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likes | 511 Views
1 조 공간과 기하. 11B0001 공유진 11B0004 김명진 11B0006 김소연 11B0025 이은호 11B0029 정미근 11B0036 최소현 11B0037 최유진 11B0043 우보영. 사전적 정의. 공간 – 아무것도 없는 빈 곳 기하 - 도형 및 공간의 성질에 대해 연구하는 것. 공간과 기하 학습의 필요성. 그 자체가 일상생활의 영위를 위해 필요 추후 학습을 위해 중요 유아의 발달적 적합성 사회적 요구. 주요활동.
E N D
1조 공간과 기하 11B0001공유진 11B0004김명진 11B0006김소연 11B0025이은호 11B0029정미근 11B0036최소현 11B0037최유진 11B0043우보영
사전적 정의 • 공간– 아무것도 없는 빈 곳 • 기하- 도형 및 공간의 성질에 대해 연구하는 것
공간과 기하 학습의 필요성 • 그 자체가 일상생활의 영위를 위해 필요 • 추후 학습을 위해 중요 • 유아의 발달적 적합성 • 사회적 요구
주요활동 • 2차원,3차원 모양을 가지고 구성하기 : 모양인식, 모양의 이름 알기(원, 네모 삼각형, 원뿔 등) • 복합적인 모양 속에서 다양한 모양 찾아내기 : 책상에서 네모, 실린더에서 원 • 서로 각기 다른 관계위치에서 사물을 경험하고 묘사하기(중간에서, 한 쪽에서, 위에서 밑으로, 안에, 밖에, 등)
유아의 공간능력 • 공간에서의 위치나 조망관계를 포함하는 공간관계의 이해 • 공간의 형태나 배경, • 깊이 등의 변별을 포함하는 공간적 지각능력 • 공간에서 물체에 대한 상들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공간적 상의 조작능력
기하 평면도형 입체도형 유아들은 구체적인 탐색 활동을 토대로 나름대로 입체물에 대한 비형식적 지식을 구성하고 있다. ex)유아가 공을 갖고 놀면서 공을 잘 굴러 가며 둥글고 모서리가 없음을 알게됨. 적목을 갖고 놀면서 평평하고 굴러가지 않으며 모서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됨. • 유아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기하학습의 주요 준거로 활용되며, 기하학적 사고의 특징을 5개의 위계적 수준으로 제시 하였다. ex)유아들의 각도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는 미흡할 지 모르나 실제 생활이나 적목, 퍼즐, 패턴 블록, 탱그램등과의 놀이에서 직관적으로 각도를 인식하고 있으며 때로는 뒤집기나 회전 등에 적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