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8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책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공간

2010-1 정보시스템구축론.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책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공간. 김민주 60080863 박수희 60080315. 목차.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소개 도서관 자동화 시스템 XMLAS 전자자원관리시스템 디지털화 디지털 아카이빙 자료 활용 및 정보서비스.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소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위치 동대문구립공공도서관 1997 년부터 주민 숙원사업으로 시작

Download Presentation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책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공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0-1 정보시스템구축론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책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공간 김민주 60080863 박수희 60080315

  2. 목차 •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소개 • 도서관 자동화 시스템 XMLAS • 전자자원관리시스템 • 디지털화 • 디지털 아카이빙 • 자료 활용 및 정보서비스

  3.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소개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위치 • 동대문구립공공도서관 • 1997년부터 주민 숙원사업으로 시작 • 2006년 6월 29일에 개관함[현 제2대 조윤희 관장] • 독서실 기능의 도서관을 탈피하기 위해 설계부터 열람을 위한 공간을 따로 만들지 않은, 순수한 자료중심의 도서관이다.

  4. 도서관 자동화 시스템 XMLAS • TG-XMLAS • TG-XMALS 는 첨단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도서관의 업무변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용자의 편의성 및 양질의 서비스 구현에 중점을 설계한 도서관자동화솔루션이다. • TG-XMLAS 는 선진 도서관 시스템의 장점을 적극 수용하고,국제표준 및 규정준수로 시스템간의 완벽한 호환성을 보장하며, 운영체제 환경에 따른 다국어지원 및 유니코드 형태의 문자집합을 지원한다.

  5. 도서관 자동화 시스템 XMLAS • 외국의 선진 도서관 및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설계하였다. • 각종 국제적 표준/규정의 준수로 외부데이터와 연계되며 타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하며 각종 MARC 및 다양한 국제표준을 수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자원 및 소장장서를 포함한 내/외부 데이터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 동대문구 정보화 도서관에서는 XMLAS를 사용하고 있다.

  6. 최신 정보기술의 적용 - 다양한 Data Server 지원(Windows 2000/Ntserver, UNIX) Global LAS - 다국어버전 전환가능, 국제 표준 준수 유연한 서지정보 처리방식 - 각 레코드 간 원활한 Link/Unlink 기능 제공 이용자 친화적 정보서비스 -각종 이용자 메일의 수집/발송 XMLAS의 주요 특징

  7. XMLAS의 주요 특징 • XML 표준의 채택 - 서지/소장/전거 MARC의 XML-MARC 처리 • OPEN System - 디지털도서관 시스템과 밀접하게 연동/통합하는 환경 제공 • 강력한 MARC Editor - 서지/소장/전거 레코드를 위한 MARC 편집기 • 효율적 업무처리를 위한 부가가능 -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갖춘 온라인 참고봉사 시스템

  8. XMLAS와 KOLAS 비교

  9. XMLAS와 KOLAS 비교

  10. XMLAS의 구성도 XMLAS는 각 모듈별로 구성되어 있어 자관에 필요한 모듈만 구입이 가능하여 이용자의 편리성을 염두하였고, 효율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자관에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수정할 수 있는 개별화가 가능하다.

  11. KOLAS의 구성도 KOLAS는 단행본과 연속간행물, 비도서 자료의 통합 관리 및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공공도서관 표준관리시스템으로 공공도서관과 전문도서관을 기준으로 했을 때, KOLAS, KOLAS II는 441개의 도서관에서 사용하나 XMLAS는 3개의 도서관에서만 사용하고 있다. [출처-2008 한국도서관연감]

  12. 전자자원관리시스템[ERMS] • 기술의 발달로 인한 정보자원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정보자원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요구가 일어남 •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을 위한 공간이며 보다 학술적인 전자자원의 활용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는 것이 현 실정이다. • 동대문구 정보화 도서관도 직접 방문 문의한 결과 전자자원관리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13. 디지털화[Digitizing]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자료에 대한 원문을 컴퓨터로 열람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개념이다. • 디지털화의 경우, 엄청난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며 공공도서관은 학술적이거나 가치 있는 자료가 적어 디지털화를 도입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 • 가장 유사한 방식으로 도서관에서 시행하는 문화프로그램 의 DVD 녹화를 생각할 수 있다.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은 시민들에게 반응이 좋았던 인기강좌를 위주로 녹화를 한다.

  14. 디지털 아카이빙[Digital archiving] • 디지털 문헌을 시간이 경과하여도 안전하게 보존하는 활동 • 장기 보존(long-term preservation) 지속적 가치(enduring/ ongoing values) 디지털 아카이빙의 핵심 개념이다. • 디지털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공공도서관에서는 디지털 아카이빙을 도입하기는 어렵다. • 2006년 개관 이후 몇 차례의 홈페이지 개편과 담당자의 교체로 인해 초기의 자료는 사라졌다고 하였다.

