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likes | 598 Views
휴대인터넷 주요 서비스 전망. Contents. 서비스 전망. IM (Instant Messaging). PTT (Push To Talk). 차세대 방송 서비스. 서비스 전망. 휴대인터넷 기술환경의 특징. 휴대인터넷은 기존의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해 네트웍 , 플랫폼 , 단말기 등에서 새로운 기술적 환경이 제시되고 있음. 네트웍. 플랫폼. 단말기. AOD/VOD 등 멀티미디어 표준 IM/PTT/VoIP 등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확대 멀티태스킹 기능 지원.
E N D
Contents 서비스 전망 IM (Instant Messaging) PTT (Push To Talk) 차세대 방송 서비스
휴대인터넷 기술환경의 특징 휴대인터넷은 기존의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해 네트웍, 플랫폼, 단말기 등에서 새로운 기술적 환경이 제시되고 있음 네트웍 플랫폼 단말기 • AOD/VOD 등 멀티미디어 표준 • IM/PTT/VoIP 등 커뮤니케이션 • 플랫폼 확대 • 멀티태스킹 기능 지원 • AOD/VOD/3D 성능 강화 • 고화질/대화면의 Display • 고용량의 메모리 • 휴대 용이한 크기/무게 • 고속/대용량(1~3M) • 데이터 통신에 대한 수요 증대 • 동시접속자의 확대 •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빠른 속도 • (최소 300kbps 이상)
휴대인터넷의 서비스 경향 휴대인터넷 서비스는 유무선 서비스의 한계를 보완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됨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발전 • 휴대인터넷은 유선인터넷에서 부족한 즉시성과 무선인터넷의 동시접속자 한계를 극복하여 • 언제, 어디서나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해짐 • 기존의 유선음성 서비스인 VoIP는 단순 음성통화 서비스가 지원되었으나, 저렴한 통화요금 • 에 비해 인터넷 외 추가 설비가 필요한 비싼 단말기, 서비스 품질 및 전송 속도 등이 문제점 • 으로 대두되었음 • 휴대인터넷에서는 유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Voice와 연계된 서비스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Voice와 연계된 서비스의 개선 및 확대 유무선연동 서비스의 활성화 • 휴대인터넷은 무선UI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유선과 같이 자유로운 UI 구현이 가능하고, • 콘텐츠 공유가 활발해짐으로써 유무선연동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
SP SP 제조 업체 제조 업체 이통사 통신사 통신사 CP CP CP CP 포탈 포탈 포탈 포탈 휴대인터넷의 비즈니스 환경 유무선 통합을 위한 휴대인터넷은 무선 시장의 폐쇄된 비즈니스 환경을 극복하고 유선의 오픈된 비즈 니스 환경으로 확대가 되어 유선에서의 서비스 기반을 가진 사업자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Open Market (휴대인터넷) Closed Market (무선인터넷) Open Market (유선인터넷)
휴대인터넷의 주요 서비스 휴대인터넷은 이동성, 확장성, 즉시성을 반영한 콘텐츠의 다양화, 융합 등을 통한 IM, PTT, 차세대 방송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됨
IM (Instant Messaging) IM (Instant Messaging)은 유무선인터넷에 접속된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서비스 이며, 휴대인터넷에서의 IM은 유선과 무선의 장단점을 해결하여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수행함 유선 IM 무선 IM • Multi Function 기능 • - 음성채팅/화상채팅 기능 지원 • - 타 매체와의 서비스 연계 가능 • 이동성 불가 • 음성채팅/화상채팅 불가 • 불편한 UI • 불안정한 네트웍 • 불편한 텍스트 입력 구조 휴대인터넷 IM • Multi Function 기능 • - 음성채팅/화상채팅 기능 지원 • - 타 매체와의 서비스 연계 가능 • 이동성 지원
메신저 패스포트 로그온 그룹 CJ MALL 증권정보 전화하듯 음성채팅 YBM 영어교육 PC카메라로 화상채팅 파일전송 로또복권 메신저파워플러스 MSN플러그인으로 온라인게임 즐기기 MSN엔터테인먼트 사람초대 광고팝업창 대화상대의 상태표기 상대방 이미지 보기 현재 사용하는 글꼴 바꾸기 상대방 이미지 보기 이모티콘 메신저창의 배경 변경 유무선 IM 비교 유선 IM 서비스는 비즈니스의 확장성과 기능의 편리성을 가진 반면 이동성이 제한되어 있으며, 무선 IM 서비스는 이동성의 장점을 가진 반면 비즈니스의 확장성과 기능의 편리성에 한계가 있음 유선 IM의 특징 무선 IM의 특징 • 불편한 UI 구조 • 단순한 텍스트 입력 구조 • 음성/화상채팅 미 지원 • 파일 전송 미 지원 • 부가 기능(이모티콘 등) 미 지원 • 부가 서비스 미 지원 < 비즈니스 확장성 > < 기능의 편리성 >
