall XR Focalin
약의 부작용 • 단기적인 일시적 부작용 - 식욕저하, 불면, 불안, 짜증, 속 불편감, 두통 - 틱/ Behavioral Rebound/ 인지기능 저하 - 기타 : 발진, 상동증, 간기능 이상 등 • 장기적인 부작용 - 내성 및 약물 중독(-) - 성장에 대한 영향 : 특히 신장, 체중(?)
Stimulant Controversies • Growth suppression • Development of tics • Medication abuse • Cognitive toxicity
적응증 • 우울증 • 불안장애(특히 강박증) • 야뇨증, 수면장애(야경증) • ADHD
항우울제 • 삼환계항우울제(TCAs) -imipramine, desipramine, amitriptyline, nortriptyline • SSRIs -fluoxetine, sertraline, paroxetine, fluvoxamine • MAOIs • 비정형 항우울제 -bupropion, venlafaxine, nefazodone, mirtazapine
우울증의 약물치료 • 증상 - 우울기분, 생리기능, 정신운동저하, 사고장애, 기타(불안, 신체증상, 비행, 정신병증상) • 치료 - 약물치료 + 심리사회치료 • 치료 단계 • 급성기(6~12주); 지속기(호전~6개월); 유지기(1년~일생)
SSRIs • 적응증 - 우울증, 강박증, 함구증, 불안증, 자폐증 • 장점 - 항콜린작용, 졸리움, 심혈관작용, 체중증가 적다 • 부작용 - 안절부절, 위장장애, 짜증, 불면증, 성기능저하
아동기 불안장애 • 분리불안장애(SAD) • 공포 장애 : specific phobia, social phobia, agoraphobia • 공황장애(panic disorder) • 강박장애(OCD) • ASD &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 GAD, 기타 불안장애(약물, 질병 등)
불안장애의 증상 • 운동성 반응 - 손떨림, 근육 긴장, 안절부절 • 생리적 반응 - 숨 가빠짐, 혈압 상승, 두근거림, 땀흘림 • 주관적 반응 - 공포, 초조, 퇴행, 위축, 반복적 생각
분리불안장애(SAD) • 증상 - 등교 거부 - 등교 전 신체증상(두통, 복통, 구토 등) - 분리불안 • 치료 - 부모상담 - 행동치료 - systematic desensitization - 약물치료 - SSRIs, Imipramine
항불안제란? • 안정제, 수면제 등으로 사용 • 효능 : 1) 항불안, 2) 수면, 3) 근육이완, 4) 항경련, 5) 인지기능 효과 • Barbiturates Benzodiazepines Non-BZDs • Valium, Ativan, Xanax, Halcion, etc. • 내성, 졸리움, 의존성 등
생리기능장애 • 수면장애 - 야경증, 악몽, 몽유병 등 • 배설장애 - 야뇨증, 유분증 • 식사장애 - 신경성식욕부진증, 대식증
야뇨증(Enuresis) • 만 5 세 이후, 1주에 2회 이상 • 97%는 기능적인 원인 • Diurnal enuresis, urgency, encopresis는 먼저 치료를 한다 • 소변검사는 필수
야뇨증 치료 • 아동의 협조, 책임* /기저귀 제거 • 저녁시간에 물, 카페인함유 음료(콜라, 쵸코렛), 짠/단 음식, 과일 피함 • 자기 전 화장실, 기도/깨우기(?) • Star Chart 작성 ** • Enuresis Alarms • Imipramine, DDAVP, Oxybutynin
틱(Tic) 및 뚜렛 장애 • 틱(tic)이란? 1) 운동 틱 vs 음성 틱 2) 단순 틱 vs 복합 틱 • 틱 장애 1) 일과성 틱 장애 2) 만성 운동성 혹은 음성 틱 장애 3) 뚜렛 장애
뚜렛 장애 • 역학 : 유병율, 발병 시기, 남녀비 등 • 원인 : 특히 OCD, ADHD, Other tic d/o • 임상 양상 1) 전구 증상 - 자극과민성, 주의력 결핍 등 2) 초기 증상 - eye blinking, grimacing 3) 대개 cephalocaudal progression, wax-and-waning 4) 외설증(1/3), 기타 동반 장애들
뚜렛 장애(con’t) • 감별 진단 • 경과 및 예후 • 치료 1) 약물 치료 : haloperidol, pimozide, clonidine, SSRIs, TCAs 2) 행동수정요법, 정신치료 등
기타 장애들 • 주요 정신병 : 정신분열병, 양극성장애(기분장애, 조울증) • 성정체성장애 • 선택적 함구증 • 반응성애착장애 • 적응장애 • 약물(술, 담배) 남용/의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