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8

협력의 경제

협력의 경제. 거대한 변환. 우리는 어디에 서 있고 ,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 ?. 금융위기는 산업사회 종료의 결과이자 새로운 출발점을 알리는 신호 제조 업 에서 아이디어집약적 산업으로 이행 산업사회의 종료는 산업사회가 기초한 경쟁의 원리와 사유재산권 체계가 그 역할을 다해가고 있음을 의미 반면 , 아이디어집약적 산업의 가치 창출은 협력과 공유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경제질서로의 이행은 사회운영원리의 전면적 재편을 의미 즉 산업사회의 종료는 문명의 전환을 의미. 산업사회의 종료와 금융위기.

doane
Download Presentation

협력의 경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협력의 경제 거대한 변환

  2. 우리는 어디에 서 있고,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 • 금융위기는 산업사회 종료의 결과이자 새로운 출발점을 알리는 신호 • 제조업에서 아이디어집약적 산업으로 이행 • 산업사회의 종료는 산업사회가 기초한 경쟁의 원리와 사유재산권 체계가 그 역할을 다해가고 있음을 의미 • 반면, 아이디어집약적 산업의 가치 창출은 협력과 공유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경제질서로의 이행은 사회운영원리의 전면적 재편을 의미 • 즉 산업사회의 종료는 문명의 전환을 의미

  3. 산업사회의 종료와 금융위기

  4. 산업사회의 종료와 반동 • 공업화의 확산, 즉 경제력의 다원화(1975년 G7 → 2008년 G20 체제)에 따른 제조업의 공급 과잉으로 60년대 후반 미국을 시작으로 (특히 제조업에서) 자본의 수익률 저하가 시작 • 산업화 이후의 사회로의 순조로운 이행에 대한 실패(지연?)가 ‘신자유주의식 반동’의 출현, 즉 시장의 전일적 지배(노동시장 유연화, 정부개입 축소, 탈규제 등)와 글로벌화(단일시장 형성)

  5. 시장의 탈주와 (경제의) 금융화 • 제조업의 공급과잉은 시장개방과 자본의 탈제조업화를 초래(WTO, 자본시장 개방) • 지식과 아이디어의 상품화(1980년 베이-돌 법안) • 금융의 탈구(그림자금융의 대두)와 (경제의) 금융화(과잉금융) • 워싱턴과 월가의 유착 • 금융(월가)의 이해에 기반한 경제 운영

  6. 레이건부터오바마까지월가의 지배 • 탈규제 정책을 주도한 월가 출신 혹은 월가 대변한 학자 • 리건(Regan, 메릴린치 회장 출신으로 레이건 행정부의 재무장관) • 베이커(세계 1위 사모펀드 칼라일 그룹 출신으로 레이건 행정부 재무장관 및 국무장관) • 브래디(Brady, M&A를 전문으로 하는 뉴욕의 투자은행인 딜런리드의 회장 출신으로 레이건과부시 시니어 행정부의 재무장관) • 그린스펀(Greenspan, 유진은행과 투자은행 브라운 브러더스해리맨의 전무이자 1987~2006년 연준 의장 역임) • 루빈(Rubin, 시티그룹 회장 출신으로 클린턴 행정부의 재무장관) • 서머스(Summers, 글래스-스티걸법 퇴출 주도한 경제학자 출신의 클린턴행정부 재무장관) • 스노우(Snow, 퇴임 후 사모펀드인 서버러스캐피탈 매니지먼트 회장직을 수행한 부시 주니어 행정부 재무장관) • 폴슨(Paulson, 골드만삭스CEO 출신으로 부시 주니어 행정부의 재무장관) 등으로 대부분 월가출신 • 가이트너(Geitner, 루빈-서머스 사단으로 시티그룹 CEO와 오바마 재무장관 역임)

  7. 이행기의 사회적 탈구들(dislocations) • 산업화 이후 산업사회 주요 시스템들의 해체와 사회적 탈구들이 출현 • 경제적 불안정의 심화 • 서구 복지사회의 위기 • 이는 고용-교육-금융-사회보장-주거-혁신 시스템들의 순기능 약화의 결과이자 주요 시스템들의 탈구의 원인

  8. http://www.economist.com/news/briefing/21594264-previous-technological-innovation-has-always-delivered-more-long-run-employment-not-lesshttp://www.economist.com/news/briefing/21594264-previous-technological-innovation-has-always-delivered-more-long-run-employment-not-less

