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0 likes | 1.91k Views
구강악안면 외상. 환자의 검사와 병력채득. 중증 뇌손상이 동반되어 발생 환자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치료를 우선적 신경외과의의 자문을 의뢰한다 . 환자의 인적사항 환자의 이름 , 나이 및 주소 등을 기록 보호자에게 연락 외상의 발생 시간 , 장소 및 원인 등을 검사. 임상검사 구강 외 손상 파악 연 - 경조직의 손상 유무 , 정도를 파악 창상의 깊이 , 길이 등을 기록 눈 , 코 , 귀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과 연관성 감사 치아 손상 정도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E N D
환자의 검사와 병력채득 • 중증 뇌손상이 동반되어 발생 • 환자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치료를 우선적 • 신경외과의의 자문을 의뢰한다.
환자의 인적사항 • 환자의 이름, 나이 및 주소 등을 기록 • 보호자에게 연락 • 외상의 발생 시간, 장소 및 원인 등을 검사
임상검사 • 구강 외 손상 파악 • 연-경조직의 손상 유무, 정도를 파악 • 창상의 깊이, 길이 등을 기록 • 눈, 코, 귀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과 연관성 감사 • 치아 손상 정도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 구외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안면골 골절여부파악 • skull PA, skull lateral, waters view, submentovertex view, modified Townes view, TMJ sectography, facial computed tomogram 등
이화학적 검사 • 전신마취 가능성 여부 및 환자의 전신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 • 혈액검사, 소변검사, 간기능 검사 및 심전도 검사 등을 실시
연조직 외상의 처치 원칙 • 창상세정 • 생리식염수를 사용하거나 항생제를 혼합하여 세정 • 필요시 면도를 시행 • 이물질 제거 • 괴사조직의 절제 • 괴사조직은 제거하고 베타딘으로 소독
봉합 • suture needle의 첨부 3/4 위치를 needle holder로 잡음 • needle은 조직의 수직으로 삽입하고 만곡하여 조직을 관통 • needle의 삽입 위치는 창연에서 2~3mm 떨어진 곳에서 3~4mm 간격으로 봉합 • 봉합은 가동조직에서 고정조직으로 • 얇은 조직 두꺼운 조직으로 관통하여 봉합
얇은 조직은 두꺼운 조직보다 깊은 위치에서 봉합 • ligature는 느슨하거나 당기지 않게 결찰 • 매듭은 절개선상에 위치하지 않음 • 견이(dog ear)가 생기지 않게 봉합 • 발사(stitch out)은 안면부는 3~5일, 구강 내 5~7일, 두피 7~10 일 정도
연조직 손상 분류 및 치료
연조직 손상의 분류 및 치료 (1) 좌상 (contusion) • 둔한 물체에 의한 타박으로 생기는 출혈성 외상 • 피부나 점막의 파열이 동반되지 않음 • 피하조직의 광범위한 파괴를 동반 • 반상출혈 붉은색이나 청색 황갈색 • 단순한 손상으로 관찰을 요함
(2) 찰과상 (abration or brush burn) • 마찰에 의한 피부나 점막의 표피가 벗겨지는 창상 • 피하조직의 말단 신경 노출동통多, 출혈少 • 이물질 제거 후 소독 • 1주일 이내 완치
(3) 외상성 문신 (traumatic tatoo) • 찰과상이 진피, 진피까지 진행된 경우 • 창상 내에 이물질에 의해 영구적인 문신이 생김
(4) 관통상 (penetrating injury) • 예리한 물체가 조직을 관통하여 발생 • 파상풍이 발병 할 수 있음 • 봉합하지 않고 육아조직의 치유를 유도한다. (5) 총상 및 파편창(gunshot & missile injury) • 총탄이나 포탄 의해 발생하는 관통상의 일종 • 하부 골조직 골절과 조직 붕괴를 야기
