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 likes | 1.65k Views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1. 스스로 움직이는 분자. 분자 운동. 1. 분자 운동. 분자 운동 : 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이 정지해 있지 않고 , 스스로 끓임 없이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 ① 기체의 분자 운동은 모든 방향으로 일어난다 . ② 상태에 따라 분자 운동 정도가 다르다 .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1. 스스로 움직이는 분자. 분자 운동의 증거. 1. 확산.
E N D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1. 스스로 움직이는 분자 분자 운동 1. 분자 운동 분자 운동 : 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이 정지해 있지 않고, 스스로 끓임 없이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 • ① 기체의 분자 운동은 모든 방향으로 일어난다. • ② 상태에 따라 분자 운동 정도가 다르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1. 스스로 움직이는 분자 분자 운동의 증거 1. 확산 확산 : 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이 스스로 운동하여 액체나 기체 또는 진공 속으로 퍼져 나가는 현상 색소의 확산과 분자 모형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1. 스스로 움직이는 분자 확산의 조건과 방향 • 확산은 온도가 높을수록 더 빨리 일어난다. • :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 운동이 활발하다 • 확산은 모든 방향으로 일어난다. • : 모든 방향으로 분자 운동이 일어난다. ▲찬물 ▲더운물 ▲암모니아의 확산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1. 스스로 움직이는 분자 증발 : 액체 표면의 분자들이 분자 운동에 의해 기체로 변하여 공기 중으로 날아가는 현상 2. 증발 증발 현상의 예 • 널어놓은 젖은 빨래가 마른다. • 염전에서 소금을 얻는다. • 풀잎에 맺힌 이슬이 사라진다. • 손등에 바른 알코올이 사라진다. • 가뭄이 들어 땅이 마른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1. 스스로 움직이는 분자 온도가 높을수록 :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서 기화되기 쉽기 때문이다. 표면적이 넓을수록 : 단위 시간 동안 더 넓은 면적에서 더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2. 증발이 잘 일어나는 조건 ▲접은 우산 : 표면적이 좁다 ▲펴진 우산 : 표면적이 넓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2.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 압력 • 압력 • 압력의 정의 : 단위 넓이에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 (단위 : N/m2, kfg/m2등) 2. 압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힘을 받는 면의 넓이가 같을 때, 작용하는 힘의 클수록 압력이 크다. (2) 작용하는 힘이 같을 때, 힘을 받는 접촉면의 넓이가 좁을수록 압력이 크다. 힘의 크기 압력= 힘이 작용하는 면적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2.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 기체의 압력 1. 분자 운동과 기체의 압력 기체의 압력 : 기체 분자들이 용기 벽과 충돌하여 용기의 벽에 단위 면적당 미치는 힘 (2) 기체의 압력이 나타나는 이유 : 기체 분자들이 끓임 없이 모든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용기 벽에 충돌하는 힘에 의해 압력이 나타남 (3) 기체의 압력의 방향과 크기 : 모든 방향에 같은 크기로 작용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2.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 보일 법칙 1. 보일 법칙 (1) 보일 법칙 : 온도가 일정할 때,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 1 PV=일정 P1V1=P2V2 P∝ V 온도: T(일정할 때) 처음 압력 : P1, 처음 부피 : V1 나중 압력 : P2, 나중 부피 : V2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2.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온도가 일정할 때) ① 외부 압력 증가 → 기체의 부피 감소 → 충돌 횟수 증가 → 기체의 압력 증가 ② 외부 압력 감소 → 기체의 부피 증가 → 충돌 횟수 감소 → 기체의 압력 감소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2.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 2. 보일 법칙과 관련된 현상 • 보온병의 꼭지를 누르면 물이 나온다. • 물속에서 발생한 기포가 수면 가까이 올라올수록 커진다. • 풍선이 하늘 위로 올라가면 점점 커지다 터진다. • 주사기 위구를 막고 피스톤을 누르면 공기의 부피가 감소한다. • 산 위로 올라가면 과자 봉지가 팽팽해진다. ▲산 아래 ▲산 정상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3.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 •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 •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온도가 높아지면 증가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감소한다. ◀ -196℃의 액체 질소에 풍선을 넣으면 온도가 낮아지면서 부피가 줄어든다. 부피가 줄어든 풍선을 다시 꺼내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서서히 원래의 부피로 된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3.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 2.