휴대인터넷 IM 적용 사례 휴대인터넷에서의 IM 서비스는 유선의 비즈니스 확장성과 기능의 편리성, 무선의 이동성을 모두 갖추 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음 휴대인터넷 IM의 특징 원격 File 검색 및 전송 사업계획서 보내줘 알았어. 내 PC에서 찾아서 보내 줄께 ① Text 로 요청 ② 음성으로 대답 < 내근중인 User B > < 외근중인 User A > ③ 자기 PC에 원격 접속해서 자료검색 ④ PC의 메신저를 이용해 File 전송 • 유선 서비스와 동일한 UI • 단말 카메라/마이크 기능 활용한 음성/화상채팅 지원 • 동영상 파일 송수신(본인PC 원격 검색 및 전송) • 부가 기능(이모티콘 등) 지원 • 엔터테인먼트 부가 서비스 지원 < 회사 내 User A PC>
PTT (Push To Talk) PTT (Push To Talk)는 휴대폰을 무전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버튼을 눌러 1:1 또는 1:n 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IM과 TRS(주파수 공용통신)를 결합한 형태의 음성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임 IM TRS • 친구 및 그룹 관리 • 친구의 Presence 관리 • 즉시 통신, 그룹 통신 • 음성채팅, 화상채팅 기능 지원 • 휴대단말에서는 불편한 텍스트 입력 구조를 가짐 • 그룹통신 지원(그룹 구성원 설정이 제한적임) • 특정 순간에 한 사람만 대화가능 • 버튼을 눌러야만 대화 가능/신속성, 즉시성이 강조 • 기지국을 통한 릴레이 기능으로 지리적 제한 없음 • 비 표준의 기지국과 전용단말로 비싼 비용 • 기지국 수가 작아 지하나 도심지역에서 통화 불가 PTT • IM과 TRS의 주요 기능 대부분 적용 가능 • 기존 유무선 IP 인프라를 활용 → 구축비용이 저렴 • 통화대기시간이 짧음 • 사용이 간편 • 일반 통화에 비해 저렴한 요금
PTT 적용 사례 휴대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PTT 서비스는 단말기를 무전기처럼 활용해 1 : 1 또는 1 : n 음성 수신이 가능해짐으로써, 특히 실시간이 요구되는 비즈니스 영역에서 효과적임 인기 신상품 위주로 DP 변경 빨리 하도록 하죠. A백화점 식품관 선물전 현장 < 식품관 DP 담당자 > 음성 매출은 전년 대비해서 10% 정도 적은 상태입니다. 음성 화이트데이 특집 선물전 DP가 문제 있는데? 매출 상태 어때요? 음성 < 식품관 영업 관리부 > 음성 럭셔리 스타일로 DP하는 게 나을 거 같아요. 음성 < 화이트데이 특집 선물전 코너 담당자 > < 식품관 매니저>
카메라 마이크 PTT 진화(그룹 화상채팅) 휴대인터넷에서의 PTT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내장된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타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음성채팅 뿐만 아니라 화상채팅 영역까지 서비스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B양, 소개팅 하는 날 특이한데? 어디서 샀어? 가방이랑 목도리 어때? 화상 < PC CAM > 목도리를 바꿔봐. 화상 화상 < 휴대인터넷 단말기 > 좋네. 내 헤어 스타일도 봐줘. 화상 < 휴대인터넷 단말기 > < 휴대폰 >
PTT 진화(그룹 방송청취 및 통화) 휴대인터넷에서의 PTT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방송을 그룹으로 연결된 친구들에게 Push하여 동시에 청취 및 통화가 가능한 서비스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됨 C양, 친구들과 음악방송 함께 듣다 나도 요즘 이 방송 즐겨듣는데. 통했네? 테이의 ‘사랑은…향기를 남기고’ 나와.들어봤어? 넘 좋아! < 휴대인터넷 단말기 > ***-***-****님께서 함께 방송 듣기로 초대했습니다. 초대를 원하시면 확인을 눌러주세요. 방송으로 자동연결 됩니다. 듣고 있어. 말시키지마. 분위기 깨져. 화상+방송 화상+방송 < 휴대인터넷 단말기 > < 휴대인터넷 단말기 > 오호~노래 좋은데…? 내칭구 몽이가 너 소개시겨 달란다.ㅋㅋ < 휴대인터넷 단말기 >
EV-DO 방송 서비스 현황 한국의 EV-DO 서비스는 세계 최초로 3G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의 FOMA보다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 으며, KTF의 Fimm에서는 라이브TV가 이용률이 높고 VOD의 경우 드라마의 이용률이 높음 실시간 방송 채널 구성 Fimm 방송서비스 통계 < 서비스 유형별 > < 서비스 카테고리별 >