  9. 제조업, 시간당 임금 상승의 중단- 미국 80년대 이후, 나머지 2000년 이후 - http://www.economist.com/news/briefing/21569381-idea-innovation-and-new-technology-have-stopped-driving-growth-getting-increasing

  10. 미국의 실질임금 추이(주급 평균)

  11. 고용시스템 약화: 일자리 불안

  12. 주요국 제조업 고용 비중 하락 추세

  13. 사회보장 후퇴와 노동시장 유연화 • 레이건정권이래 노동에 대한 정부 지원의 축소 • 노동시장 유연화 위해 실업급여 최대 보장 기한 단축과 직장 연계 의료보험 도입 • 70년대 증가하던 실업률 80년대 하락 전환으로 미국 노동시장의 유연성 역할 주장

  14. 불평등의 심화

  15. 상위 0.1% 소득 비중(자본소득 제외 시 최고 기록)

  16. 위기 이후 상위 10% 소득 비중, 1917-2012

  17. 금융위기 이후 소득 집중 Emmanuel Saez, Sept. 2013, Striking it Richer: The Evolution of Top Incomes in the United States

  18. 상위 10%의소득 비중과 총 금융자산, 1947–2012GDP 대비 % Is Rising Inequality a Hindrance to the US Economic Recovery?Levy, 2014

  19. 1인당 개인 소비지출과 하위 90%의 평균소득 지수,1945–2012 Is Rising Inequality a Hindrance to the US Economic Recovery?Levy, 2014

  20. 고용시스템의 위기 • 90년대 이후 경기침체에서 ‘고용 없는 성장(경기회복)’ 현상의 등장과 심화 •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 위기에 직면 • 90년대 초 ‘청년실업’ 문제의 등장

  21. 신자유주의식포퓰리즘 • 90년대 클린턴 행정부와 2000년대 부시 주니어 행정부에서 저소득자와 무주택자에 대한 주택 신용 지원 정책 도입 • 월가-미국 시민-정치권 모두 지지 • 주택가격 상승에 기반한 경제성장, 즉 ‘부채 주도의 경제성장(debt-driven growth)’ • 실물부문 생산성 증가 없는 신용 주도의 성장의 결과는 파국을 초래(금융위기)

  22. 미국 가처분소득 대비 개인소비지출 Barry Z. Cynamon and Steven M. Fazzari, 2008, Household Debt in the Consumer Age: Source of Growth—Risk of Collapse, Capitalism and Society, Volume 3, Issue 2

  23. 중산층의 DTI와 DTE, 1983–2010 Is Rising Inequality a Hindrance to the US Economic Recovery?Levy, 2014

  24. (상위10%/하위90%) 가처분소득 비율(하위90%/상위10%) 총부채 비율 Is Rising Inequality a Hindrance to the US Economic Recovery?Levy, 2014

  25. 자산계층별 평균순자산, 1983년과 2010년(2010년 달러 기준, 단위 천 달러)

  26. GDP 대비 가계부채: 모기지 주도 Barry Z. Cynamon and Steven M. Fazzari, 2008, Household Debt in the Consumer Age: Source of Growth—Risk of Collapse, Capitalism and Society, Volume 3, Issue 2

  27. 소득불평등과 가계 레버리지(%) M.Kumhof, R. Rancière, and P. Winant, November 2013, Inequality, Leverage and Crises: The Case of Endogenous Default, IMF WP/13/249

  28. 대공황과 닮은꼴 M.Kumhof, R. Rancière, and P. Winant, November 2013, Inequality, Leverage and Crises: The Case of Endogenous Default, IMF WP/13/249

  29. 부채 주도의 성장과 성장률의 과대평가 일인당 GDP의추이

  30. 금융위기 이후 7년

  31. 미국 경제에 대한 연준 의장의 인식 • The Economic Outlook: Before the Joint Economic Committee, U.S. Congress, Washington, D.C., May 7, 2014 • 3월 FOMC, 금리 인상 인플레율2% 도달 후 검토 • 옐런의장은 “금리 인상이 언제 이뤄질지에 대한 공식이나 시간표는 없다”며 양적 완화 종료 후 상당 기간 이후 검토 • “경제 진화의 방향은 불확실”하며 한 예로 “주택시장이 2011년부터 회복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실망스런 수준”이라며 “주택시장이 연말까지 계속 현재 추세로 가면 낙관적인 성장 전망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 • 전임 의장 버냉키의 금리 인상 기준, 실업률 6.5%

