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공공부문 개혁  지금까지 한 일과 앞으로 할 일 

공공부문 개혁  지금까지 한 일과 앞으로 할 일 . 1998. 10. 보 고 순 서. 1. 공공부문 개혁 추진체계 2. 공기업 민영화 및 경영혁신 3. 정부산하기관 경영혁신 4 . 출연연구기관 경영혁신 5 . 기타 공공부문 개혁. 기획예산위원회. 1. 1. 공공부문 개혁 체계. 작지만 봉사하는 효율적인 정부.  유연하고 투명한 기능과 조직  창의  경쟁의 새로운 가치 정립. 운영시스템 개혁. 의식  문화 개혁.

daria
Download Presentation

공공부문 개혁  지금까지 한 일과 앞으로 할 일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공공부문 개혁  지금까지 한 일과 앞으로 할 일 1998. 10 보 고 순 서 1. 공공부문 개혁 추진체계 • 2. 공기업 민영화 및 경영혁신 • 3. 정부산하기관 경영혁신 • 4. 출연연구기관 경영혁신 • 5. 기타 공공부문 개혁 기획예산위원회

  2. 1 1. 공공부문 개혁 체계 작지만 봉사하는 효율적인 정부  유연하고 투명한 기능과 조직  창의  경쟁의 새로운 가치 정립 운영시스템 개혁 의식 문화 개혁 구조개혁  경쟁확대 ·능력향상  연봉제 도입  개방형 임용 확대  인센티브제 확산  민간위탁  책임운영 기관제도 도입 등  성과중심 재정 운용  예산운용의 자율 · 책임성 제고  공사발주제 개선 등 (공사비 20% 절감)  예산의 탄력 운용 (연말예산 이월 집행등)  기금  특별회계 정비  봉사하는 공직자  고객 만족도 조사  고객 헌장제도 도입  국민세금 아껴쓰기 등  투명 ·공개된 행정  행정정보 공유 확대  재택 민원서비스 등  공직자 교육 실시  제2건국 추진과 연계  중앙정부  지방자치단체 중앙  지방간 기능  재원 조정  공기업  출연연구기관  산하기관  각종위원회 등  금년말까지 공공부문 개혁 마무리  내년 2월까지 정부 경영진단 완료 새로운 기능과 역할 재정립

  3. 2 2. 공기업 민영화 및 경영혁신 구조개혁 •  인력조정  10개기관 조정완료, 11월중 목표달성 전망 •  민영화 (완전민영화 5개, 단계적 민영화 6개 기관)  농협에 남해화학 매각(3,000억, 9.30일)  국정교과서·종합기술금융 매각(11월 중)  포철·한전·가스공사 지분 해외매각(12월까지)  한국통신은 전략적 제휴 추진 •  자회사 정리(민영화, 통폐합 등) 전체목표(’98~2001) ’98 목표 ’98 실적(10.15)  30,249명  10,614명  8,639명(81.4%) 전체목표(’98~2002) ’98 목표 ’98 실적(10.15) 67개 9개 6개 운영시스템 개혁 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개정 → 자율 · 책임경영 구현  ’99 정부투자기관 예산편성지침 시달(10월말)  경영공시제도 도입 : 21개 기관 우선 실시(12.1일) 추진상황 점검  공기업 사장단 워크샾 개최 →추진상황 점검·독려(11월)  경영혁신 추진실적 평가 → 인센티브,인사책임 등 조치(’99.1월)

  4. 3 ※ 주요 공기업 구조조정 사례  한국가스공사  인력조정 및 조직 축소 완료(7.14) 인력 457명(▲15.8%) 감축 2본부 6처 축소 •  민간위탁( outsourcing) 대폭 확대  시설경비 ·전산 · 차량관리 운영 등 •  책임경영체제 확립을 위해 본부장 및 자회사 사장 계약제도 시행  대한석탄공사  노사합의(10.14)로 구조조정안을 확정  임금 18% 삭감  퇴직금 48% 하향 조정  3교대 생산작업 체제를 2교대로 전환  지연 사례  인력조정이 부진한 기관  관광공사, 담배인삼공사, 지역난방공사 등 •  임금감축 협의 지연 기관  주공, 도공, 토공, 수공, 유개공 등

