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1.16k Views
디자인론 2 강. 1. 디자인의 조건 2. 디자인의 요소 3. 디자인의 원리. 1. 디자인의 조건. 1) 합목적성 2) 경제성 3) 독창성 4) 심미성 5) 합리성 6) 비합리성 7) 질서성. 2. 디자인의 요소. ① 개념요소 : 실제의 것이 아니고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 .( 점 , 선 , 면 , 양 )
E N D
디자인론2강 1.디자인의 조건 2. 디자인의 요소 3. 디자인의 원리
1. 디자인의 조건 1) 합목적성 2) 경제성 3) 독창성 4) 심미성 5) 합리성 6) 비합리성 7) 질서성
2. 디자인의 요소 ① 개념요소 : 실제의 것이 아니고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점,선,면,양) ② 시각요소 : 개념적 요소가 가시적으로 표현될 때 비로소 나타나는 것.(형태(form), 크기(size), 색채(color), 질감(texture), 방향(direction), 명암(tone), 운동(movement) ▶ 운동감 - 운동은 디자인의 단순한 보조수단이라기 보다는 원리적이고 가시적인 감각 형식의 하나이다. - 움직이는 대상을 관찰할 때 우리의 눈은 그 대상을 추적하지만, 움직임이 없는 대상을 볼 때는 그것을 검색하기 위해서 움직인다. - 이러한 눈의 움직임에 의해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 물체에서 리듬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라데이션,점으로 이뤄진 계열과 간격, 분할과 증식, 일정하지 않은 격자무늬나 사선...) ◂ 움직임은 형태의 반복에 의해 나타난다. ◂ 애매한 윤곽선은 고정된 형태의 이미지를 다소 모호하게 하여 움직임을 나타낸다. ◂ 중복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연속적인 각각에서의 조금씩의 변화들은 움직임 이 일고 있다는 연상을 시킨다. ◂ 방향과 속도로 운동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정된 속도의 범위 안에서만 운동감을 지각한다. ◂ 움직이지 않는 형태와 역동적인 형태를 배치시켜 운동감을 나타낸다. 두 대상이 근접해 있을 경우 작은 것이 운동성을 띠게 된다. ◂ op art에서 사용하는 착시도 하나의 방법이다. ③ 상관요소 : 디자인에서 형태의 상관 관계라든가 위치에 관계되는 것. ( - 방향 : 형태의 방향감은 그 형태를 보는 사람과 형태를 구성하는 외곽선 또는 주위의 다른 형태들에 의해 결정된다. - 위치 : 형태의 외곽과의 상호관계나, 내부구조에 따라 위치감이 달라진다. - 공간 : 형태는 공간을 형성하거나 점유한다. - 중량감 : 시각적 보다는 심리적인 것으로 가벼움, 무거움, 안정이나 불안정 등의 감정이 각 형태에서 기인됨. ) ④ 실제요소 : 디자인이 내용과 영역(content & extention)에 잠재되어 있는 것을 뜻함. (메시지 전달의 의미, 소기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 조형적인 표현)
3. 디자인의 원리 1) 형(shape) & 형태(form) 2) 형태의 분류 형태 → 순수형태 또는 추상형태 → 현실적 형태 → 자연형태 → 인위적 형태 ① 이념적 형태 : 점,선,면,입체의 계열을 가지며 이것은 기하학과 같은 것이다. ② 순수형태 : 이념적 형태를 直觀化한 것. 동적 정의의 출발점인 점은 크기가 있고 작은 球体나 입자와 같은 입체로 되기도 한다. 입체는 무게나 질량을 갖는다. - 이와같이 명확하게 지각되는 형태를 적극적(positive)인 형. - 반대로 직접적으로 지각하여 얻지 못하는 형태를 소극적(negative)인 형. ③ 현실적 형태 : 우리들의 주위에 존재하는 모든 物象을 말함.
