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1.16k Views
국사 3 학년 2 학기 Ⅸ. 민족의 독립운동 〉2. 3.1 운동 1.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의의는 ?.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의의는 ?. 도입. 활동 1. 활동 2. 활동 3. 정리. 평가. 수업계획. 전시학습. 일제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민족의 특성을 제 거하기 위하여 민족 말살 정책을 실시하였다. 일제는 각종 자원을 수탈하고 식량과 갖가지 자원을 공출이라는 이름으로 수탈하여 전쟁에 이용하였다.
E N D
국사 • 3학년 2학기 • Ⅸ.민족의 독립운동 〉2. 3.1 운동 • 1.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의의는?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의의는? 도입 활동1 활동2 활동3 정리 평가 수업계획
전시학습 일제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민족의 특성을 제 거하기 위하여 민족 말살 정책을 실시하였다 일제는 각종 자원을 수탈하고 식량과 갖가지 자원을 공출이라는 이름으로 수탈하여 전쟁에 이용하였다 일제는 침략 전쟁에 징용, 징병, 학병, 근로 보국대, 군대위안부 동원 등 세계사에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만행을 저질렀다
학습 목표 3.1 운동의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나열할 수 있다 3.1운동의 의의를 말할 수 있다
활동 1 : 3.1 운동의 배경 1. 3.1운동의 배경 가.혹독한 무단 통치에 대한 저항의식 높아짐 나.민족 독립이라는 공통의 목표로 전 민족 단결 다.윌슨의 민족 자결 주의 제창 소식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단 파견 라.독립 운동 자금 모음 마.독립 의지의 강화 바.일본 유학생(조선 청년 독립단)들의 2.8 독립 선언 → 3.1 운동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됨
활동 2 : 3.1 운동의 전개 1. 3.1운동의 전개 가.배경 1)종교계(천도교,불교,개신교)가 학생 단체와 연결 하여 거족적 독립 운동 준비 2)고종 황제의 서거 및 독살설 유포 → 민심 자극 3)도쿄 유학생들의 2.8 독립 선언 소식이 국내에 전해짐 → 독립 운동에 대한 민족 열망 높아짐 나.전개 :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의 독립 선언, 학생과 시민들은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 태극기 만세 시위 → 전국, 해외로 파급 다.일본의 대응: 유관순 열사의 순국,화성 제암리 마을 학살 사건, 수많은 민가와 학교 파괴
형성평가 1.3.1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이 아닌 것은? ①무단통치에 대한 저항 ②윌슨의 민족 자결 주의 ③2.8 독립 선언 ④독립 의지의 강화 ⑤식량 수탈 2.3.1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인도 독립운동에 영향 ②학생과 종교계가 주도 ③국내에서만 전개됨 ④평화적인 독립운동 ⑤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계기
화성 제암리 마을의 유족과 선교사 스코필드의 답사 장면
처형 장면 독립운동가들의 잘린 목 일제 만행을 고발한 3.1운동 당시의 재미교포 신문 글
천인공노할 일본의 잔인한 만행 독립운동가의 목을 작두로 자르는 공개 처형 장면 앉혀 놓고 칼로 목을 치는 공개 처형 장면
교수 학습 계획 교 과 명 중학교 국사 학년 3학년 264-268 쪽 수 Ⅳ.민족의 독립 운동 2. 3.1 운동 1)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의의는? 단 원 명 차시 4 / 11 학습주제 3.1 운동의 배경과 전개, 의의 학습목표 * 3.1 운동의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나열할 수 있다 학습활동 [도입] ·전시학습 복습 및 전반적인 단원의 개요와 학습목표를 설명해 준다 ·본시의 학습목표를 제시한다. [전개] ·3.1운동의 배경을 알아본다 ·3.1운동의 전개 과정과 결과를 알아본다 ·3.1운동의 의의를 알아본다 [정리] 3.1운동은 무단 통치에 대한 저항과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아 전민족적이고 거국적으로 일어났으며 해외 동포들도 참여하고 중국과 인도의 독립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형성평가와 차시 예고] 필요자료
2004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 주관 : 강원도 교육과학 연구원 개발자 : 청일중학교 김 연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