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9

20. 인쇄출판

20. 인쇄출판. 발표자 : 201072231 김영륜. 목차. 다라니경 고려대장경 금속활자 백추지 송연묵 붓.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966 년 불국사 3 층 석탑 ( 석가탑 ) 에서 발견된 유물로 , 8 세기 중엽에 간행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이다 .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2.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

derora
Download Presentation

20. 인쇄출판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 인쇄출판 발표자: 201072231 김영륜

  2. 목차 • 다라니경 • 고려대장경 • 금속활자 • 백추지 • 송연묵 • 붓

  3.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무구정광대다라니경 • 1966년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에서 발견된 유물로, 8세기 중엽에 간행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4.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2.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 1966년 10월 13일,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다가 석탑의 2층 탑신부의 금동제 사리함에서 다른 사리 장식과 함께 발견되었다. • 이때 함께 출토된 28점의 유물을 한데 묶어 1967년 9월 16일 국보 제126호로 지정하였다.

  5.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3. 언제 만들었을까? • 본문 가운데 당나라 측천무후(624~705) 시대에 만들었던 목판 활자 글자체가 들어 있어 제작 연대를 비교적 확실히 알 수 있다. • 불경이 있던 석가탑이 751년 불국사가 다시 건립됐을 때 세워졌으므로 불경은 700~751년경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측천무후(則天武后) * • 중국에서 여성으로 유일하게 황제가 되었던 인물로 당(唐) 고종(高宗)의 황후였지만 690년 국호를 주(周)로 고치고 스스로 • 황제가 되어 15년 동안 중국을 통치

  6.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4. 어떤 내용일까? • 죽어서 지옥에 떨어지는 바라문을 구하기 위해 외우는 경전. • 죄를 없애고 목숨을 늘려 장수하는 법을 구하기 위하여 탑 속에 넣는 불경으로, 신라인의 종교적인 염원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불국사를 지은 김대성이 부모님을 생각하고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탑 속에 넣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7.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5.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가장 오래된 인쇄물로 알려진 일본의 '백만탑다라니(百萬塔陀羅尼)'(770년경 제작)보다 20년이나 오래된 목판 인쇄본이며, 한국 고인쇄문화(古印刷文化)의 높은 수준을 증명할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다. • ‘백만탑다라니’가 조그마한 나뭇조각에 불경을 새겨 도장을 찍은 듯한 인쇄물인데 반해, 무구 정광대다라니경은 불경 전체 내용을 완벽하게 새겨서 찍어낸 두루마리 형태의 책이다.

  8. 20-1. 무구정광대다라니경 6. 신라의 독자적인 제지술을 증명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천년이 넘었음에도 발굴될 때 종이가 썩지 않고 형체가 보존되어 있었다. • 종이: 닥나무 => 신라가 중국 등에서 종이를 수입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훌륭한 종이를 만들었음

  9. 20-2. 고려대장경 1. 고려대장경 • 고려대장경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져 해인사 장경판전에 보관되고 있고, 국보 32호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10. 20-2. 고려대장경 2.고려대장경은 언제 만들어졌을까?

  11. 20-2. 고려대장경 3. 고려대장경의 크기는? • 경판 1매 당 글자수 • 23(행수) x 14(1행당 자수) x 2(양면) ≒ 644字 • 경판 전체 글자수 • 644(경판1매당 글자수) ⅹ 81,258(총 경판수) ≒ • 52,382,960字 크기 및 규모

  12. 20-2. 고려대장경 4.고려대장경은 어디에서 만들었을까? • 진주지방의 남해연안에 분사도감을 설치하여 판각을 나누어 진행하였다. • 경판재료는: 거제도, 완도, 제주도 등지에서 자생하는 자작나무(白樺木)로, 거제목이라고도 함. <경남 합천군의 해인사>

  13. 20-2. 고려대장경 5.고려대장경은 누가 만들었을까? • 경판조성을 계획하고 필요한 경비를 부담한 것은 ‘최이(崔怡)’ 부자였다. ‘최이’는 ‘최충헌’의 아들로 경판 제작에 필요한 막대한 경비를 조달 • 경판을 제작하는데 직접 참여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어서 알 수 없다.

