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likes | 1.19k Views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2008 학년도 2 학기 인간재활학과. 전환교육 이란 ?.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교육 고등학교에서 성인기로의 진입 직업생활 / 고등교육 전반적인 적응과 성공 ( 사회적 , 개인적 , 직업적 ) 삶의 질 향상 학생으로서 주된 행동으로부터 지역사회에서 나타나는 성인역할을 가정하기까지의 상태 변화 (DCDT-CEC, 1994) 성인역활 :
E N D
전환교육(Transition Education) 2008학년도 2학기 인간재활학과
전환교육 이란? •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교육 • 고등학교에서 성인기로의 진입 • 직업생활/ 고등교육 • 전반적인 적응과 성공 (사회적, 개인적, 직업적) • 삶의 질 향상 • 학생으로서 주된 행동으로부터 지역사회에서 나타나는 성인역할을 가정하기까지의 상태 변화 (DCDT-CEC, 1994) • 성인역활: 고용되기, 중등이후 교육에 참여하기, 가정생활 유지하기, 지역사회에서 적절한 구성원 되기, 성공적인 개인/사회적 관계 경험하기
전환교육의 IDEA 정의 장애학생이 학교를 떠나 성인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성과중심 교육과정” • 성인생활영역 • 고등교육, 학교에서의 직업훈련, 통합된 고용(지원고용포함) • 계속적인 성인교육과 서비스 • 독립생활과 지역사회참여 • 장애학생의 학교에서 지역사회로의 전환 촉진하는 통합적 교육활동 •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기초, 학생의 특성 흥미,기호 고려 • 필요에 따라 일상생활기술과 기능적 직업평가 포함
정의의 주요점 1) 장애학생의 다양한 교육과 서비스에 관련되는 구성원이 모두 참여 2) 부모의 참여는 필수적 3) 개별화전환교육계획(ITP)은 16세 이전에 4) 전환과정은 계획되고 체계적 이어야 함 5) 질적인 직업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
전환교육의 필요성 • 초-중등 문제의 깊은 연관성 • 특수교육 중재와 성과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 (전이교육 계획과 교수의 중요성 부각) • 불완전환 교육과정 내용(what,how,where)
전환교육 주요 배경 • 1960년대 협력적 직업학습 프로그램 • 1970년대 Career education • 1980~1990년대 Transition education
즉, 전환교육은? • 전환교육은 정해져 있는 하나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니라 과정(process)이다 • 장애개인을 위해 고안된 결과중심적 교육활동이다. • 우리나라 특수교육진흥법 “진로교육”
전환교육 모형 • Will(1984)의 Bridge 모델 • Halpern(1985)의 지역사회적응모델 • Wehman(1985)의 직업전환모델 • Clark(1990)의 포괄적 전환서비스모델 • Severson 외(1994)의 전환교육 통합모델 • Sitlington 외(2000)의 종합적 전환서비스모델
전환교육의 모형 1) 학교에서 직업으로 다리모형 (Will, 1984) 고 등 학 교 업 일반적 서비스 취 시간제 서비스 지속적 서비스
고등학교 2) 지역사회 적응 모형 (Halpern,1985) 일반적 서비스 시간제한적 서비스 지속적 서비스 지역사회 적 응 주거환경 사회․대인 관계기술 취업