④ 자연형태 : 자연물에 대한 연구와 이해, 관찰은 디자인 연구에서 중요하다. 19세기 후기의 도안가들은 많은 자연물에서 장식의 모티브를 구했으며, 특히 식물의 형태에 강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 “자연형태에서 기인하지 않는 디자인은 결코 아름다운 것을 얻을 수 없다.”-러스킨(John, Ruskin, 1819~1900) - 자연물 또는 그 형태는 우리들의 감정적 요구만이 아니고 知的인 요구에도 해당되는 것이다. - 한편, 자연형태가 디자인 범위의 형태로서 쓰여진 예 ▸ 외형과 모방 : 묘화나 조각 등에서 디자인의 모티브가 되는 자연숭배, 주술적, 상징적 인 것을 자연형태를 단순하여 취급된 것. ▸ 기능 또는 구조의 형태 : 자연형태의 기능이나 구조적인 면에서 모범이 되는 것. - 조개껍질이 그대로 스푼이나 접시로, 자연목이 건축재로 사 용, 대나무의 줄기나 벌집이 역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것. ▸ 미적 형식의 형태 : 아름다운 인체, 나뭇잎의 질서, 해바라기 씨앗의 배열, 소라의 나 선,雪의 결정 등과 같이 미적 조화(균형)나 급수적 리듬, 대칭등 이상적인 예가 많다. ⑤ 인위적 형태 : 모든 조형물은 인위적 형태로 일컬어진다. 디자인의 소재로 되는 경우 ▸ 상징적 : 톱니바퀴를 기계공업, 망치를 공장 노동자, 파레트를 회화의 심벌로 취급 ▸ 기능의 모방 : 어린이 완구에 주로 이용(자동차,기차,소꿉놀이의 도구) ▸ 패턴의 모티브 : 특별한 상징으로서가 아니고 자유로이 사용하는 경우(염직물의 패턴) ▸ 모방의 원형 : 원형으로 되는 인위적 형태는 기능적으론 관계없고 사용자에게 호기심 을 만족시키든가 무언가 특별한 의도(광고,선전...)에 의해 이뤄진다. - 담배케이스를 책이나 건물에서 형을 모방. 라이타를권총형이나 카 메라형으로 모방.
3) 조화(harmony) - 두 개 이상의 요소 또는 부분의 상호관계에서 그들이 서로 분리되거나 배척되지 않고 통일된 전체로서 높은 감각적 효과를 발휘할 때 일어나는 현상. -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때 그들은 완전히 조화되고 있다고도 생각 할 수 있으나, 오히려 단조롭다. - 따라서 합리적인 조화는 요소 상호간에 공통성이 있음과 동시에 무엇인가의 차이가 있 을 때에 얻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 차이성이 현저할 때 그들은 대비를 이룬다고 한 다.) - 즉, 적절한 통일과 변화가 이루어질 때 진정한 조화를 이룬다. ◂ 통일감은 주제, 모양, 무늬, 크기를 반복하는 것은 물론 색채, 질감, 재료에서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인 통일을 성취할 수 있다. ◂ 또한 모양의 반복이나 유사한 이미지를 반복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는 통일된 이미지 를 적절한 변화로 효과적인 디자인을 한 것이다. 이는 통일과 변화가 조화의 기본임을 알려주는 것으로 이외에도 주제, 크기, 색채, 재료 등으로 디자인을 변화시킬 수 있다.
4) 균형(balance) - 균형은 대칭과 비대칭의 두 가지 형태로 인식된다. - 두 개 이상의 요소사이에서 부분과 부분 또는 전체 사이에 시각상의 힘이 안정되어 있으면 보는 사람에게 안정감을 준다. - 균형감이 잡혀있다는 것은 자연스럽다는 것을 의미하며, 규칙 또는 균형이 잡혀 있다는 것은 불안정하지만 시각적으로 자극이 강하다. ① 대칭(symmetry) - 가장 정형적인 구성형식이며 가장 일반적으로 균형이 잡힌 상태로써 구성의 중앙 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축으로 양쪽면을 접으면 완전히 일치되는 것. - 대칭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심메트로스(symmetros)로 源意味는 “같은 단위로 잴수 있는 것”(commensurable)이었다. - 같은 단위로 잴 수 있다는 것은 2개 이상의 부분이 하나의 단위로 나누어 떨어지는 것 으로 각 부분이 相互公約量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대칭의 균형을 이룬 구성은 안정되고 위엄이 있으며,고요하게 보이는 경향 이 있다. - 그러나 오늘날에는 보다 확대된 의미를 갖는다.