  14. 20-2. 고려대장경 * 팔만대장경판 해인사 인근서 제작? -성안 스님 '강화도 제작' 반박- • 팔만대장경판은 어떻게 해서 경남 합천 해인사에 있게 된 걸까? • 통설은 강화도에서 제작돼 그곳 선원사에 봉안됐다가 서울로 잠깐 옮겨진 뒤 조선시대인 1398년에 해인사로 옮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해인사 측은 여기에 의문을 제기한다. 해인사 성안 스님의 말."강화도 선원사는1245년에 최씨 무인정권의 원찰(願刹)로 만든거예요. 그런데 1245년이면 대장경판이 90%가 만들어진 때예요. 선원사에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이야기지요. 또 강화도는 몽골과 대치 중인데 수많은 사람이 건너가서 먹고자고 작업하고 할 여력과 공간이 없었어요."- 해인사 측이 주장하는 근거는 또 있다. 기록에 따르면 삼며라는 이름의 각수(刻手)는 팔만대장경과 관련해 9년 동안 360장이 넘는 경판을 조성한 것으로 나오는데, 그가 해인사 인근의 가야산하거사에서1241년 제작된 화엄경소사간판에도판각자로 이름이 올라있다. 삼며 외에도 광림, 왕주, 지일, 혜이, 도선 등 여러 명의 이름이 해인사 사간판과국간판인팔만대장경판에 동시에 나온다. - 교통도 불편하고 또 전란의 시기에 합천과 강화도에서 어떻게 같은 시기에 작업할 수 있었을까? • 결국 팔만대장경은 강화도가 아니라 해인사 인근에서 제작됐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게 해인사 측의 이야기다. 면밀한 학술적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부산닷컴 - 임광명 기자 -

  15. 20-2. 고려대장경 6.고려대장경 제작과정 • 벌목한 나무(산벚나무, 돌배나무 등)바닷물 속에서 1~2년 담기. • 소금물에 삶기-재목의 진액이 빠지고 , 건조 시 갈라짐, 비틀어짐 방지. 결 삭힘의 과정을 통해 부식예방, 방제효과 얻음. • 소금물에 삶은 재목을 물이 잘 빠지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1년 동안 건조하기.

  16. 20-2. 고려대장경 6.고려대장경 제작과정 • 닥나무와 맑은 계곡물로 종이 만들기 • 판하본(경판에 붙이는) 원고 쓰기 • 경판 새기기 • 오탈자 고르기 • 마구리 붙이고 옻칠해 경판 완성하기 *마구리:경판끼리 부딪히는 것을 막고 보관시 바람이 통하도록 양쪽 끝에 경판보다 두꺼운 각목을 붙인 후 네 귀퉁이에 구리판을 장식한 것

  17. 20-2. 고려대장경 7.고려대장경을 팔만대장경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 경판이 총 81,240매에 달하며, 84,000가지 중생의 번뇌에 대치하는 84,000법문을 수록했다 • 총 글자수:약 5천 2백만여 자

  18. 20-2. 고려대장경 8.고려대장경에는 정말 오자가 없을까? • 고려대장경에도 오자는 있다. 그러나 여타의 대장경과 비교해 보면 상대적으로 오자가 적기 때문에 그렇게 평가받는 것이다.

  19. 20-2. 고려대장경 9.고려대장경의 내용은? • 부처님의 말씀과 가르침, 부처님 제자들의 말씀과 가르침, 불교의 계율 등이 새겨져 있음.