추후 1~2년 후 Ⅲ. 취업결과 Ⅱ. 과정 Ⅰ . 투입과 기초 직업적 결과 1.경쟁 고용 2. 이동작업반 등 지원고용 3) 장애학생을 위한 3단계의 직업전환모형) (Wehman, 1985) 개별화된 프로그램 계획 1.전화교육의 책임에 대한 공식화 2.. 조기계획 관련기관간의 협력 1.학교학생 2.재활 3. 성인 수용프로그램 4. 직업-기술 센터 소비자 투입 1. 부모 2. 학생 중등특수교육프로그램 1. 기능적 교과과정 2. 통합된 학교환경 3. 지역사회에 기초한 서비스 전달
4) 전환교육 통합모형 (1,2,3)severson 외 (1994) • 위에 언급한 세 모형을 통합함으로써 전환 통합모형을 제시 (1) 전환교육을 계획 / 선결조건 (2) 전환 실행 (3) 전환 성과
기관 간 협력 1. 계획/ 선결조건 11. 전환 실행 111. 전환성과 학교교육의 견고한 토대 1.하향식/생태학적 지역사회중심교육과정 개발 2. 기능적/연령에 적합한 교육과정 3. 개별화 전환 계획 4. 조기계획 5. 통합환경 • 성인으로서의 적응 • 직업 • 주거환경 • 지역사회 • 여가생활 • 중등과정 후의 교육 일반적 서비스 추 후 평 가 시간 제한적 서비스 계속적 서비스 부모/ 학생 투입
5) 종합적 전환 서비스 모형 Sitlington 외 (2000) • 종합적 전환교육 모형의 차이점 - 습득이후 결과에 초점 - 발달단계에서 모든 Transiton의 계획이 이루어져야함(학령전부터 계획) - 의사결정시 상호 보완의 협력적 체계 필수 강조
전환교육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 의사소통과 학업기술 • 자기결정기술 • 대인관계기술 • 통합된 지역사회기술 • 건강과 신체관리기술 • 독립적/상호의존적 일상생활기술 •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기술 • 고용 기술 • 후속교육과 훈련
전환교육의 실시 • 학생능력개발 • 학생중심의 계획 • 가족포함 • 기관간의 협력 • 프로그램의 구조와 관련요소
학생능력개발 • 일상생활기술지도 • 취업기술지도 • 진로와 직업적 교과과정 • 직업평가 • 지원
학생중심계획 • 14세 이전에 계획 및 서비스 제공 • IEP 개발 • 학생참여 • 조정과 계획전략
가족포함 • 가족훈련 • 가족포함 • 가족권한부여 전략
기관간의 협력 • 개별적 수준의 계획 • 내부기관간의 구조 • 협력적인 서비스 전달 • 기관수준에서의 계획 •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 구조와 관련요소 • 프로그램 철학 • 프로그램 정책 • 전략적 계획 • 프로그램 평가 • 자원 할당 • 인적자원개발
전환교육 프로그램실시 단계 • 전환교육계획수립을 위한 평가 • 개별화 전환교육계획(ITP) 수립 • IEP에서 14세 이상 학생에게 전환교육 서비스 포함 • 성공적인 성인생활 적응과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과목 초점 (ITP 예, p486) • 종합적인 전환교육 계획 및 시행 • 조기 전환교육 시행가능 • 장애학생과 가족의 요구반영 • 미래계획에 근거한 성과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구성 • 직업, 추후교육/훈련, 거주, 레크리에이션/여가의 4영역에서의 목적 및 교육성과를 구체적으로 기술 전환교육 결정관련 질문들(p484) • 전환서비스 실시
전환교육평가(1) • 개별적 진단방법 1) 배경정보분석 2) 면접/질문지 3) 심리측정검사 4) 작업표본 5) 교과중심진단 기술 6) 상황평가
전환교육평가(2) • 주거환경분석 • 직무분석 • 프로그램분석 • 목표로 하는 환경(미래작업환경) 분석
직업(고용) • 경쟁고용 (competitive employment) • 지원고용 (supported employment) • 보호작업고용(sheltered workshop)
주거생활 • 어디에서 살 것인가? • 중등이후의 필요한 교육 • 대학교육 • 직업훈련 및 교육지원 관련서비스 • 여가및 레크레이션 • 질적인 삶
궁극적 목표 • 삶의 질 향상 • 장애 편견과 오해의 차별 감소 • 자기주장 • 자기옹호 • 자기결정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