◂대칭의 諸形式 대칭의 기점인 점, 직선, 및 평면의 3가지로 각각 대칭점, 대칭축 및 대칭면을 기준 으로 조작에 의한 반복하는 것이 대칭의 기본이다. 기본 ① 이동 (t): 모티브가 직선상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한 것 ② 반사 (s): 좌우대칭 ③ 회전 (d): 모티브가 대칭점 또는 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것.(120- 3회전 / 60- 6회전) ④ 확대 (h): 모티브를 반복하여 일정한 비율로 확대되는 것.
2조작의 조합 ⑤ 이동 회전 (td): 스프링이나 나선 계단 ⑥ 이동 반사 (ts): 동물이나 인간의 발자국 ⑦ 회전 반사 (ds): 회전축이 반사면의 위에 있을때(평면상의 회전 반사를 그대로 입체화)와 회전축과 반사면이직교할 경우(정4면체) ⑧ 확대 이동 (ht): 모티브가 확대하면서 이동한 것으로 가로수나 전주의 투시도 ⑨ 확대 회전(hd): 모티브가 확대되면서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의 각 도도 따라서 확대된다. 모티브의 진로는 나선형이 된다. ⑩ 확대 반사 (hs): 대칭축의 한편에서 다른편에 반사함과 동시에 모 티브가 확대되는 것.
3조작의 조합 ⑪ 확대 이동 회전 (htd): 이동회전하는 점은 ⑤와 닮았으나 회전할때 모티브가 확대하며 동시에 이동의 간격도 회전의 각도도 증대 하는 것. (식물의 꽃잎이나 잎의 순서 또는 침엽수의 가지 등...) ⑫ 확대 반사 이동 (hst): 대칭축의 반사측에 반사함과 동시에 이 동하며 그때 모티브도 이동거리가 증대하는 것. ⑬ 확대 회전 반사 (hds): 확대회전은⑨와 닮았고 모티브의 進行路 는 나선형이 된다. 단, 모티브는 회전에 따라 반사 함으로써 전 체로서 하나걸러반대향 또는 모티브의 뒷면에 나타난다.
② 비대칭(asymmetry) - 형태상으로는 불균형이지만 시각적인 무게를 갖고 있어서, 보는 사람에게 변화 있는 형 태로서 안정감을 주며, 개성적인 감정을 느끼게 한다. - 비대칭 또는 부정형의 균형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은 정형적인 균형보다 훨씬 매력적이 고 은밀한 신비로움을 준다. ③ 비례(proportion) - 모든 사물의 상대적인 크기를 다룬다. - 조화의 근본이 되는 균형. 비례를 통한 조화의 미를 추구한 건축이나 그래픽 디자인의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영 향력이 확대됨. 5) 율동(rhythm) - 음악, 시, 무용 또는 영화 등 시각적 형식을 갖는 것에 청각이나 시각을 통해 나타나는 것. - 조형 작품에서의 리듬은 반복된 형태나 구조, 선의 연속과 단절에 의한 간격의 변화로 일어나는 시선의 시각적 운동을 말함. - 율동은 다른 원리에 비해 생명감과 존재감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며 동적인 질서가 활 기있는 표정을 가지고 있다. - 요즘은 형이나 색의 반복, 방사, 점이에 의해 이루어짐. ① 반복(repetition) - 동일한 요소나 대상 등을 두 개 이상 배열시켜 시선 이동을 유도하여 동적인 느낌을 줌으로써 율동감을 느끼게 하는 것. - 이러한 반복은 대상의 의미를 강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함. ② 방사(radiation) - 점을 중심으로 방사적인 것에 의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음. ③ 점이(gradation) - 반복의 경우보다 한층 동적인 표정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가 대조되는 양극단이 유사 하거나 조화를 이룬 일련의 단계이다. (ex:초승달이 보름달까지 점차로 만월로 변하는 점이는 변화와 운동을 내포하고 있으 며 이것은 시각적인 힘의 경쾌한 율동감을 가져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