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744 Views
중소기업의 수출현황 및 향후 정책과제. 2013. 12 김 세 종 중소기업연구원. 목 차. 1. 중소기업 현황 및 문제점. 2. 수출 및 수출기업의 중요성. 3. 중소기업 수출현황 및 특징. 4. 중소기업 수출지원 정책 방향. 1. 중소기업 현황 및 문제점. 소상공인 , 소기업의 비중이 높고 중기업의 비중은 낮은 편. 소상공인 비중은 87%, 소기업 비중은 96%, 중기업 비중은 3.9%, 대기업 비중은 0.1%
E N D
중소기업의 수출현황 및 향후 정책과제 2013. 12 김 세 종 중소기업연구원
목 차 1 중소기업 현황 및 문제점 2 수출 및 수출기업의 중요성 3 중소기업 수출현황 및 특징 4 중소기업 수출지원 정책 방향
1. 중소기업 현황 및 문제점 소상공인, 소기업의 비중이 높고 중기업의 비중은 낮은 편 • 소상공인 비중은 87%, 소기업 비중은 96%, 중기업 비중은 3.9%, • 대기업 비중은 0.1% • - 중기업 이상의 비중은 4%에 불과한 실정으로 기업규모 확대가 중요 • 한 과제로 대두 [ 기업규모별 사업체 수 추이 ] (천개) 자료 : 통계청
<문제 1> 영세화 - 2000년 이후 사업체당 종사자사 지속적으로 감소 * 2000년 51명에서 2007년 48.1명으로 약 3명 감소 * 특히 2006년 이후 다소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 평균 종사자 수 추이 기업규모별 사업체 수 추이 자료 : 통계청
<문제 2> 내수지향성 ▣ 2011년 중소기업의 수출규모는 1,016억, 수출 비중은 감소 - 제조 중소기업의 매출액 대비 수출비중은 2010년 14.7% - 2011년 중소기업 수출비중*은 18.3%로 전년대비 2.8%p 하락 - 수출참여업체 비중은 중기업29%, 소기업은 10% 수준 수출참여업체 비중 기업규모별 수출비중 29% 22% 9.7% 100~300인 5~49인 50~99인
<문제 3> 대기업 종속성 ▣ 전체 중소기업 중에서 절반 정도가 하도급 거래 관계에 있음 - 업체당 평균 모기업 수는 평균 10개 내외 - 매출액 대비 대기업 납품액 비율은 44.5%(2011년 기준) 수위탁 거래 현황 자료 : 통계청
<문제 4> 성장생태계 미흡 ▣ 중소에서 중견으로, 중견에서 글로벌 대기업으로의 성장판 손상 - 다산다사형 중소기업 창업생태계(20년 생존율이 9%에 불과) - 중소기업의 역동성 부족(중견기업 이상으로 성장한 사례가 소수) - 중소기업 규모 확대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 성장사다리 26개 119개 중소기업 대기업 중견기업
<문제 5> 저생산성 ▣ 제조 중소기업 1인당 부가가치는 대기업의 26.8%에 불과 - 제조업의 경우, 중소기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대기업의 26.8%에 불과한 실정 으로 대기업과의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 - 노동생산성 증가율에서도 대기업과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음 대중소기업의 생산성 격차 중소기업의 생산성 추이
시사점 • 규모 확대에 대한 인센티브 :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사다리 구축 필요성 •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 강화: 내수시장을 벗어나 해외시장을 겨냥한 중소기업의 수출 • 확대 등 중소기업의 글로벌 전략 추진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제고 : 중소기업 경쟁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제고의 필요성 제기 • 선순환 기업 생태계 조성 : 창업에서 성장, 정체, 재도약이 가능한 선순환 생태계를 • 조성하여 중소기업의 성장 환경을 조성 ☞ 중소기업이 당면한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 하기 위해서는 내수중심에서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확대