  20. 20-2. 고려대장경 10.고려대장경이 지닌 가치는? • 그 체제와 교정이 정확하고 조각이 섬세하고 정교함. • 오랑캐의 침입으로 혼란스러웠던 상황 속에서 임금과 귀족과 백성이 나라를 구하겠다는 마음과 역사의 맥을 바로잡아 이어 가려는 민족의 염원이 간절하고 컸다는 것을 드러내는 민족 의식의 총화라는 데에서 그 의미가 빛나는 것이다.

  21. 20-2. 고려대장경 11.고려대장경에 숨은 과학적 우수성 • 경판의 가장자리 네 귀퉁이에 구리로 띠를 둘렀다. - 경판을 잘 보관하고 경판이 서로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 경판 전체에 얇게 옻칠이 되어 있는데, 벌레가 나무를 파먹지 못하게 하고 목판이 잘 썩지 않도록 하기 위해. • 경판의 한쪽 끝에는 작은 글씨로 이름을 새기고, 천자문으로 번호를 매겼다. 이것은 경판을 잘 정리하고 필요한 내용을 쉽게 찾아서 인쇄하기 위해서이다. • 경판과 경판 사이를 띄우고 보관(일종의 굴뚝 역할을 함)해 경판 표면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22. 20-2. 고려대장경 12.고려대장경 700년 보존의 비밀 “장경판전” • 해인사에 있는 장경판전은 고려 시대에 만든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판전 • 국보 제 52호,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3. 20-2. 고려대장경 13.“장경판전”의 창건 시기 • 처음 세워진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고, 1481년(성종 12)에 고쳐짓기 시작해 1488년에 경판당 30칸을 짓고 보안당으로 불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 또 1622년(광해군 14)에 수다라장을, 1624년(인조 2)에 법보전을 각각 수리하였는데,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이때 수리된 것으로 생각된다

  24. 20-2. 고려대장경 14.“장경판전”건물배치 및 구조 • 건물 배치 • 남북으로 큰 건물이 나란히 있으며 남쪽:'수다라장’, 북쪽:'법보전’ 서쪽, 동쪽:작은 서고 • 건물의 모양 - 건물은 간결하고 장식적인 내용이 거의 없이 판전으로써 기능만 수행. - 수다라장과법보전은 각각 정면 15칸에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고 앞면과 뒷면의 창호의 위치와 크기도 서로 다르다.

  25. 20-2. 고려대장경 15.“장경판전”건축의 비밀1) • 팔만대장경의 보존을 위해 통풍과 습도, 온도 등을 고려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설계하였다. 수다라장과법보전의 앞창문과 뒷창문은 크기와 위치를 다르게 만들어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였다. - 나무 서까래와, 진흙과 기와로 뾰족하면서도 둥글게 만든 지붕도 직사광선에 의한 온도 변화를 막고,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 준다.

  26. 20-2. 고려대장경 15.“장경판전” 건축의 비밀2) • 건물 정문을 제외하고는 흙벽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 안쪽의 흙 바닥 속에 숯과 횟가루, 소금을 모래와 함께 차례로 넣음으로써 알맞은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27. 20-2. 고려대장경 16.장경판전의 역사적 가치 • 유일함: 15세기 건축물로는 세계에서 하나뿐인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다. • 과학성: 숯과 횟가루, 찰흙 등을 바닥에 깔아 놓아 습도를 조절하고, 해충의 침입을 막았으며, 창문도 공기가 잘 통하도록 되어 있는 매우 과학적인 건물이다. - 예술적 가치 : 조선 초기 전통적인 목조 건축 양식을 보이는 데 건물 자체의 모습에서 간결하면서 도 절제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28. 20-3. 금속활자 1.금속활자(金屬活字) • 철, 구리, 납 등의 금속으로 만든 활자를 말하며, '주자'라고도 한다. •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금속 활자본:'직지‘ • 고려·조선 시대의 금속활자는 구리·철·납 등 사용 • 현대: 납 사용.