  5. 4 3. 정부산하기관 경영혁신 8월 17일 국무회의에 보고된 『 정부산하기관 경영혁신 방안 』 내용에 따라 •  2000년까지 총 15,586명 감축 계획 중  ’98계획 : 8,091명 → 3,780명 감축(9월~10.15 현재) 연말까지는 금년도 목표 달성 예정  특히 문예진흥원, 체육진흥공단 등 35개 기관은 ’98 정원감축계획 조치완료  2000년까지 통폐합 계획 19개 기관 → 14개 기관 금년중 조치  무역협회 자회사 고려무역(주) 청산인 선임(9.3) 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지역의보조합 통합 완료(10.1) 농진공 · 농조 · 농조연 통합법 법제처 심사 중  언론 및 방송관련 기관 통합 추진위 구성(10.30) 등  총 28개 민영화, 민간위탁 계획 → 금년중 7개 조치  공항주차관리(주), 산업단지공단의 종합운동장부지 매각 등  향후 추진 계획  경영혁신 관련 30개 법률안을 금년 정기국회에서 제·개정  6개 법안 국무회의 의결(10.27), 16개 법안 법제처 심사중

  6. 5 4. 출연연구기관 경영혁신 5월 13일 국무회의에 보고된 『정부출연연구기관 경영혁신 방안』 내용에 따라 •  ’98년중 정원 감축계획 : 2,530명 → 2,058명 감축(10.15 현재)  예산절감계획 : 990억원 → 1,061억원 절감  57개 전 출연(연) 성과급제 및 51개 출연(연) 연봉제 도입  주요 경영혁신 사례를 보면 •  산업연구원(KIET) 인력감축 목표 31명(▲17.1%) 조치 완료  부원장제 폐지 및 6개 센터별 독립채산제 도입  외국업체(언스트 영 등)와 기술제휴, 컨설팅업으로 사업 다각화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인력감축 목표 406명(▲20.7%) 조치 완료  전직원에 대한 연봉제와 계약임용제 도입 등  과학기술부 산하 20개 연구기관의 경우  연구원 정년단축(65세→60세), 특별유급휴가 폐지 등 추진  향후 추진 계획  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 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안) 금번 정기국회에서 처리  연합이사회제 ,기관장공모제, 외부감사제 도입 등

  7. 기 금 특별회계 현 황  76개, 운용 126조원  22개, 예산 53조원 방 안  전면개편, 재정의 민주성 및 효율성 제고 - 폐지, 통폐합, 특별회계 및 공공기금화, 전담기구 및 평가단 설치 등  목적세 관련 특별회계 폐지 등 정비 - 폐지, 통합, 책임운영기관 특별회계화 등 일 정  금년말까지 정비계획 확정 후, 법령개정 등 후속조치 추진  목적세 관련은 금년 정기국회, 기타는 금년말까지 계획 확정 위 원 회 정 비 정부조직 경영진단 현 황 총 372개 중 316개  17부 2처 4위원회 16청 4자치단체 방 안  제로베이스에서 전면 재검토 - 폐지, 통합, 일몰제 도입, 위원회 운영개선 등  40% 이상 폐지  민간경영진단 기관 선정 진단의뢰 - 부처별 경영진단지원팀과 경영진단 조정위원회 구성 운영 등 일 정  11월초 국무회의 상정  금년 12월 중간보고, 내년 2월 마무리 6 5. 기타 공공부문 개혁  기금 및 특별회계 정비  위원회 정비 및 정부조직 경영진단

  8. 중기재정계획 수립 (’98-2003년) 1998. 10 보 고 순 서 I. 중기재정계획의 기본구상 II. 계획수립 추진일정 기획예산위원회

  9. 1 Ⅰ. 중기재정계획의 기본구상 국민의 정부 가첫번째로 수립하는 중장기 재정운영의 마스터 플랜  향후 5년간, 경제·재정운영 비전 제시  경제재도약을 가속화하기 위한 재정의 경기대응 기능 강화  제2건국, 100대 국정과제 등 국정설계 내용  재정면에서 차질없이 뒷받침  연도별 가용재원 규모, 부문별 재정투자 우선순위  중장기적 시계(Time Horizon)에서 전면 재검토 재정운영 시스템 성과(Output)위주로 개혁  적자재정의 효율적 관리방안 마련 국정 비전이 반영된 계획 국민적 공감대 신뢰도 제고 예산으로 실천되는 계획