2. 수출 및 수출기업의 중요성 중소 제조업에게 필요한 것은 판로(물량), 적정한 가격, 품질 판로(물량) 문제 : 대기업의 글로벌 소싱 및 해외 진출 확대 등으로물량확보 에 어려움에가중되고 있음(적정 물량 확보가 안될 경우 생산성 향상 등 혁신활동 추진이 불가능) 적정 가격보장 문제 : 원가 경쟁으로 인한 적정 납품단가 보장에 한계 (특히 범용부품 생산업체의 경우 단가인하 압력에 노출) 품질 문제 : 연구개발투자 부진 및 기술인력 부족 등으로 핵심기술확보에 한계를 보이고있으며 이는 대기업과의 교섭력에서 제약요인으로 작용 글로벌 소싱의 확대, 대기업의 해외생산 증대 등으로 국내 중소기업이 물량부족에 직면하고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해외 수출을 통한 물량 확보(수출 및 수출기업의 역량 강화)
판로부족 해결 : 산업공동화에 대응 2000년대 이후 제조업의 해외생산비중이 급속하게 증가 • - 제조업체의 해외현지생산 비중이 2003년 4.6%에서 2010년 16.7%로 상승 • ㆍ 2010년 휴대폰, 가전 등 전자업종은 해외생산 비중이 70-80%, 자동차는 40%대 • 원·부자재 현지매입이 증가하고 한국수입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최종제품의 한국수 • 출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 [제조업 해외현지생산 비중] [해외현지법인(제조업) 구매패턴 변화] 자료 : 수출입은행
3. 중소기업 수출 현황 및 특징 (1) 중소기업 수출 현황 (단위: 백만불, %) [수출참여업체 비중 ] [기업규모별 수출비중 ] 29% 22% 9.7% 100~300인 5~49인 50~99인
■ 중소기업의 국가별 수출현황(2012년) • 중소기업은 매년 60% 이상을 아시아에 수출 • 주력 수출국가는 중국, 일본, 미국, 홍콩, 베트남 등임 • 2012년의 경우 러시아, 이란, 태국, 베트남 등 개도국을 중심으로 호조세 • 반면 대만, 중국, 홍콩 등 중화권을 중심으로 부진 (단위 : 백만달러, %) 주 : ( )은 전년대비 증감률
■ 중소기업의 품목별 수출현황(2012년) • 2012년의 경우 서비스 및 도소매의 수출은 감소하고 수출품목도 변화 징후 • 조명기기, 광학기기, 계측제어, 휴대폰 부품 등 첨단제품 호조세 • 반면, 반도체 제조장비, 철강제품, 전선, 합성수지 등은 감소 (단위 : 백만달러, %) 주 : ( )은 전년대비 증감률
(2) 중소기업 수출의 특징 ■ 수출중소기업(’12년도 8.6만개) ■ 수출중소기업의 전체의 2.8%에 불과 • 수출 중소기업은 매년 2~3천개 수준이 증가하고 있으나 미국 독일 등과 비교 시 • 여전히 적은 수준 <주요국 수출기업 비중> <수출 중소기업의 수 > (단위 : 만개사)
■ 수출 다변화 부족 (10만 불 이하가 52.1%, 1국가 수출기업이 55.1%) • 수출 10만불 미만의 예비수출 중소기업과 1개 국가 수출기업의 비중이 증가 56.1% 58.0% 54.8% 52.1% 51.7% 54.9%
■ 수출규모별 중소기업 현황 • 4.7%의 중소기업이 66.6%의 수출을 담당 • 2008년~2012년까지 5년간 매년 수출실적을 보유한 기업은 37.8% • 강소 수출기업 육성이 미흡 4.7% 500만불 이상 3,997개 68,385백만불 66.6% 43.3% 85,897개 102,668백만불 10만불~500만불 37,178개 32.3% 33,114백만불 52.1% 1,169백만불 10만불 미만 44,722개 1.1%
■ 수출중소기업의 유형 수출 중소기업의 수 85,866社 • 2008~20012년 우리나라 전체 • 수출증가율 8% • 연평균 8% 이상 성장 기업은 • 5,437개사 • 연평균 16% 이상 성장 기업은 • 4,110개사 • 연평균 8% 이상 성장 기업은 • 1,990개사 • 연평균 16% 이상 성장 기업은 • 1,487개사 2012년 100만 달러 이상 수출 수출 강소기업 8%이상 5백만불 이상수출기업 2.3% 수출 중소기업의 수 85,866社 2012년 500만 달러 이상 수출