  29. 20-3. 금속활자 2.금속활자의 종류 • 금속활자는 활자를 만드는데 사용된 금속의 성질에 따라 석활자(錫活字), 연활자(鉛活字), 동활자(銅活字), 철활자(鐵活字) 등으로 나누어진다.

  30. 20-3. 금속활자 3.금속활자 주조법 • 주조기법은 가열·용해된 액체형태의 소재를 주형(鑄型)에 부어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 • 재료: 청동(구리와 주석(朱錫)의 합금) • 주석을 섞는 목적은 구리보다 단단한 금속을 만들기 위해서이며, 주석의 양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흰색이 나고 부서지기 쉬운 성질을 갖게 된다. • 밀랍주조법(蜜蠟鑄造法.고려시대)과 주물사주조법(鑄物砂鑄造法.조선시대)으로 제작되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1. 20-3. 금속활자 4.금속활자 주조방법1)밀랍주조법 글자본선정 자본붙이기 어미자 붙이기 밀랍가지만들기 거푸집만들기 쇳물붓기 완성된 주조활자 활자다듬기 조판 인쇄하기

  32. 20-3. 금속활자 4.금속활자 주조방법 2) 주물사주조법 • 자본 붙이기->어미자 만들기->주형틀 완성하기-> 암 숫틀 합치기->쇳물 붓기->활자 떼어내기 활자가지쇠 떼어내기 가지쇄 및 어미자 빼내기 완성된 거푸집 쇳물을 붓는 과정

  33. 20-3. 금속활자 5.금속활자본 특징 ① 본문의 항렬(行列)이 바르지 않고 비뚤어져 있으며, 글자가 옆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경우도 있다. ② 인출(印出)된자면(字面)에서 나타나는 묵색(墨色)의 농도 차이가 심하고 반점(斑點)이 나타나있는 경우가 많다. ③ 일(日)이나 일(一) 등의 글자는 아예 거꾸로 식자된 경우도 있으며, 어떤 글자는 인쇄 도중에 탈락된 경우도 있다. ④ 동일 면에서 동일한 활자의 같은 글자모양이 보이지 않으나, 동일한 활자가 다른 장에서는 사용되고 있다. ⑤ 글자의 획에 너덜이와 티가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직지금속활자본

  34. 20-3. 금속활자 6.우리나라의 금속 활자가 인류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책을 찍어 낼 수 있게 됨에 따라 학문과 교육이 발달할 수 있었다. • 중국으로부터 문화를 수입하다가 중국을 제치고 금속활자를 먼저 발명했다는 것은 고려가 당시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었다는 것을 뜻한다. • 임진왜란 때 금속 활자 기술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금속 활자에 영향을 주었다. • 고려의 금속 활자는 불교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금속 활자를 이용하여 많은 불교 서적을 찍어 냈다. 직지심체요절 금속 활자

  35. 20-3. 금속활자 7.금속 활자가 목판 활자보다 좋은 점 • 단시간에 많은 양의 책 인쇄 -만드는 데 기술력이 필요하지만 활자판 제작에 드는 시간과 비용은 목판에 비해 적게 든다. • 인쇄가 끝난 다음 활자를 흩어 놓았다가 다른 책을 인쇄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장기간 보관- 목판은 보관이 어려워 자칫 잘못하면 깨어지거나 썩어서 못 쓰게 될 수 있지만 금속 활자는 한 벌의 활자를 만들면 오래 보관할 수 있다.

  36. 20-3. 금속활자 8. ‘구텐베르크’와 ‘우리나라’의 금속활자 비교 • 독일의 인쇄술 발명자.(1400~1468) • 구텐베르크: 유럽 최초의 활판 인쇄의 발명자로 가동식 활자의 이용법과, 인쇄기를 처음으로 개발. • 우리 나라: 한자를 사용할 수 있는 지식층의 숫자가 적어 책의 수요도 많지 않았으므로, 활자 인쇄술이 지닌 잠재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었다. • 서양: 알파벳은 활자 인쇄술의 보급에 적절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다. • 1450년 평평하게 배열할 수 있는 금속활자를 주조하고 인쇄용 잉크를 발명하여 수백 권의 책을 인쇄한 구텐베르크가 이러한 가능성을 최초로 실현했다고 할 수 있다.

