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likes | 569 Views
심리학에서의 합리성 : 과거와 현재.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발표 내용. 심리학에서의 합리성의 정의 심리학에서 합리성 이슈의 역사적 맥락 합리성에 대한 심리학적 도전 Preference 에서의 도전 Probability 에서의 도전 심리학에서의 합리성 논쟁들 심리학적 합리성 연구의 새로운 방향. 심리학에서의 합리성. 도구적 합리성 (Instrumental rationality) : “ Not where to go, but how to get there ” 왜 도구적 합리성인가 ?
E N D
심리학에서의 합리성: 과거와 현재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발표 내용 • 심리학에서의 합리성의 정의 • 심리학에서 합리성 이슈의 역사적 맥락 • 합리성에 대한 심리학적 도전 • Preference에서의 도전 • Probability에서의 도전 • 심리학에서의 합리성 논쟁들 • 심리학적 합리성 연구의 새로운 방향
심리학에서의 합리성 • 도구적 합리성 (Instrumental rationality) : “Not where to go, but how to get there” • 왜 도구적 합리성인가? • 심리학의 학문적 특성 • Testable • 영향력있는 초기 학자들 • 도구적 합리성 채택의 결과 Normative theories와 Actual behavior사이의 차이에 집중 The Rational Economic Man VERSUS. The Psychological Man
심리학에서 합리성 이슈 등장의 역사적 맥락 • 합리적 인간상 도전의 전조들 1) 경험적 연구: Paul Meehl (1954) 임상적 판단의 열등함 2) 방법론적 혁신: Ward Edward Bayesian theorem을 판단의 기준으로 도입 3) 이론적 기초: Herbert Simon (1957, 1983) “Bounded Rationality”
합리적 인간상에 대한 본격적 도전 • Amos Tversky & Daniel Kahneman • 기술 (descriptive) 이론으로서의 규준 (normative) 이론의 적합성 문제 • “Heuristics & Biases”연구 패러다임 정립 • Preference: Elicited or constructed? • Probability: Algorithmic vs Heuristics?
합리성 도전에 대한 재도전들 • We can’t be that dumb! • If that irratonal (or nonrational), we could not have survived! • 합리성 논쟁의 미래 • Either / Or 논쟁의 탈피 • 사고 과정에 대한 통합 • 합리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 제시
합리성 도전의 내용: Preference의 문제 • The Rational Economic Man의 가정 Preference: 1) Well-defined - Descriptive invariance Procedural invariance Context independent 결국 ‘숫자화’ 가능해야 함 2)End State에 의해 결정: “Change”에 무관
Preference 가정의 위반 1) Risk aversion vs Risk Seeking A: 50% chance; $200 & 50% chance; $0 B: 100% chance; $100 A: 50% chance; -$200 & 50% chance; -$0 B: 100% chance; -$100
2) Framing effect • Description invariance의 위반 * richer by $300 than you are today A: a sure gain of $100 B: 50%;$200 & 50%;$0 * richer by %500 than you are today A: a sure loss of $100 B: 50%;-200 & 50%; -$0 * 유명한 Asian disease 문제
Choosing cancer treatment Survival frame Mortality frame Radiation Surgery Radiation Surgery After treatment 100 90 0 10 After 1 year 77 68 23 32 After 5 years 22 34 78 66 Percentage of choosing each American MDs 16 84 50 50
3) Endowment effect • Loss aversion의 예 • Preference가 잘 확립되어 있다는 가정 위반 • 판매자와 구매자의 가격 차이 실험 • 어떤 대상이 ‘소유’되면 가치 증가 • Status quo 편향
Prospect theory의 value function gain loss
Prospect theory의 가치 함수의 특징 1) reference point: gain versus loss 2) concave for gain & convex for loss: risk taking in loss vs risk aversive in gain 3) Steeper in loss: Loss aversion
4) Preference reversal • Procedure invariance의 위반 • Choosing vs Pricing의 차이 A: 8/9;$4 B: 1/9; $40 –다수가 A 선택 각각의 가격을 책정하게 하면 다수가 B의 가격을 높게 책정
선택에서의 선호 역전 Award Deny Parent 1; average income average health average working hours reasonable rapport with the child relatively stable social life Parent 2; above average income minor health problem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ild lots of work-related travel extremely active social life
