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likes | 629 Views
청년실업의 원인과 대책. 하반기 청년 실업 현황과 대안 - 국민 대 토론회. 1. 청년실업의 현황. 외환위기 이후 1998 년에 12.2% 까지 급증했던 靑年層 (15 ~ 29 세 ) 失業率은 2002 년에 6.6% 까지 하락하여 1997 년의 5.7% 에 근접하였으나 금년 들어 다시 상승 2003 년 9 월 현재 청년실업자의 69.3% 는 고졸 이하임 .
E N D
청년실업의 원인과 대책 하반기 청년 실업 현황과 대안-국민 대 토론회
1. 청년실업의 현황 • 외환위기 이후 1998년에 12.2%까지 급증했던 靑年層(15~29세) 失業率은 2002년에 6.6%까지 하락하여 1997년의 5.7%에 근접하였으나 금년 들어 다시 상승 • 2003년 9월 현재 청년실업자의 69.3%는 고졸 이하임. • 청년실업률 자체가 선진국에 비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것은 청년실업이 단순히 경기적 요인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경제의 고용창출능력이 현저히 약화되는 등 구조적 요인에 더 크게 기인하고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음.
2. 청년실업의 원인 • 경기침체로 인한 인력수요 감소 • 우리 경제 고용 창출능력의 약화 • 대졸자 노동시장의 양적 수급불균형 심화 • 대졸자 노동시장의 질적 불일치 심화 • 대학 비진학자에 대한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 미흡 : 구조적 실업
3. 9.22정부 실업대책에 대한 보완사항 • 실업대책 추진상황에 대한 점검 및 평가체계 구축 • 경제 활성화와 우리 경제의 일자리 창출능력 제고 • 청년층 종합고용 서비스 체계 구축 • 중소기업 일자리의 적극 발굴 및 중소기업으로의 유인 • 청년층 창업 활성화 • 고졸 비진학 미취업자의 직업능력개발 강화 • 고용서비스의 선진화 : 실업대책 전달체계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