(6) 열상 (laceration) • 조직이 예리한 물체에 의해 찢어지는 창상 • 감염방지 및 반흔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조기 봉합술이 요구 • 형태에 따라 예리하게 • 절단된 절창(incised injury) • 찔려 발생하는 자상(stab injury)
(7) 화상 (burn) • 뜨거운 물체에 발생하는 창상이다. • 화상의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 화상으로 구분된다. • 1도 : 홍반 발생 • 2도 : 피부, 점막에 수포형성, 동통이 발생 • 3도 : 동통을 수반하는 피부 전층이나심부까지
치아 및 치아돌기 손상 분류 및 치료
외상의 진단 1) 손상의 병력 • 손상시간, 경과시간을 파악 • 원인이나 장소 등을 파악 • 법적인 문제와 관련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파악 • 지저분할 경우 파상풍이 발생 유념 • 과거의 외상의 병력을 파악 •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파악
2) 임상검사 • 연조직손상에 대한 검사를 시행 • 치아를 포함한 경조직을 검사 • 치관파절이 있는 경우는 치수노출 여부를 확 • 타진반응, 동요도검사, 치수생활력검사(전기, 온도 반응검사)를 시행
3) 방사선 검사 • 치근단, 교합, 파노라마 사진 등을 촬영 • 파절, 탈구, 변위, 방사선 이물질, 파편을 확인
외상성 손상의 분류 1) 치아의 손상 • 법랑질 균열 (enamel crack) • 법랑질의 잔금 • 비복잡치관파절(uncomplicated crown fracture) • 치수노출 없이 법랑질 또는 법랑질과 상아질의 파절
복잡 치관파절(complicated crown fracture): • 치수노출을 동반한 법랑질과 상아질 노출 • 비복잡 치관-치근파절(uncomplicated crown-root fracture): • 치수노출 없이 법랑질, 상이질, 백악질의 파절
복잡 치관-치근파절(complicated crown-root fracture): • 치수노출을 동반한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의 파절 • 치근차절(root fractire): • 상아질, 백악질, 치수의 파절
치주조직의 손상 • 진탕 (concussion): • 치아의 동요나 전위 없이 타진 시 반응이 有 • 아탈구(subluxation): • 일부 치주인대가 끊어빔, 치아의 동요가 보이나 • 전위되지는 않은 상태
함입성 탈구 (intrusion): • 치조골 골절로 치아가 치조골 내부로 전위 • 정출성 탈구 (extrusion): • 치조골로부터 치아가 부분 탈락되는 경우, • 치아가 치조와 밖으로 부분적으로 변위
측방 탈구 (lateral luxation): • 치조골 골절로 치축이변위하는 경우 • 완전 탈구 (avulsion): • 치아가 치조골로부터 완전히 탈락된 경우 • 잔존치근 파절(root fragment fractur ): • 파절된 치근만 잔존하는 경우
치조골 파절 ① 치조와의 분쇄골절 ② 치조와벽의 골절 ③ 치조돌기의 골절 ④ 상악골 또는 하악골 골절
탈구치아의 치료 ① 진탕 • 정기적 치수생활검사가 필요, • 교합력이 손상치아에 가하지 않도록 주의 ② 아탈구 • 동요에 따라 고정이 필요 • 정기적으로 방사선 사진, 생활치수 검사가 필요
③ 치아함입 • 유치를 제외하고 재맹출을 기대 • 힘들 경우 교정적 맹출을 유도 • 치수생활검사와 근관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음 ④ 치아정출 • 원위치 시키고 부목으로 고정 • 교합력을 최소화 • 추후 치수생활검사와 근관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음