5) Context effects • Context independence 가정의 위배 • Compromise effect 어떤 선택지가 중간자가 되면 상대적 선호 변화하는 현상 A B C
결론적으로 Preference는 규준 이론에서 가정하듯이 잘 확립되어 있지 않다 • 마치 preference가 없는 듯 행동 • Not recalled but constructed
합리성 도전의 내용: Probability 판단의 문제 • 확률 이론 Extensional VS 주관적 판단 Nonextensional : coherence 기준 예) P(A & B) <= P (A) or P(B) • 3개의 general-purpose heuristics • Representativeness • Availability • Anchoring & Adjustment • “Natural assessments”– effortless, automatic, like visual illusions • 휴리스틱의 사용 자체가 irrational한 것은 아님 – very rational
Representativeness • 확률 판단의 문제를 ‘유사성 (대표성)’의 문제로 착각 예1) Linda problem “Linda is 31 years old, single, outspoken, and very bright. She majored in philosophy. As a student, she was deeply concerned with issues of discrimination, and social justice, and also participated in anti-nucleardemonstrations." Q: Linda의 현재 직업으로 가능한 순서대로 나열하라 a.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e. member of the league of women voters f. a bank teller g. an insurance salesperson h. a bank teller and is active in feminist movement
예2) 어떤 사람이 밀수의 전력이 있으며 현재 어떤 회사를 통한 무역업에 종사 중. 현재 어떤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제시된 문장들 중 가능성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라 A: “killed one of his employees" B: ”killed one of his employees to prevent him from talking to the police" 확인할 수 없는 동기와 이유를 첨가하여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공할 때 어떤 사건의 지각된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
Availability • 확률 판단의 문제를 기억에서의 인출 용이성 문제로 착각 • 예1) 10명에서 2명의 위원회 구성 vs 8명의 위원회 구성 • 예2) Re로 시작하는 영어 단어 vs re로 끝나는 영어 단어
Anchoring & Adjustment • 관련 없는 초기 정보에 영향 • 예1) UN에 속한 아프리카 국가의 수: 20 vs 40? • 예2) 아인슈타인의 미국 첫 방문 해: 1215 vs 1992? • 예 3) 대화 맥락에서의 self-anchoring
결국 주관적인 확률 판단이 확률 이론의 coherence 기준에서 체계적으로 위배 • 소수의 효율적인 휴리스틱에 의해 이루어짐
합리성 도전에 대한 재도전들 • We can’t be that dumb! • The paradox of rationality • 평가 기준으로서의 규준적 이론의 적절성 • “Bayesian hazing by statistical sophisticates”
We could not have survived! • Evolutionary approach • Frequency vs subjective probability (Steven Pinker, Gerd Gigerenzer)
It’s all parlor games! • Just ‘word problems’ • Interpretation – conversational logic 문제
합리성 이슈의 현재 • 합리적인가 합리적인지 않은가의 이분법적 논쟁 지양 • 합리성의 새로운 경험적 기준: 선호 판단의 내용 • Predicted utility vs Experienced utility • Affective forecasting 정확성의 문제 • Eg) Diversification bias (satiation 예측의 문제) Durability bias (부적 정서의 지속 기간 예측 문제)
합리성 위반이 실제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영역의 연구 확대: 예) Mental accounting • 서로 다른 심리적 ‘구좌’ 운용 예1) 2000만원 짜리 자동차 구입; 2시간 떨어진 매장에서 10만원 할인; 가겠는가? 50만원 짜리 진공 청소기 구입: 2시간 떨어진 매장에서 10만원 할인; 가겠는가? 예2) house money effect (“공돈” 효과) “낚시에서 잡은 잉어 비행기 수송. 항공사 실수로 잉어 사망. 보상금 20만원 받은 –그 날 저녁 부인과 15만원어치 저녁 먹음”–한번도 그렇게 먹어본 적이 없음 Fungibility를 무시하고 돈의 출처에 이름을 붙임
예3) 콘서트 2만원 짜리 티켓 분실; 다시 구입하겠는가? 2만원 티켓 구입할 계획; 지갑에서 2만원 분실; 티켓 구입하겠는가? • 예4) “크리스마스 선물은 나누어서 포장하라” $50 복권 당첨 & $20 복권 당첨 $70 복권 당첨 –누가 더 행복할까? • 예5) “손실은 합쳐서 생각하라” 4만원 주차 위반 딱지 & 6만원 속도 위반 딱지 10만원 속도 위반 딱지 –누가 더 기분 나쁠까?
인간의 판단과정에 대한 이중 체계 모형 개발 • Dual Processing: Motivated tactician view Heuristic vs Systematic • Two Systems: System 1 vs System 2 (Tversky & Kahneman)
맺는 말 “The Psychological 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