  37. 20-4. 백추지 1. 백추지(白錘紙) • 한지(韓紙)를 종이 질로 분류했을 때, 희고 광택이 나는 종이 • 다듬이로 다듬어 반들반들하고 부드럽게 만든 흰 빛깔의 종이 • 문헌 [손목(孫穆)의 『계림지(鷄林紙)』]에 보이는 가장 오래된 종이

  38. 20-4. 백추지 2.백추지의 유래 • 신라시대에는 백추지(白錘紙)가 생산되었는데 이 종이는 중국에서조차 '천하에 비할 수 없는 종이'라 예찬한 바 있고 삼국 유사에는 진덕여왕 원년에 종이로 연(鳶)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 손목(孫穆)의 계림유사(鷄林類事)에 '고려의 닥종이는 밝은 빛을 내므로 모두들 좋아하며 이를 일러 백추지(白錘紙)라 한다' 라고 기록 되어 있음을 볼 때 고려시대에서도 신라에 이어서 계속 백추지(白錘紙)를 생산하였던 것 같다.

  39. 20-4. 백추지 3.종이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 • 채륜(蔡倫)이 종이를 발명한 이래, 제지법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때의 372년에 불교의 전래와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한다. • 일본 《서기》에 고구려 영양왕 21년(610년)에 승려인 담징이 일본에 종이 제작 기술을 전했다는 기록과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닥종이 뭉치 등으로 미루어 보아 그 이전부터 종이를 만들어 썼음을 알 수 있다

  40. 20-4. 백추지 4.한지 재료 • 닥 (Paper Mulberry): 닥나무는 다년생으로 참닥나무, 산닥나무, 삼지닥나무가 있는데, 흔히 말하는 닥종이의 '닥'은 참닥나무를 가리킨다. • 닥풀(Abelmosk):1년생 초목으로뿌리를 찧어 물에 넣으면 끈적거리는 액이 추출된다. • 닥섬유가 물 속에서 잘 분산되도록 도와주는 한편, 닥풀의 양을 증감시켜 종이 두께를 조절하기도 하고 젖은 상태에서 한 장식 잘 떨어지게 해준다

  41. 20-4. 백추지 5.한지 제조방법 ① 닥나무 가지를 채취한다. ② 닥나무 가지를 솥에 넣고 찐 다음 껍질을 벗겨서 말린다(흑피). 흑피를 다시 물에 불려서 겉껍질을 벗겨 백 피로 만든다(닥종이의 원료). 백 피를 양잿물에 넣어 4~5시간 정도 삶는다(양잿물에 넣어 삶아야 닥껍질이 부드러워진다). ③ 삶은 백 피를 흐르는 물에 씻어 티를 골라낸다.

  42. 20-4. 백추지 5.한지 제조방법 둥글게 뭉친 닥을 절구에 찧어서 섬유를 분해시킨다. 지통에 물과 닥을 넣어 풀대질(풀대라고 부르는 닥나무 속대나 대로 원료를 잘 푸는 일)을 한다. 종이를 한 장씩 떠내어 쌓은 후 눌러서 물기를 뺀다. 건조시켜 다듬는다.

