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400 Views
4. 생각을 키우는 지식. (1) 글의 짜임 비교하기 - 미지의 세계 , 블랙홀. < 흥미 유발 > 설명하거나 설득하는 글을 읽은 경험이나 두 글을 구분하는 방법을 말해 보자. 학습 목표. 1. 설명문의 글의 짜임 및 그 역할을 알 수 있다 . 2. 문단의 연결 관계를 통해 글의 짜임을 나누고 중심 내용을 찾을 수 있다. 145 쪽 사진을 보고 우주에 대해 궁금한 점을 이야기해 보자.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 태양은 언제까지 빛날까 ?
E N D
4. 생각을 키우는 지식 • (1)글의 짜임 비교하기 •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흥미 유발 > • 설명하거나 설득하는 글을 읽은 경험이나 두 글을 구분하는 방법을 말해 보자.
학습 목표 1. 설명문의 글의 짜임 및 그 역할을 알 수 있다. 2. 문단의 연결 관계를 통해 글의 짜임을 나누고 중심 내용을 찾을 수 있다.
145쪽 사진을 보고 우주에 대해 궁금한 점을 이야기해 보자. •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 태양은 언제까지 빛날까? • 우주에 별은 몇 개나 될까? • 외계인과 연락할 수 있을까?
‘미지의 세계 , 블랙홀’에 대해 한국방송공사(KBS)의 과학 다큐 프로그램 ‘사이언스 21’의 두 번째 방송분으로, 2003년 4월 30일 방송된‘우주 그 끝은 어디인가’ 편이다. 블랙홀에 대한 과학적인 사실을 알려주는 설명문이다.
설명문의 글의 짜임 처음: 설명 대상의 소개 중간: 설명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끝: 설명한 내용 요약, 글쓴이의 전망이나 당부
<미지의 세계, 블랙홀> 글의 짜임을 세 부분으로 나누고 중심 내용을 파악해 보자. • 모둠별 협동학습으로 역할 분담 과제를 해결하고 발표한다.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1. 처음 부분임을 알려주는 문장과 그 역할은? (모둠 과제) 1) 처음 부분임을 알려주는 문장 : 과연 지구는 블랙홀로부터 안전할까? 2) 역할 : 화제 제시-의문문을 통해 호기심 유발 3) 중심 내용은? (이끔이) : 두려움과 호기심의 대상 블랙홀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중간1 (146:9-146:14) 블랙홀의 정의 2. 블랙홀이란? (칭찬이) ① 뜻 : ( 밀도)와 ( 중력)이 한없이 커져서 빛과 에너지를 포함한 어떤 물질도 빠져나가지 못하는 천체 ② 20세기 초에 ( 아인슈타인)에 의해 이론적으로 증명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함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중간2 (-147:5) 블랙홀의 생성 원인 3. 블랙홀의 생성 원인은? (칭찬이) ① ( 별의 마지막 단계 )에서 폭발하면서 강력한 수축을 일으켜 블랙홀이 생김 : (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별이 일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하면, 중심부의 강력한 ( 중력)이 주변의 물질을 끌어들이는데, 이때 별의 ( 부피)가 거의 0이 되고 ( 밀도)와 중력은 무한대로 커진 천체가 바로 블랙홀임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중간 2 : 블랙홀의 생성 원인 ② ( 우주 대폭발 ) 즉 ( 빅뱅)의 순간에 우주의 물질들이 크고 작은 덩어리로 뭉치면서 블랙홀이 무수히 생겨남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중간3(-148:4) 블랙홀의 관측 방법 4. 블랙홀의 위치를 찾는 방법은? (기록이) ① 블랙홀이 방출하는 ( 엑스선) 찾기 ∙블랙홀이 주변의 천체들을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방출하는 미세한 ( 엑스선)을 탐지하면 블랙홀의 위치 추적이 가능함 ∙1999년, 엑스선을 탐지할 수 있는 우주 망원경 ‘( 찬드라)’가 지구 밖에 설치되었고, 여러 개의 블랙홀을 탐지함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중간 3 : 블랙홀의 관측 방법 ② ( 주위 별들의 움직임 관찰 ) ∙별들의 움직임을 관찰했을 때, 별이 있어야 할 자리에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보이면, 그 자리에 ( 블랙홀)이 있을 가능성이 큼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중간4 (-148:11) 블랙홀의 위협에서 안전한 태양계 5. 태양계가 블랙홀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이유는? (기록이) ① 블랙홀은 대부분의 은하에 있고 은하계의 ( 중심)에도 있기 때문에 ② 태양계는 은하계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6. 중간 부분에서 화제를 전환하는 문장은? (나눔이) ① 그러면 블랙홀은 어떻게 생기는 것일까? ② 그러면 이렇게 생성된 블랙홀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7. 중간 부분 중심 내용 : 블랙홀의 정의, 생성 원인, 관찰 방법
< 미지의 세계, 블랙홀 > 끝 : 블랙홀의 실체와 연구의 필요성 블랙홀은 우주를 빛내던 ( 별)의 다른 모습이며, 블랙홀에 대한 연구는 21세기 새로운 ( 기초 과학 )을 정립하는 열쇠임 8. 끝부분임을 알 수 있는 문장은? (나눔이) : 지금까지 우리는 블랙홀에 대해 알아보았다.
1. 글의 짜임 비교하기 *<미지의 세계, 블랙홀> 핵심 내용 정리 1. 갈래 : ( 설명문) 2. 성격 : 객관적, 해설적 3. 짜임(구성) : ( 처음 )-( 중간)-( 끝)의 3단 구성 4. 제재 : 블랙홀
1. 글의 짜임 비교하기 *<미지의 세계, 블랙홀> 핵심 내용 정리 5. 주제 : 블랙홀의 정의와 생성 원인, ( 관측 방법 ), 연구의 필요성 6. 특징 : 1)‘블랙홀’이라는 흥미 있는 소재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알기 쉽게 전달 2) 설명 대상에 대한 정보를 항목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설명함
형 성 평 가 ※[1∼5]‘미지의 세계, 블랙홀’을 읽고, 옳은 것에 ○표, 틀린 것에 ×표 하시오. 1. 20세기 초, ‘존 휠러’라는 천문학자가 블랙홀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다. 2. 블랙홀은 밀도와 중력이 한없이 커져서 어떤 물질도 빠져나가지 못하는 천체이다. 3. 블랙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1999년 우주 망원경‘찬드라’가 지구 밖에 설치되었다. ( × ) ( ○) ( ○)
형 성 평 가 ( × ) 4. 블랙홀은 결국 이론적으로만 증명될 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5. 우리 은하에 존재하는 블랙홀은 은하의 중심에 있으므로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는 블랙홀로부터 안전하다. 6. ‘미지의 세계, 블랙홀’의 글쓰기 목적은 무엇인가? 이 글은 ( )에 대해서 ( ) 하기 위해 쓴 글이다. ( ○) 블랙홀 설명
차 시 예 고 설득하는 글의 짜임 -우주 개발, 우리도 이제 시작해야 한다
과 제 제시 ‘우리 개발, 우리도 이제 시작해야 한다’읽어 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