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0 likes | 1.14k Views
가족복지. 가족복지.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가족복지의 의미 가족복지의 접근방법 한국 가족복지의 전망과 과제. Ⅰ.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사회변동과 가족관계의 변화 사회변동과 가족의식의 변화 현대의 가족문제와 그 원인. 1. 사회변동과 가족관계의 변화. 가족 형태의 변화 가족기능의 변화 부부의 성적기능 , 자녀 출산의 기능 경제적 기능 , 양육 ( 보호 ) 의 기능 , 교육 ( 사회화 ) 의 기능 , 휴식 · 오락의 기능 , 종교적 기능 가족생활주기의 변화. 1) 가족형태의 변화.
E N D
가족복지 •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 가족복지의 의미 • 가족복지의 접근방법 • 한국 가족복지의 전망과 과제 가족복지 43/ 85
Ⅰ.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 사회변동과 가족관계의 변화 • 사회변동과 가족의식의 변화 • 현대의 가족문제와 그 원인 가족복지 43/ 85
1.사회변동과 가족관계의 변화 • 가족 형태의 변화 • 가족기능의 변화 • 부부의 성적기능, 자녀 출산의 기능 • 경제적 기능, 양육(보호)의 기능, 교육(사회화)의 기능, • 휴식·오락의 기능, 종교적 기능 • 가족생활주기의 변화 가족복지 43/ 85
1) 가족형태의 변화 • 가족 크기의 변화 • 가족범위의 축소 및 가족 유형의 다양화 • 핵가족, 확대가족*, 독신가족, 동거가족, 무자녀가족, 동성애가족, 개방가족**, 혼합가족***, 한부모가족… *확대가족(擴大家族, extended family) : 부부 및 미혼 자녀 이외에 직계존속(尊屬) ·비속(卑屬)과 방계의 친족 등을 포함한 가족. **개방가족 : 부부가 서로를 속박하지 않고 관계의 성숙을 도모하며 성 관계까지 개방하는 가족.swapping ***혼합가족 : 두 개의 핵가족이 모여 하나의 가족을 이루는 경우. 가족복지 43/ 85
2) 전통적 가족의 기능 • 고유기능 • 성적기능(애정적 기능) • 생식의 기능 • 기초기능 • 부양·보호적 기능(양육의 기능) • 교육적 기능 • 경제적 기능 • 파생기능 • 휴식·오락의 기능 • 종교적 기능 가족복지 43/ 85
(1) 성적 기능(애정적 기능) • 씨받이, 매매혼 • Platonic love 결혼 완전한 결합 • 가정은 한 남자와 한 여자의 완전한 사랑의 결합을 요구. • 사랑의 결합 :정신적 육체적 완전한 결합. • 이러한 완전한 결합은 결혼으로서만 가능. 육체 정신 가족복지 43/ 85
(2) 생식의 기능 • 완전한 사랑의 결합은 자녀출산을 수반 • 생식의 기능은 부부만이 갖는 유일한 기능 • 자녀출산은 가장 중요한 가족의 기능 가정의 무자녀 가정 밖의 자녀외도로 얻은 자녀 모두가 불행의 씨앗이에요 가족복지 43/ 85
(3) 부양·보호의 기능 • 부모는 자녀양육, 자식은 노부모부양. • 부양의 관계는 권리·의무이기 전에 천부적(天賦的). • 환자, 실업자(失業者), 어린아이, 노인, 장애인, 등... 가족복지 43/ 85
(4) 교육적 기능 • 부모는 첫 번째의 교사. • 어린이는 태어나면서부터 부모로부터 인간관계·행위규범·가치체계를 습득. • 사회화(socialization):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필요한 인성(personality) 형성 인격적 개체 생물학적 개체 성장 가족복지 43/ 85
(5) 경제적 기능 가사(家事)전담: 안 사람, 집 사람 직업에 종사: 바깥 사람 생산적 기능의 감퇴 농경사회 : 공동생산 공동소비 남자 여자 수입 담당 의·식·주 생활담당 소비 담당 맞벌이부부 : 가사에 공동참여 성 역할의 분화현상 감퇴 가족복지 43/ 85
(6) 휴식 및 오락의 기능 • 가족은 구성원 상호간에 심신의 긴장을 풀고 피로를 회복하는 휴식의 기능을 갖는다. • 가족은 구성원들 끼리 공동의 레크리에이션을 갖는다. • 오락을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 사회성도 기른다. 사회 : 직장 : 학교 : 가정: 휴식·오락 스트레스 노동력 재생산 가족복지 43/ 85
(7) 종교적 기능 • 가족은 대개 같은 종교를 가지고 있다. • 우리는 전통적으로 조상제사를 지낸다. • 가족이 각기 다른 신앙을 가지고 있으면 불화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 종교를 가지고 있는 가정은 일반적으로 확고한 가치관과 성숙된 행복한 가정을 이룰 수 있다. • 결혼예식장, 장례예식장:가족은 경비만 부담. 가족복지 43/ 85
가족기능의 형태 가족복지 43/ 85