  15. 자료의 활용 및 정보서비스 •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홈페이지http://www.l4d.or.kr • 웹사이트에서 소장 도서, 전자 책, 신문, 잡지, DVD는 열람은 되지 않으나 검색은 가능하다. • 전자책, 오디오북은 이용 가능하다. • 외부와의 협약으로 학술원문, 경희대학교 도서관자료 제공

  16. 학술원문 •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과 협약을 체결하여 학술, 전문자료 등을 보완하고 있다. •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 원문 데이터베이스 홈페이지가 링크되어 있으며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의 2, 3층에 있는 “원문 DB 코너”에서 열람 및 출력 할 수 있다.

  17. 경희대 도서관 자료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과 정보이용 상호협력을 체결하여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과 그 4개 분관에서 전문서적 및 학술서적을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 공공도서관의 부족한 학술자료를 보완하는 기능이다. • 현재 130여명의 회원이 경희협정회원으로 도서관 이용

  18. 전자책[e-Book] • 회원가입 후 별도의 이용 요금 지불 하지 않고 이용 가능하다. • 1인 최대 5권, 대출기간 7일(1회 연장가능) • 3만 3천 여 권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이용 할 수 있다. • 역사, 문학, 언어, 예술, 과학, 철학에서부터 특별히 마련한 청소년 특선과 고전 자료까지!

  19. 웹 콘텐츠 • 회원가입 후 별도의 요금을 지불 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 초등학습 콘텐츠는 물론, 중학교 3년 과정의 동영상 강의까지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인의 취업과 운전면허, 유아, 어린이강좌, 교양평생 교육까지 다양한 강좌를 제공한다.

  20. 지식인 마을 • 각 분야 대표 지식인 100명과 관련인물의 관계도를 구축 인물들간의 영향관계, 관련추천도서 및 e-Book을 서비스하며, • 지식인이라는 테마로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청소년들의 독서 및 지식습득을 위한 도우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 시맨팁웹 솔루션 전문업체 ‘프로토마’ 에서 구축한 것으로 토픽맵이다. • 토픽맵(Topic Maps)은 분산환경하에서 지식구조를 정의하고 정의된 구조와 지식자원을 연계하는데 쓰이는 기술표준이며, 정보자원의 구성, 추출, 네비게이션에 관련한 새로운web 3.0의 패러다임이다.[출처-위키백과]

  21. 동영상 신간안내 • 국내 최초의 출판전문 인터넷방송 http://www.onbooktv.co.kr/와 연계하여 신간도서를 동영상으로 안내하는 서비스이다. • 하지만! 단순한 링크서비스이기 때문에, 도서관에서 소장하지 않은 도서를 안내한다는 이용자의 항의가 있다고. 웹사이트를 개편하면서 동영상 신간안내를 없앨 계획이며 현재 제공하는 ‘이달의 책’을 더욱 보강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22. 북 세미나 • 저자의 강연회를 동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는 콘텐츠로, 별도의 요금 지불 없이 이용 가능하다. • 교보문고의 eBook 웹사이트 제노마드(www.genomad.co.kr : 인터넷 교보문고와 통합)에서 제공받는 서비스이다. • 동대문구 정보화 도서관에서 시행하는 ‘북세미나’ 행사와는 무관하다.

  23. 다양한 문화프로그램 • 인문학, 컴퓨터 등의 분야에 관한 강좌를 제공한다. • 특별영화제, 과학탐구활동 등 다양한 행사와 • 사서와 함께하는 책놀이,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연기놀이 등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 특히 ‘강유원의 인문학 고전읽기’강좌는 10개월에 걸쳐 매달 한 권의 고전을 함께 읽고 분석하는 시간으로 매우 뜨거운 반응을 얻어 단행본으로도 출간되기도 하였다,

  24. 다른 도서관 자료 대출 • 국가상호대차서비스 책바다를 이용할 수 있다. • 상호대차 서비스란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가 거주 지역 내 공공도서관에 없을 경우, 다른 지역의 도서관에 신청하여 소장 자료를 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국 도서관 자료 공동 활용 서비스이다. • 참여 공공도서관 386 개관, 대학도서관 100 기관 • 도서관 웹사이트오른쪽 하단의 링크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25.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블로그 • http://dlibrary.tistory.com/ • 도서관 이야기를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함이다. • 공지사항, 도서관 정보, 도서관 풍경, 상영 영화 소개 도서 안내, 도서 리뷰, 도서 관련 인물 등을 제공한다. • 제 5회 올블로그 TOP 100 (2009) 선정 • 알라딘 TTB(Thanks to Blogger) 2008, 2009 선정

  26.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