  10. 2 Ⅰ. 향후 5년간의 경제·재정운영 비전 제시  자신감과 의지를 바탕으로 민주적 시장경제 활착 1998년 구조개혁 마무리 성장잠재력 회복 1999년 2000년 재도약 전기 마련 01~03년 21세기 새로운 도약 1998 1999 2000 2003 성장률(%) 5.0 2.0 4수준 5수준 1인당GDP($) 6,600 7,300 8,500 10,600 35위 30위권 25위권 15위권 국가경쟁력 2. 재정의 경기대응기능 강화 2000년까지 시 장 경 제 시 스 템 정 립 금융기능 정상화 중소 · 수출기업 활성화 가치창조적 일자리 100만개 창출  경기활성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제도개선 뒷받침  준조세 등 재정규제 철폐  외국인투자, SOC 민자유치 관련 지원체계 정비 등

  11. 3 3. 국정운영과제의 확고한 실천  국정과제 추진을 재정면에서 뒷받침  제2건국위원회가 제시하는 과제  100대과제 (910개 실천과제) 중 재정지원이 필요한 과제  21세기 지식기반사회(Knowledge-based Economy) 대비  정보기술을 활용한 전자정부 구현  R&D, 정보화, 문화·관광 등 미래산업 투자  창의적· 미래지향적인 인재육성(human resource)투자 등 4. 중장기 분야별 투자우선순위 재검토  10대 분야를 주요 투자분야로 선정   금융구조조정  맑은 물과 생활환경  사회간접자본  농어촌  중소기업과 수출  교육과 문화·관광  실업대책과 사회복지  국방 · 외교통일 · 치안  과학기술과 정보화  인력과 행정관리  향후 5년간 재정여건 감안,각 분야 투자방향 조정  중장기 시각에서 분야별·사업별 투자우선순위 배분 매년도 예산사업은 중기재정계획에 포함된 경우에 반영

  12. 4 5. 행정 및 재정제도 개혁  결과(output) 중심의 성과주의 예산제도 도입  기금·특별회계 정비, 불로소득 과세강화 등 세제개편  중앙·지방 재원배분, 경제·교육 등 기능이양과 병행추진  인센티브, 개방임용제 정착 등 공직사회 경쟁 촉진  공공건설 사업비, 2002년까지 20%(10조원 수준) 절감 6. 적자재정의 효율적 관리  2001년 적자축소, 2006년 균형재정 (KDI 건의) 1999 2000 2001 2002 2006 경상성장율(%) 4.2. 7.8 8.9 9.0 8.5 세출증가율(%) 6.2. 6.2 5.2 4.8 8.5 적자/ GDP(%) (기금포함시) 3.1 (5.0) 3.1 (4.8) 2.8 (4.3) 2.0 (3.4) 0.3 (1.1) 국채발행 (조원) 13.5 14.5 14.3 10.9  2.3  선진국의 경험을 감안, 세입확충 및 세출억제로 재정수지 적극 관리  미국 30년(69∼98년),일본 70년∼현재,영국 90년∼현재

  13. 5 ⅠI. 계획수립 추진일정  중장기 재정여건 전망 (9.1∼10.15KDI , 조세연)  각 부처, 16개 시·도의 분야별·지역별 장기계획  거시지표 및 적자관리 방향  SOC, 과학기술, 문화·관광 등  10대 세출분야별 투자계획 조정(10.1-10.30)  기획위 · 예산청, 투자우선순위 및 연차별 투자규모 조정  중기 재정운영 방향 세미나 개최(11월초)  연도별 재정규모 및 적자재정 관리 계획  분야별 재원배분 우선순위 · 규모 ·주요쟁점사항 등  재정학회, 재정연구회 공동주관  관계기관 협의 및 여론수렴(11월중)  당정, 시 ·도지사, IMF와의 협의 등  대통령께 최종보고, 국무회의 보고(12월중)  99예산안의 국회심의 확정결과 반영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