WHO기준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 빈둥지증후군(症候群) : 중년에 이른 가정주부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하여 회의를 품게 되는 심리적 현상. 마치 텅 빈 둥지를 지키고 있는 것 같은 허전함을 느끼어 정신적 위기에 빠지는 일을 말한다. 가족복지 43/ 85
2.사회변동과 가족의식의 변화 • 가족주의(家族主義) 가치관의 변화 • 집단으로서의 가족을 개개의 가족성원보다 중시하는 사고방식·태도. • 가족제일주의 • 개인주의와 평등주의 • 여성의 가구외적 활동 증가 • 새로운 자녀관(子女觀) • 자녀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다. • 독립된 인격체로서 자신들의 인생을 살아가도록 도와야 가족복지 43/ 85
3. 현대의 가족문제와 그 원인 • 가족문제를 보는 관점 • 가족체계와 가족성원과의 관계를 다루는 미시적 관점 • 가족문제를 사회문제의 한 부분으로 보는 거시적 관점 • 이혼의 증가 • 아동 및 청소년 비행 • 가정에서의 방임, 부모의 불화, 과잉보호, 교우관계, 진학문제, 기타 • 가족의 부양기능 저하 가족복지 43/ 85
가족관계와 가족생활의 내적 변화 • 가족 내 위계질서의 변화 • 양성평등의 가족관계의식의 확산 • 부모역할의 변화 •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와 생활패턴의 변화 가족복지 43/ 85
Ⅱ. 가족복지의 의미 • 가족복지의 개념 • 가족복지의 대상과 영역 • 가족복지의 기능 • 가족개발기능 • 가족복지기능 • 가족보호기능 • 자원개발기능 가족복지 43/ 85
1. 가족복지의 개념 • 가족이 원래 가지고 있는 기능이 약화, 손상, 파괴 되었을 경우 이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복지적 과정. • 학자 별 가족복지의 정의 • P. 354. <표 14-3> 참조 가족복지 43/ 85
2.가족복지의 대상과 영역 • 교재 : p.356. <표 14-4> 참조 가족복지 43/ 85
3. 가족복지의 기능 • 가족개발기능 : • 건전가정 육성을 위한 가족교육, 역할개발, 생활개선과 가족보건 • 가족복지기능 : • 가족상담, 가족치료, 역할지원, 재활지원 • 가족보호기능 : • 독립적 생활이 어려운 가족에 대한 생계지원,건강보호, 시설보호 • 자원개발기능 : • 지역사회 내의 복지여건 조성, 기금조성, 조직개발, 인력개발 가족복지 43/ 85
Ⅲ. 가족복지의 접근방법 • 정책적 접근 : 가족복지정책 • 전문적 접근 : 가족복지서비스 • 가족에 대한 직접적 개입 • 가족보호 • 가정생활교육 • 가족계획사업 • 가족보존과 가정기반서비스 • 가족치료 • 가족옹호 가족복지 43/ 85
가족복지의 방법 개별가족에 접근: 상담, 가족치료, 거시적 방법 미시적 방법 정책적 접근: 사회문제화 된 가족문제 가족복지 43/ 85
1. 가족과 가정 • 가정(家庭)=Home 가족(家族)=Family • 가정(家庭)은 가족공동체의 생활의 장(場) • 가정은 가족의 생활경영(生活經營)이 이루어 지는 곳. • 가정(家政)이 행해지는 장(場). • 가족은 혈친족(血親族)이 주요 구성원. • 형제적 사랑으로 맺어진 혈연공동체. • 가족구성원의 복지추구가 중심기능. 가족복지 43/ 85
2. 가족과 복지 • 사회복지란 결국 전통적으로 가족에 의하여 수행되어 온 복지의 기능을 사회가 지원·보완·대체하는 활동. • 따라서 사회복지의 일차적 목표는 가족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가족복지 43/ 85
3. 현대가족의 성격 • 전통적인 가족관(家族觀)의 변화 • 가정에서의 부권(父權)의 상실 • 가족의 보호·부양기능의 감퇴 • 부부가족의 일반화 • 가족규모의 축소 • 가족주기의 변화 •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 이혼율의 급증 • 가족유형의 다양화 가족복지 43/ 85
4. 가족유형의 다양성 • 이혼가족 • 한 부모가족 • 소년·소녀가장가족 • 독신가족 : 1인 가족 • 재혼가족 • 미혼모가족 • 맞벌이가족 • 다문화가족 가족복지 43/ 85
5. 문제가족 • 빈곤가족(실직·만성질환가정) • 가정폭력가족 • 장애인가족 • 치매노인가족 • 알코올중독가족 • 비행청소년가족 • 한 부모가족(모·부자가족) • 조손(祖孫)가족, • 소년소녀가장가족 • 다문화가족…… 가족복지 43/ 85
외국인과의 국적별 혼인 수(2010) 가족복지 43/ 85
6. 가족치료 1) 의의 •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나 가족구성원 중 한 사람의 행동 또는 정서•심리상의 문제에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 또는 경감시켜 나가는 과정” 가족복지 43/ 85
2) 가족치료의 원리 • 가족을 하나의 역동적인 체계로 본다. • 가족 구성원 개인의 문제를 가족 구성원들간의 관계양상에서 찾는다. 어머니 아버지 아들 아들 딸 가족복지 43/ 85