시사점 • 수출참여기업 확대 :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기업의 수출 참여기업 비중을 확대하여 • 중소기업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수출지원체계를 정비할 필요 • 수출 지역 다변화 추진: 중소기업 주력 수출지역을 동남아 지역에서 유럽 및 중남미 • 지역 등으로 확대하기 위한 해외시장 개척에 집중 지원(업체당 평균 수출 품목은 3.4개 • 품목, 업체당 평균 수출 국가는 3.1개 국가) • 수출 품목 다변화 : 수출국가 다변화에 더불어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재 등 수출 품목 • 다변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디자인역량 등을 강화 • 수출 강소기업 육성 : 연간 수출 500만불 이상 수출이 가능한 수출 강소기업을 육성 • 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 수립(수출 중소기업 85,866개사의 52%에 해당하는 수 • 출 중소기업의 수출액이 10만 달러 미만) ☞ 글로벌 아웃소싱, 대기업의 생산기지 이전 등으로 물량확보에 어려 운 중소기업의 판로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글로벌시장 진 출을 확대해야 할 것임.
4. 중소기업 수출지원 정책방향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 중소기업 수출시장 및 수출품목 다변화 수출역량 강화 해외 마케팅 지원 FTA 활용 지원 -내수기업 수출기업화 -수출유망중소기업 육성 -글로벌강소기업 발굴육성 -온라인 마케팅 지원 -오프라인 마케팅지원 -수출금융, 해외규격 지원 • - FTA 활용기반 • 구축 및 확충 • FTA활용 • 해외마케팅 강화 중소기업 글로벌화 지원 인프라 정비 • 수출지원센터 확대, 개편을 통한 수출지원 One-roof 서비스 실현 • 기업진단+시장성분석’ → ‘로드맵 수립’ → ‘R&D+수출금융+마케팅’을 • 하나로 묶은 ‘GlobalHighway Program' 도입
■ 예비수출 - 수출유망 - 글로벌강소기업 등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통해 수출저변 확대 및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예비수출 ○ 내수 및 수출 10만불 미만 중소기업 수출기업화 촉진 * 수출 초기단계에 필요한 무역교육, 시장조사, 홍보디자인 등 마케팅 틀 제작 등 패키지 지원 * 2013년 600개사(72억 원) : 연간 2,000만원 한도 내에서 사업별 소요금액의 90% 지원 ○ 수출 200만불 이하 수출초보기업에 외국어 통 번역 및 전문가 컨설팅 지원 * 통·번역 : 150만 원이하(100만원은 전액, 초과 분은 70%), 컨설팅(200만원 한도, 70~90%) 수출유망 ○ 수출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지정 연계지원 * 연간 1,000여 개 기업 지정, 지정 후 2년간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23개 수출유관 기관 지원제도 우대 ○ 수출유망기업(수출 10~500만 불) 전용 해외 마케팅 지원 * 2013년 800개사(131억 원) : 연간 3,000만원 한도 내에서 사업별 소요금액의 70% 지원 글로벌 강소 ○ 수출 500~5,000만불 중소기업을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육성 * 연간 100여 개 우수기업 지정, 3년간 집중 지원(287개사 지정·지원 중) * 글로벌 강소기업 전용 연계 해외마케팅, 전용 R&D, 수출금융 등 패키지로 집중 지원
수출 관련 어려움 수출을 위해 지원 필요 분야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