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likes | 481 Views
이승훈. smili04@naver.com http://miles80.wordpress.com / 010- 5601- 6171. 구강보건통계학. Dentl Statistics. 통계학. 주위 현상을 수량적 자료로 수집 - 요약 - 해석하는 자료과학 대상 집단에 대해 조사한 결과로부터 일반성을 찾아냄 불확실한 사실에 대한 예측을 끌어내기 위한 이론과 방법을 제시하는 학문. 통계적인 사고방식. 대상은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것 수량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 결과가 유동적이고 변동성이 있는 것
E N D
이승훈 • smili04@naver.com • http://miles80.wordpress.com/ • 010- 5601- 6171
구강보건통계학 Dentl Statistics
통계학 • 주위 현상을 수량적 자료로 수집-요약-해석하는 자료과학 • 대상 집단에 대해 조사한 결과로부터 일반성을 찾아냄 • 불확실한 사실에 대한 예측을 끌어내기 위한 이론과 방법을 제시하는 학문
통계적인 사고방식 • 대상은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것 • 수량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 • 결과가 유동적이고 변동성이 있는 것 • 유동성과 변동성이 규칙성과 경향성이 있는 것
보건통계학 (Biostatics) • 인간의 생명현상과 건강문제를 집단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분석함 • 국민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사업이나 연구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통계적 방법론
구강보건통계학 (Dental Statics) • 구강보건통계학은 보건통계학의 한 분야 • 구강건강과 관련된 현상을 요약-기술함 • 일부의 결과를 통하여 전반적인 구강보건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결과를 도출하거나 일반화하는 방법론
제 2 장 변수와 지수
변 수 (variable) • 각 조사 단위에 대해 측정되는 특성 • 예) 성별, 나이, 키, 체중 • 독립변수- 실험자가 임의로 통제 가능한변수, 영향을 주는 변수(예측변수) • 종족변수- 연구자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변수, 영향을 받는 변수(반응변수)
변수의 종류 • 명목변수- 숫자가 갖는 정보 중에서 “같다”, “다르다”는 정보만 갖고 있는 변수. • 예) 남녀, 성별.. • 서열변수- 같다;다르다 정보 외에 “크다” “작다”는 순서의 정보를 더 갖고 있는 변수. • 예) 상중하
변수의 종류 • 구간변수-같다;다르다, 크다;다르다, 정보와 “얼마나 더 크다”는 정보를 갖고 있는 변수. • 예) 온도,성적, IQ • 비율변수- 같다;다르다, 크다;다르다, 얼마나 더 크다, 정보와 “몇 배나 더 크다”는 정보를 갖고 있는 변수. • 예) 키,체중,수입
자료, 지수, 지표 • 자료(data)- 하나 이상의 변수에 대해 측정되는 특성 • 지수(index)- 같은 종류의 통계수치의 대소 관계를 비율의 형태로 나타낸 것 • 지표(indictor)- 여러 개의 지수를 모아 하나의 수치로 쓰일 때 필요한 복합개념
제 3 장 측정
측 정 • 관찰(observation)이라고도 함. • 일정한 규칙에 따라 현상에 숫자를 부여하는 일.
측정오차 (measurement error) • 실제값과 측정값 사이에 차이 • 체계적 오차- 측정환경 때문에 측정결과가 전반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치는 결과가 초래되는 오차 • 확률 오차- 우연히 생겨나는 오차. 통제가 불가능
신뢰도 (reliability) • 두 명 이상의 관찰자가 각기 관찰해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 • 동일한 관찰자가 시각적인 차이를 두고 관찰해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 • 재검증법- 동일한 측정도구와 대상을 가지고 시간간격을 두고 측정하여 결과를 비교
타당도 (validity) •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실제 내용을 정확하게 측정한 여부 • 기준을 확보하고 측정도구를 구성
민감도와 특이도 • 민감도- 정밀진단결과 양성인을 간이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하는 율 • 특이도- 정밀진단결과 음성인을 간이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하는 율
의음성도와 의양성도 • 의음성도- 정밀진단결과 양성인을 간이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하는 율 • 의양성도- 정밀진단결과 음성인을 간이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하는 율
변수의 선택 • 가급적이면 연속변수로 측정하는 것이 권장 • 연속변수의 경우 적은 수의 표본수로 측정가능, 효율이 높다. • 5개 범주나 7개 범주로 세분화하여 측정
측정의 정도 ; 신뢰도 • 조사자의 변동 • 연구대상자의 변동 • 측정기의 변동
측정의 정도 평가; 신뢰도 평가 • 재측정 • 내적 일관성- 사실상 같은 내용의 설문을 표현만 달리하여 조사 • 조사자 내 일관성과 조사자간 일관성 • 조사자가 반복하여 조사-조사자 내 • 서로 다른 조사자가 각기 조사- 조사자 간
측정의 정도를 높이는 방안 • 측정방법의 표준화 • 측정훈련 • 측정도구의 세련화 • 측정도구의 자동화 • 반복측정
측정의 정확도 • 변수가 대표하고자 하는 것을 실제로 대표하는 정도 • 그림 3-1 참고 p.22 • 편의- 관찰자가 실험군에 대하여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하려는 경향 • 호손효과- 연구대상자가 되었다는 사실이 연구대상자에게 영향을 미침
정확도의 평가 • 이미 정확한 것으로 알려진 측정방법(gold standard)과 비교함으로써 평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 신중한 측정 • 맹검법적용 • 측정도구의 영점조절
바람직한 측정 • 민감도와 특이성을 높인다 • 연구목적에 적합한 측정법 사용 • 적절한 분포 • 측정자나 연구대상자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도록 함
복수변수를 이용한 측정 • 몇 가지 보조적인 변수도 추가로 측정, 여러 가지 변수를 조합지수를 산출 • 소요경비와 시간을 고려 • 측정항목별로 질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