⑤ 완전탈구 • 손상 후 30분 안에 재식하는 경우 성공률이 높음 • 탈구된 후 치조와에 일시적으로 재식되어 이동된 경우가 성공률이 높음 • 재식이 힘들 경우 구강 내나 우유에 보관되어 이동 • 치주조직이 보존되기 위하여 치근표면을 건드리거나 자극이 없도록 한다
치근의 혈병과 이물질를 제거할 때 치관부를잡고 생리식염수로 세정 • 재식 시 치조와를 소파해서는 안 된다 • 치조와에 치아를 재식 시킨 후 부목 고정한다 • 교합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교합면을 삭제 • 고정되면 근관치료 후 보철치료를 시행한다
치조골 골절의 치료 • 국소마취 후 골편을 제 위치로 정복하고 부목으로 고정함 • 경우에 따라 항생제 사용과 파상풍 예방이 필요할 수도 있음 • 치아와 치조골의 재위치 여부를 관찰
부목 (splint) ① 레진-와이어 부목 (resin-wire splint): • 치아면을산부식 후 레진과 강선 (wire)을 이용 • 안전성이 있고 심미적 • 치수와 치주조직에 무자극성 • 구강상태를 청결히 할 수 있다 • 생리적 이동을 허용 • 강직증 없이 치유를 증진시킴
② 치열궁 부목 (arch bar splint): • 치조돌기와 악골의골정에 이용되는 고정방법 • 치은 손상이 초래될 수 있음 • 구강청결이 어렵다 • 견고한 고정을 요구되는 골절에 사용된다
③ Essig's horizontal wiring • 26G wire로 6전치를 순-설측으로 치간 사이로 결찰 • wire로 인하여 치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용
④ 교합부목 ( occlusal splint ) • 악간고정하는 방법으로 상하악교합면에부목을 제작하여 고정 • 추가로 교합부목과 함께 arch bar 또는 교정 bracket에 elastic이나 wire로 결찰하기도 한다
안면골 골절 안면골 골절의 종류
안면골의 골절 (1) 골절선 방향에 따른 분류 • 불리 골절(unfavorable fracture): 근육수축에 의해 골절편이 이동하는 골절 • 유리 골절(favorable fracture): 골절편이 이동하지 않는 골절
(2)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 • 외상성 골절(traumatic fracture): • 교통사고, 폭력 등 외부충격에 의한 골절 • 병적 골절(pathologic fracture): • 낭종, 종양, 골화석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전신질환으로 인하여 병적으로 약해진 상태에서 발생하는 골절
(3) 연조직 손상 유무에 따른 분류 • 단순 폐쇄성 골절: • 골막이 유지되고 외부와 연결되지 않는 상태 • 하나의 골절선을 가진 골절 • 복합 개방성 골절: • 외부창상과 연결되어 여러 골절편을 가진 골절
(4) 골절 상태에 따른 골절 • 단술골절 • 골절편의 전위가 없음 • 골절상태가 외부와 연결되지 않음 • 복합골절 • 여러 개의 악안면골로 골절 • 외부 창상과 연결
불완전골절 • 외력이 부족 or 유기질이 많은 소아에서 발생 • 한쪽은 부러지고 다른 쪽은 구부러지는 불완전 골절 • 골치유 과정에서 골전단부가 흡수
분쇄골절 • 강력한 외상으로 분쇄되어 잘게 부서진 골절 • 복잡골절 • 여러 골조직과 연조직이 같이 발생한 복합골절 • 혈관, 신경, 관절 등의 인접구조물이 같이 손상
(5) 골절부위에 따른 골절 • 하악골 골절(mandibular fracture) • 정상교합하지 않고 개구장애가 나타남 • 과두골절을 동반한 경우에는 개구 시 편위하여개구 • 과두돌기, 하악우각부, 하악정중부 순으로 호발 • 하악체, 치조돌기, 하악지, 근돌기 등에서도 골절
상악골 골절 (maxillary fracture) • Le Fort I fracture: • 상악골과비중격하방의 수평적 골절, 상악골과구개골로 분리 • Le Fort II fracture: • 비골, 상악골, 구개골, 비중격, 익돌돌기 및 치조골을 포함 • Le Fort III fracture : • 관골을 포함한 복합적인 골절로 안면골과 두개골로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