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공공갈등과 참여적 의사결정

공공갈등과 참여적 의사결정. 김유환 이화여대 법대 y obel@ewha.ac.kr. Ⅰ. 참여적 의사결정의 의의. Ⅱ. 참여적 의사결정의 유형과 적용. Ⅲ. 참여적 의사결정의 설계. Ⅵ. 사례연습. 참여적 의사결정 적용 사례. 목 차. Ⅴ. Ⅰ. 참여적 의사결정의 의의. 목 차. 1. 참여적 의사결정의 개념 2. “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법률 ( 안 ) ” 상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특성 3. 참여 Governance 와 Consensus Building.

dayo
Download Presentation

공공갈등과 참여적 의사결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공공갈등과 참여적 의사결정 김유환 이화여대 법대 yobel@ewha.ac.kr

  2. 참여적 의사결정의 의의 Ⅱ 참여적 의사결정의 유형과 적용 Ⅲ 참여적 의사결정의 설계 Ⅵ 사례연습 참여적 의사결정 적용 사례 목 차 Ⅴ

  3. 참여적 의사결정의 의의

  4. 목 차 1. 참여적 의사결정의 개념 2.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법률(안)”상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특성 3. 참여 Governance와 Consensus Building

  5. 1.참여적 의사결정의 개념

  6. 본질적 개념요소 - 일반시민의 공공의사결정 참여 • 이론적 의미의 참여적 의사결정 • 제도적 의미의 참여적 의사결정 • -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법률(안)에 의한 • 참여적 의사결정

  7. 시민의 의사결정권 최협의의 참여적 의사결정 일반시민↑이해당사자 ↑ 전문가 협의의 참여적 의사결정 광의의 참여적 의사결정 최광의의 참여적 의사결정 학습 →피드백 → 숙의 → 합의 숙의 및 합의의 정도 [ 참여적 의사결정의 개념 ]

  8. 2.“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법률(안)”상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특징

  9. (1)행정절차에 의한 참여와의 차이점 (2)각종 위원회를 통한 참여와의 차이점 (3)다수의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 여론 수렴이나 여론조사와의 차이점 cf) Intensive Engagement (4)다수결에 의한 투표에 의한 결정과의 차이점

  10. 3. 참여 Governance와 Consensus Building

  11. 1 2 Consensus Building이론 갈등관리와 관련된 두 가지 이론적 배경 Governance이론과 숙의민주주의 참여와 숙의를 통하여 개인과 집단의 선호를 변경하고 공동선을 지향하게 함-- 숙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 방법론 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고정된 선호를 전제하고서도 서로의 이해관계에 입각한 협상을 통하여 호혜로 합의를 도출

  12. 사회변화에 따른 Governance의 변화 • 기술관료적 공공의사결정시스템에서 다원주의적 의사결정시스템을 거쳐 참여Governance의 구축이 진행 중 •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참여민주주의 등장 • 참여 Governance의 장점1) 의사결정의 대상이 되는 사안에 대한 definitional conflict의 해결2) 사회구성원의 Dynamics를 통하여 정책결정의 합리성의 범위를 확대3) 피상적인 투표민주주의에서 숙의민주주의로 발전4) 결과적으로 공공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에 기여함

  13. 참여·숙의·합의에 의한 정책결정 방식 숙의 민주주의 숙의민주주의에 의한 의사결정방식 소수자나 소외집단을 정책결정 참여 유도 시민배심 · 시나리오 워크샵 · 합의회의 · 공론조사 ·규제협상 등 다양한 방식 참여적 Governance에 의한 공공갈등 대응 투표에 의한 정책결정은 심사숙고성 결여가 문제

  14. 참여민주주의 구현방식 참여 모델의 변화 1)온정주의모델Paternalistic Model 참여민주주의 등장 2)갈등모델 Conflict Model 3)합의형성모델 Consensus Building Model 참여민주주의와 참여모델의 변화 대의제 민주주의의 문제점 보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