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likes | 669 Views
1/5. 5. 교육공학의 발달 5-1. 초창기. 17 세기 Comenius: 세계도회 실물을 통한 교육 , 감각적 경험 강조 18, 19 세기 Pestalozzi, Froebel : 활동중심 교수 Montessori: 교구를 통한 감각교육 20 세기 Dewey: 반성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학습 Kilpatrick: 구안법 (project method). 2/5. 5-2. 시각 교육 / 시청각 교육.
E N D
1/5 5. 교육공학의 발달5-1. 초창기 • 17세기 Comenius: 세계도회 실물을 통한 교육, 감각적 경험 강조 • 18, 19세기 Pestalozzi, Froebel : 활동중심 교수 Montessori: 교구를 통한 감각교육 • 20세기 Dewey: 반성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학습 Kilpatrick: 구안법(project method)
2/5 5-2. 시각교육/ 시청각 교육 • 시각교육(visual education)–실물, 사진, 그림 Hoban 등의 시각교재: 구체성 추상성 • 시청각 교육 Dale의 경험의 원추와 Bruner의 표상방식 (자극의 성질 관심) (지적 작용 강조) - 행위적 표상: 직접적.목적적 경험, 구성된 경험 극화된 경험, 시범, 견학, 전시 - 영상적 표상: TV, 영화, 녹음.라디오.사진 - 상징적 표상: 시각적 기호, 언어기호
3/5 5-3. 시청각 커뮤니케이션 • Shannon과 Weaver의 모형 Information Source – transmitter – signal – receiver - destination noise message message • Schramm의 모형 –경험의 장 Senders (encoding) Receiver (decoding) signal noise • Berlo의 SMCR모형 Source – Message – Channel - Receiver
4/5 5-4. 초기 교수공학 • 행동주의 - programmed learning, teaching machine, CAI - 교수공학 정립 • 체제적 접근(system approach) - 상호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 (Dick & Carey, 1990) - 교수개발(instructional development) 영역 등장 * Instructional Design: * 시청각 교육국(DAVI; Department of Audio-Visual Instruction) * 교육공학회(AECT)
5/5 5-5.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 정의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AECT, 1994) • 영역 1. 설계: 교수체제 설계, 메시지 디자인, 교수방법 및 전략 학습자 특성 2. 개발: 인쇄공학, 시청각 공학, 컴퓨터 기저 공학, 통합교육 3. 활용: 매체의 보급, 혁신의 보급, 수행 및 제도화, 정책 및 규제 4. 관리: 프로젝트 관리, 자원관리, 전달체제 관리, 정보관리 5. 평가: 문제분석, 준거지향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5-1/5 교육공학의 영역 개 발 이론 실제 설 계 활 용 평 가 관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