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압력이 일정할 때) ◀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와 분자 운동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3.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 샤를 법칙 1. 샤를 법칙 샤를 법칙 :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그 종류 에 관계없이 온도가 1℃ 올라갈 때마다 0℃때 부피의 약 씩 증가한다. 1 Vt=V0+V0 x 273 압력: P(일정할 때) 0℃ 때의 부피 : V0 t℃ 때의 부피 : Vt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3.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 2. 샤를 법칙과 관련된 현상 찌그러진 탁구공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탁구공이 펴진다. 열기구 내의 기체를 가열하면 하늘 높이 떠오른다. 액체 질소에 넣은 풍선이 쭈그러든다. 여름철 고속도로를 달린 자동차의 타이어가 빵빵 해진다. 피펫 끝부분에 남은 액체 방울을 떨어뜨리기 위해 피펫을 감싸 쥔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4. 물질의 상태 변화와 분자 배열 물질의 상태 변화 1. 상태 변화의 종류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4. 물질의 상태 변화와 분자 배열 2. 상태 변화의 예 • (1) 고체와 액체 사이의 상태 변화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4. 물질의 상태 변화와 분자 배열 (2) 액체와 기체 사이의 상태 변화 (3) 고체와 기체 사이의 상태 변화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4. 물질의 상태 변화와 분자 배열 상태 변화와 물질의 성질 변화 1. 상태 변화와 물질의 부피 및 질량 변화 물질의 상태가 변하면 질량은 변하지만 부피는 변하지 않는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4. 물질의 상태 변화와 분자 배열 2. 물질의 상태 별 분자 배열과 특징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5. 물질이 녹거나 굳을 때의 온도 변화 물질의 상태 변화와 온도 1. 고체의 가열 곡선과 액체의 냉각 곡선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5. 물질이 녹거나 굳을 때의 온도 변화 • 녹는점 : 고체가 액체로 융해될 때의온도 (2) 어는점 : 액체가 고체로 응고될 때의 온도로, 녹는점과 같다. (3) 융해열 : 고체가 액체로 융해될 때 흡수하는 열에너지 (4) 응고열 : 액체가 고체로 응고될 때 방출하는 열에너지 (5) 융해되는 동안 온도가 일정한 이유 : 가해준 열에너지가 모두 상태 변화하는데에만 쓰이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지않고 일정 (6) 응고되는 동안 온도가 일정한 이유 : 상태 변화하는 동안 열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지 않고 일정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5. 물질이 녹거나 굳을 때의 온도 변화 융해열과 응고열의 이용 1. 융해열과 응고열의 이용 융해열의 이용 : 주위의 온도가 낮아진다. (예) 손 위에 얼음 조각을 놓으면 차가워진다. 얼음에 음료수를 담가 두면 차가워진다. (2) 응고열의 이용 : 주위의 온도가 높아진다. (예) 겨울철 오렌지에 물을 뿌려 오렌지의 냉해를 막는다. 에스키모들은 얼음집에 물을 뿌려 따뜻하게 한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6. 물질이 끓을 때의 온도 변화 물질의 상태 변화와 온도 1. 액체의 가열 곡선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6. 물질이 끓을 때의 온도 변화 • 끓는점 : 액체가 기체로 기화될 때의온도 • 기화열 : 액체가 기체로 기화될 때 흡수하는 열에너지 (3) 액화열 : 기체가 액체로 액화될 때 방출하는 열에너지 (4) 기화되는 동안 온도가 일정한 이유 : 가해준 열에너지가 모두 상태 변화하는데에만 쓰이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지않고 일정 (5) 액화되는 동안 온도가 일정한 이유 : 상태 변화하는 동안 열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지 않고 일정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6. 물질이 끓을 때의 온도 변화 기화열과 액화열의 이용 1. 기화열과 액화열의 이용 기화열의 이용 : 주위의 온도가 낮아진다. (예) 더운 여름날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진다. 열이 나면 알코올을 묻힌 수건으로 온몸을 닦는다. (2) 액화열의 이용 : 주위의 온도가 높아진다. (예) 스팀 난방을 이용하여 집안을 따뜻하게 한다. (3) 기화열과 액화열의 이용 : 에어컨 ① 실내기 내부 :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로 기화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실내 공기를 차갑게 한다. ② 실외기의 응축기 :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로 액화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한다.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6. 물질이 끓을 때의 온도 변화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1.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 열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함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6. 물질이 끓을 때의 온도 변화 상태 변화와 분자 운동 1.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및 분자 운동
Ⅵ.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 – 6. 물질이 끓을 때의 온도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