3) 가족치료의 기능 • 개인적 변화 보다 가족 구성원들끼리 상호작용 하는 방식의 변화에 초점. • 부부갈등. • 부모-자녀간 문제. • 아동문제. • 다세대간의 갈등. 가족복지 43/ 85
4) 가족사정 • 클라이언트의 문제의 본질 • 클라이언트 및 중요한 타인의 대처능력 • 클라이언트 문제와 관련된 체계 및 이들 체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작용 •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 • 문제를 해결하려는 클라이언트의 동기 가족복지 43/ 85
5) 가족사정의 방법 • 인터뷰 • 그림 그리기 • 생태도 • 가계도 • 사회적 관계망 그리드(Grid) • 관찰 • 체크리스트 가족복지 43/ 85
6) 가족치료의 여러 방법론 • 체계론적 가족치료 • 구조적 가족치료 • 전략적 가족치료 • 해결중심 가족치료 • 행동주의 가족치료 • 정신분석 가족치료 • 경험적가족치료 가족복지 43/ 85
가족복지관련법 가족복지 43/ 85
가정에 대한 지원 자녀양육지원의 강화 가족단위 복지증진 가족의 건강증진 가족부양의 지원 민주적이고 양성평등 한 가족관계의 증진 가족단위 시민적 역할증진 가정생활문화 발전 가정의례 가정봉사원 이혼예방 및 이혼가정지원 건강가정교육 자원봉사활동의 지원 1.건강가정사업 가족복지 43/ 85
2.가정에 대한 지원 • 가족구성원의 정신적ㆍ신체적 건강지원 • 소득보장 등 경제생활의 안정 • 안정된 주거생활 • 태아검진 및 출산ㆍ양육의 지원 • 직장과 가정의 양립 • 음란물ㆍ유흥가ㆍ폭력 등 유해환경으로부터의 보호 • 가정폭력으로부터의 보호 • 가정친화적 사회분위기의 조성 • 그 밖에 건강한 가정의 기능을 강화ㆍ지원할 수 있는 관련 사항 • 취업여성의 임신ㆍ출산ㆍ수유와 관련된 모성보호 및 부성보호를 위한 유급휴가의 장려 • 한부모가정, 노인단독가정, 장애인가정, 미혼모가정, 공동생활가정, 자활공동체 등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가정에 대한 지원 가족복지 43/ 85
3. 건강가정사의 자격(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가족복지 43/ 85
4.건강가정사의 직무 ① 가정문제의 예방ㆍ상담 및 개선 ②건강가정의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③건강가정 교육(민주적이고 양성평등 한 가족관계 교육을 포함) ④ 가정생활문화운동의 전개 ⑤ 가정관련 정보 및 자료제공 ⑥ 가정에 대한 방문 및 실태파악 ⑦아동보호전문기관 등 지역사회자원에의 연계 ⑧그 밖에 건강가정사업과 관련하여 여성부부장관이 정하는 활동 가족복지 43/ 85
쉬었다가 하세요... 가족복지 43/ 85
21세기는 3F의 시대 : • Female : 여성 • Fiction : 픽션(상상; 창의) • Feeling : 감성 가족복지 43/ 85
글로벌 선진기업의 혁신리더 •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 인재를 알아보고 활용하는 능력(knowing talents) • 여성(women) 비즈니스 위크(2006.6.19) 가족복지 43/ 85
한국의 여성 : • 여성의 권한 측도 : Gender Empowerment Measure • 유엔개발기구, 2008 • 한국 : 108개국 중 68위 • 대졸여성 취업률(59%) : OECD 국가 중 최하위 • 상시근로자 1000명 이상 기업, 정부투자기업, 그 산하기업 613개 사업장 대상 조사 : • 과장급 이상 : 6.5% • 임원 : 3.8% 가족복지 43/ 85
여성의 날 : 3월8일 • 여성의 날은 원래 정치, 노동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 1910년 독일의 여성 노동운동 지도자였던 클라라 제트킨의 주장이 받아들여져서 이듬해 첫 행사가 치러졌다. • 초기 여성의 날은 3월19일이었는데, 프러시아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4세가 여성 참정권을 약속한 날. 그러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가족복지 43/ 85
1913년부터 3월8일로 바뀌었다. • 미국 뉴욕의 의류회사 트라이앵글에서 여성근로자 140여명이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일하다 화재로 숨진 사건 때문에 여성들이 생존권과 참정권을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인 날. • 세계 여성의 날은 1930년대 이후에는 명맥만 유지하다가 60년대 여성운동이 꽃을 피우면서 다시 세계 각국으로 확산. 가족복지 43/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