  32. 로렌스서머스의‘장기침체(secular stagnation)’론 • 1983년 28세에 하버드대 종신교수로 임명 • 클린턴 정부 시절 45세에 재무부 장관 • 2001년부터 5년간 하버드대 총장을 역임 • 오바마대통령의 1기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 4월 12일, "8조弗 뿌렸는데 고용침체 여전…美경제, 낡아버린 공항 같다“ • 이자율 낮아도 기업투자 적고 '좀비기업'은 돈의 힘으로 버텨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41485601

  33. 미국 경제성장의 종언 • Robert J. Gordon, Feb. 2014, • The Demise of U.S. Economic Growth: Restatement, Rebuttal, and Reflections NBER Working Paper 19895 • 미국 하위 99% 계층의 향후 25~40년간 가처분실질소득 증가율은 0.2%

  34. 미래 성장의 역풍들: 99%의 1인당 가처분실질소득 • 인구-교육-불평등-정부부채 등의 역풍으로 일인당 소득 증가율 0.2%

  35. 국가부채와 개인부채의 급증 • http://www.usdebtclock.org • 미국 GDP 16조3천억 달러 • 국가부채의 급증, 17조5천억 달러 • 개인부채의 급증, 16조5천억 달러

  36. 국제협력의 실종 • 금융위기 이후 국제 협력과 공조를 통해 위기 해결 • 금융위기 진정되자 국가 이해의 충돌(예: 통화정책의 충돌과 보호주의 대두 등) • G-20 리더십의 실종

  37. 자본시장 통합과 통화정책의 충돌 그리고 새로운 위기 • 미국 제로금리와 양적완화에 대해 신흥국(기도 만테가)은 ‘국제통화전쟁’ 선언 • 미국(버냉키)은 양적완화는‘근린궁핍화(beggar-thy-neighbor)’ 정책이 아니라 ‘근린부유화(enrich-thy-neighbor)’ 정책 •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에 대해 신흥국 위기 고조, 그에 따라 미국 등 선진국 통화정책을 비난하며 선진국 통화정책의 확산효과 고려를 요구(라구람라잔) • 이에 대해 미국(리차드피셔)은 ‘연준은 세계은행이 아니다’며 무시 • 국제협조가 없는 현재의 국제통화정책은 ‘조직화되지 않은 시스템(non-system)’으로 위기의 요인

  38. 자유무역의 퇴조?3년 연속 경제성장률에 못 미쳐

  39. 미국경제의 두 얼굴 경기 회복의 실체

  40. 주가 지수, 다우존스

  41. 통화정책과 주가 http://www.mcoscillator.com/learning_center/weekly_chart/fed_and_ecb_balance_sheets/

  42. GDP 성장률, 2010~현재

  43. 연준 자산 규모,4.94배 급증2007-08-01 8,702.6억 달러 ⇒ 2014-05-7 4조3031.4억 달러 http://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bst_recenttrends.htm

  44. 미국 실질금리 마이너스 지속 http://www.economist.com/news/finance-and-economics/21589425-promise-higher-inflation-central-banks-might-spur-recoveryif-it

  45. GDP 대비 총투자율 http://www.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vestment-as-percent-of-gdp-imf-data.html

  46. 기업 수익의 회복 • 기업 수익의 극적 회복의 원천은 저금리 지속과 임금 후퇴 • 2006년Q3 1조4,090억 달러(위기 전 최고 수준) ⇒ 2008년 6,714억 달러로 급감 ⇒ 2009년 1조3,822억 달러 ⇒ 2010년 1조4,869억 달러 ⇒ 2011년 1조5,451억 달러 ⇒ 2012년 1조7,964억 달러 ⇒ 2013년 1조9,045억 달러

  47. 저금리로 기업 수익 지원 • 조달금리 하락으로 기업 차입비용 급감 • 기업들은 수익을 자사주 매입에 투입, 자사주 매입 금액 급증 • 그 결과 주식수 감소와 주당손익(EPS, earnings per share)이 상승 • 이는 주식옵션 갖고 있는 기업경영진에게 매력적 선택

  48. 임금 증가 없는 경기회복(Wageless Recovery)직업별 실질 임금의 하락, 2009-2012년 http://www.nelp.org/page/-/Job_Creation/NELP-Fact-Sheet-Inequality-Declining-Wages.pdf?nocdn=1 2009~12년간 모든 직업의 평균 실질 시간당 임금은 2.8% 하락 Source: NELP analysis of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Median hourly wages of the lowest- and highest-paid occupations within each quintile.

  49. 미국 기업 세후 이윤, 2013 Q4: 1조9,045억 달러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