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422 Views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구축에 관한 연구. 장시영 ( 성균관대 ) 2001.3.31. 목 차. 서론 –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IT 아키텍처의 개요 – 정의와 구성 IT 아키텍처의 구현 현황 – 일부 조직 IT 아키텍처의 구축 사례 분석 – DOE 성공 주요요인. 문제의 제기. 정보기술에의 의존도 심화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 투자 상호운영성 / 통합성의 결여 자료의 중복 경영환경에의 대응 미흡 계층적 아키텍처의 구축 미흡. 연구 목적.
E N D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구축에 관한 연구 장시영 (성균관대) 2001.3.31
목 차 • 서론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IT 아키텍처의 개요 –정의와 구성 • IT 아키텍처의 구현 현황 –일부 조직 • IT 아키텍처의 구축 사례 분석 – DOE • 성공 주요요인
문제의 제기 • 정보기술에의 의존도 심화 •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 투자 • 상호운영성/통합성의 결여 • 자료의 중복 • 경영환경에의 대응 미흡 • 계층적 아키텍처의 구축 미흡
연구 목적 • 미국 1990 중반부터 ITA 구축을 추진 (CIO의 책무) • ITA = City Master Plan (IBM) • ITA의 이해 • ITA의 현황 파악 • 사례 분석을 통한 ITA 구축방법 모색
IT 아키텍처의 정의 • OMB, Clinger-Cohen법 •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정보자원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기술을 획득하고 기존 정보기술을 유지.진화시키기 위한 통합된 프레임워크”로 규정 • 전사적 아키텍처(EA) + TRM & SP로 구성 • EA –정보기술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묘사 • TRM & SP –정보기술의 표준화된 기술요소
기술참조모델과 표준프로파일 • 기술참조모델 (TRM) • 상위의 전사적 아키텍처에 영향을 주는 정보서비스들(DB, 통신, 보안 서비스 등)로서 전사적 아키텍처의 모든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 부문들을 계층적으로 구조화한 것 • 표준프로파일 (SP) • 전사적 아키텍처와 기술참조모델에서 제시한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정보기술 표준들의 집합
연방정부의 전사적 아키텍처 • “비즈니스의 변화 요구에 반응하는 새로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전이과정(transitional process)이면서 비즈니스 운영을 지원하는 필요 기술 (technology)과 정보(information)이며, 비즈니스를 정의하는 전략적 정보 자산 기반(strategic information asset base)”으로 정의함.
BellSouth 사 • 유무선 통신, 인터넷, TV, 광고 사업 • 19개사 진출, 종업원 8만여명, 수익 210억불 • 1997년 ITA팀 구성 • 1998년 기술 아키텍처 버전 1.0 • 1998년 CA(Chief Architect)를 CIO직속 임명
DOE의 구축 사례 분석 • 1995년 아키텍처팀 구성 (IMPACT) • 1999년 DOE-IAP • 2000년 CSIA • Clinger-Cohen법 제정 이전 선도적 착수 • 철저하고 공개된 문서화
DOE의 IT 아키텍처 • 4개 계층 1. 원칙 2. 비즈니스 모델 3. 정보자원 목록 4. 데이터 아키텍처 5. 응용 아키텍처 6. 기술 아키텍처 Implementation Plan / Migration Strategy
계층별 의미 • 1계층: What are the rules? • 2계층: Assessment of where we are today • 3계층: Blueprint of where we want to be • 4계층: The plan to get there
(1) 원칙 • 비즈니스 지향의 원칙 • 부가 가치의 원칙 • 정보 접근의 원칙 • 사용 용이성의 원칙 • 표준 기반의 원칙 • 데이터 자원관리의 원칙
(2) 비즈니스 모델 • 비즈니스 기능의 식별 • 아키텍처 정의의 Building Block • 7개 그룹, 40개 기능 • 예: Manage investments • Evaluate Employees 등
(3) 정보자원 목록 • 현재 사용 중이거나 계획된 정보시스템과 기술 플랫폼을 식별 • 현재 환경의 snapshot 파악 • 구조적인 설문지 작성 & 자료 수집 • 142개의 시스템 식별
(4) 데이터 아키텍처 • 비즈니스 기능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개체 식별 • 사람, 사물, 장소, 사건 등 • 데이터 사전, 고유식별자, 속성도 식별 • 41개의 비즈니스 개체 도출 • 이후 CRUD 매트릭스 형성
(5) 응용 아키텍처 • 먼저 데이터 관리를 위한 리파지토리 시스템을 정의 • 다음 비즈니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응용시스템을 식별 • 35개의 리파지토리/응용시스템 식별
기술 아키텍처의 개발과정 • 13개의 기술 지침 개발 • 31개의 기술 요소 식별 • 기술 요소별로 베이스라인 데이터 식별 • 8개 기술 요소에 대하여 기술 동향 파악 • 기술 요소와 응용의 조합, 연관관계 파악 • 7개의 기술 프로젝트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