EV-DO에서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 구성 EV-DO를 통한 실시간 방송은 유니캐스트 방식을 취하고 있어 네트웍에서의 대역폭 및 송신시스템 장비의 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동시 접속자 수 측면에서도 한계를 지님 방송국 NAS 스튜디오 RTE Server 경기장 S/W Admin & Report PC 인증DB NSS Server EV-DO/W-CDMA 단말기 IDR(정보이용료) S/W LOG Server (Gateway) CP MTS Server LOG Server (패킷과금) USER MTS : Master Server / NSS : Network Streaming Server / RTE : Real-time Encoding Server / NSS : Network Attached Storage
Unicast Multicast Broadcast Multicast-enabled Local Network CP Multicast-enabled Local Network Multicast-enabled Internet IP Multicast IP Multicast는 단일 정보스트림을 동시에 수많은 사용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네트웍 자원 및 시스템 과부하를 개선시키는 전송방식으로 휴대인터넷에서의 활성화가 예상됨 Multicast 개념 인터넷방송에서의 IP Multicast 구성
IP Multicast 적용 사례 휴대인터넷에서의 IP Multicast는 송신자가 수신자를 지정하여 즉시 방송 송출이 가능하고, 일반 user들의 개인방송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D양, 원빈 파파라치 되다! 으아~ 원빈! 내 이상형이야! < 사무실 > 동영상 시청 남자가 봐두 멋있네.. 원빈처럼 옷 입어봐? ** 님의 원빈 파파라치 방송이 시작됩니다. 방송감상을 눌러주세요. 동영상 송출 동영상 시청 < D양 개인 컴퓨터 > < 길거리 > 동영상 시청 재밌네…넌 원빈 뒤만 따라다녔냐? < 시사회장에서 > < 압구정에서 > < 동경 로드샵 광고 > < 자동차 안 >
MBone (Multicast backBone) 꿈의 네트웍으로 불리는 MBone은 불특정 다수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진정한 방송기능과 더불어 양방향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 기능까지도 제공하는 미래지향적 네트웍 기술임 • 전세계 시청자가 동시에 참여하는 인터넷 기반의 대담 프로나 쌍방향 화상 회의, 양방향 TV 등을 위한 핵심 인프라임 SDR VIC RAT ※ SDR : Session Directory tool ※ VIC : Video-conferencing tool ※ RAT : Audio-conferencing tool
Point To Point IP Multicast에서의 Point To Point는 이용자가 휴대인터넷 단말기로 지정된 공간에 설치된 웹캠을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각종 Care 서비스에 적용 가능함 Home Care < 집 내부 > Kids Care < 자녀가 있는 직장 여성 > < 자녀 유치원 >
1.음악 -최신인기가요 - 효리”10Minutes” - 조PD”비밀일기” -바이브”오래오래” 개인화된 쌍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휴대인터넷은 유선인터넷에서 부족한 즉시성과 무선인터넷에서 버거운 방송서비스를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연계된 맞춤형 쌍방향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음 신청 방송 채널 최신음악 최신영화 압구정로드샵정보 이색데이트장소 대학생 A군(21세) < 유저가 직접 원하는 개인 맞춤형 방송 신청 > < 해당시간에 유저가 신청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유저는 직접 원하는 방송 선택 가능 >
유비쿼터스 방송 서비스 휴대인터넷은 언제, 어디서, 어떠한 단말기로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방송 서비스의 초기 모델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함 • 현재의 기간망에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유력한 형태가 휴대인터넷 서비스임 • 가정/학교/회사/도심 등에서 다양한 단말기로 휴대인터넷에 접속하여 방송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방송 서비스를 제공 • 단말기별로 서비스 내용이 달라지는 방송서비스 환경을 제공함 • ex) 디스플레이가 작은 PDA나 스마트폰에서는 1~2화면분할, 텔레매틱스 등에서는 3면 이상의 화면 분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 SMIL과 결합 시 작은 화면에서도 Interactive 서비스가 가능함 영화의 한장면 지난 경기 화면 영화 내용 소개 프로필 소개 < PDA 단말기 > < 텔레매틱스 단말기 > 스포츠 중계
Direct Media는 휴대인터넷 시장의 활성화와 국가 경쟁력 향상을 염원합니다. Thank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