  43. 외발뜨기 동영상

  44. 20-4. 백추지 6.한지의 우수성 양지는 목재 펄프로 만들어 약한 데 비해 섬유가 기다랗고 형태가 뚜렷하며 질기고 견고하며 단단하다. (옻칠을 입힌 몇 겹의 한지로 만든 갑옷이 있음) 촉감이 부드럽고 통기성과 햇빛 투과성 및 보온성이 뛰어나다. => 창호지로 활용 한지는 다른 종이와는 다르게 질감이 독특하고 부드러운 효과를 만듭니다.=> 각종 공예작품으로 활용 중국과의 외교에 필수품을 여겼으며 중국 역대 제왕의 전적을 보면 고려종이만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45. 20-4. 백추지 7.한지가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이유는? • 강한 내구력(오래 견디는 힘): 오랜 세월이 지나도 모양이나 색이 변하지 않아 생활에 잘 이용할 수 있다. • 뛰어난 실용성: 질기고 통풍이 잘 되며 지질이 부드럽기 때문에 각종 공예 작품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 한지는 약해 보이면서도 질기고, 소박하면서도 품위가 있어 우리 민족성을 대표하는 문화 유산으로 손꼽힌다.

  46. 20-4. 백추지 8.한지의 활용 • 한지를 활용해 각종 공예품을 만들어 쓰곤 했다. 지승공예, 색지공예, 지장공예, 후자공예, 지호공예 등이 그것이다. • 종이우산, 옷본, 종이 항아리, 부채, 갓통, 종이꽃(조화), 종이돈(지폐), 부적 등도 종이를 응용한 또 다른 생활용품이다 .

  47. 20-5. 송연묵 1.송연묵(松煙墨) • 소나무를 태워서 그 그을음에 아교와 기타 약품을 섞어 만든 묵으로 ‘숯먹’ 또는 ‘개먹’이라고 함 • 송연: 아교: 물=10:4:10 (단위: 근) • 한(漢)나라 이후 제묵(製墨)은 송연묵뿐이었으나, 송(宋)나라 때 장우(張遇)가 식물성 기름을 태워서 만든 유연묵(油煙墨)이 나옴에 따라 송연묵은 점차 유연묵에 밀려 쇠퇴하였다. • 송연묵은 진하게 갈면 빛깔이 칠흑이지만, 연하게 갈면 푸른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48. 20-5. 송연묵 먹의 발달사 1)먹 발명 이전 • 갑골시대(甲骨時代)·금석시대: 문자를 골편(骨片)이나 금석(金石)에 새김. • 죽간시대(竹簡時代): • 대나무 조각이나 나뭇조각 또는 천 등에 문자 기록. • 붓이 아닌 죽정(竹挺)이란 옻(漆)을 묻혀 사용. • 그 문자의 획이 마치 올챙이 모양과 같다 하여 죽첩과두문자(竹牒蝌蚪文字)라고 함. • 먹의 원료: 흑연과 같은 자연산 석인이라는 광물에 칠을 섞어 사용. • 문화 발달하면서 그을음(煙煤)을 칠 대신 쓰고 이어 아교풀과 섞어 쓰게 되면서 제먹(製墨)의 단계로 발전되었다

  49. 20-5. 송연묵 먹은 언제부터 사용되었나? • 먹이 언제부터 쓰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후한(後漢)의 위탄이란 사람이 발명하였다고 한다. • <철경록>에 고구려 때의 송연묵을 당나라에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 담징이 제묵법을 일본에 전했다는 <일본서기>의 기록 => 삼국시대에 이미 먹의 사용이 성행한 것으로 생각되고 그 연대가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0. 20-5. 송연묵 먹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송연묵 • 신라의 양가(楊家)·무가(武家)의 먹은 모두 송연묵으로서 그 품격이나 질이 매우 좋았으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는 조선먹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 육우(陸友)의 <먹사(墨史)>에 의하면 "고려가 진공한 먹은 맹주(猛州·현 평안남도 맹산)의 것이 가장 좋고 순주(順州·평안남도 순천)의 것이 그 다음이며”...... 라고 하였다. => 평안남도를 중심으로 이곳에서 생산된 먹이 주로 수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일본에서의 먹의 사용은 601년에 고구려의 담징이 제지법과 제먹법을 전해준 데서 비롯되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