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8

당뇨병 병태 생리 새로운 진단기준

당뇨병 병태 생리 새로운 진단기준.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내과 유 형 준. 함께 나눌 이야기. 분류 병태원인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진단 기준 소아 제 2 형 당뇨병 검사 임신성당뇨병 검사 요약 결론. 함께 나눌 이야기. 분류 병태원인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진단 기준 소아 제 2 형 당뇨병 검사 임신성당뇨병 검사 요약 결론. 당뇨병의 분류.

Download Presentation

당뇨병 병태 생리 새로운 진단기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당뇨병 병태 생리새로운 진단기준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내과 유 형 준

  2.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3.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4. 당뇨병의 분류 • Type1 Type1A immmune-mediated Type1B idiopathic • Type2 • Other specific types • GDM (Gestational DM)

  5. Point ! • Type I, Type 1둘 中 맞는 것은? Type I Type II 正答: Type 1, Type 2

  6.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7. Type1A당뇨병의 병태원인 • 유전 • 환경 • 면역(자가면역) Viruses (coxsackie, rubella) Bovine milk protein Nitrosourea compounds

  8. Type1A 당뇨병의 병태원인: 유전 • 일란성 쌍생아: 3070%

  9. Type1A당뇨병의 병태원인 Viruses (coxsackie, rubella) Bovine milk protein Nitrosourea compounds 면역 방아쇠 100  Cell mass (% of max) 자가면역 유전적 소인 20 顯性 당뇨병 출생 세월 (환경)

  10. Type2 DM의 병태원인 유전 환경 인슐린 저항성(IR) 식사 문제 운동 부족 스트레스 약물 비만 기타

  11. Type2 DM의 병태원인: 유전 • 일란성 쌍생아 7090 % • 양친 당뇨병 40 %

  12.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말초 조직 세포 인슐린수용체 DNA 전사인자 糖 당輸送 단백질 RNA 전사(轉寫)인자: Transcription Factor

  13. Type2 DM의 병태원인 인슐린 분비 증가(hyperinsulinemia) 세포 탈진인슐린감소 유전 환경 Glucose 이용 간 당생산  IR 고혈당 • 식사 문제 • 운동 부족 • 스트레스 • 약물 • 비만 • 기타 FFA (free fatty acid)

  14. 지방 조직 FFA 등 복부비만-인슐린저항성-당뇨병 • 중성지방 축적 • 당수송단백질 • 당생산 증가

  15. 죽상경화 심혈관질환 혈액 응고 증가 고혈압 인슐린저항성 요산 증가 제2형당뇨병 내당능 장해 이상 지혈증 obesity Physical inactivity Genetic Food intake Stress Low birth weight

  16.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죽상경화 심혈관질환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혈증 혈액응고이상 고요산혈증 인슐린 저항성 유전요인 복부비만 환경요인

  17.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18. 무증상 미진단자 당뇨병 검사(ADA, 2004) 45  3년마다 45 > •비만 (BMI  25 kg/m2) •가족력 (부모 형제) •운동 안 하는 경우 •인종적 위험군 •거대아 (> 4 kg), 임신성 당뇨병 병력 •고혈압  140/90 mmHg • TG  250 mg/dL, HDL-chol  35 mg/dL •과거 당불내인성 (IFG 또는 IGT) •다낭성 난소증후군 •혈관질환과거력

  19.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20. 당뇨병 진단 기준 (ADA, 2002) • 당뇨병 증상 혈장 혈당  200 mg/dL • 공복혈장혈당  126 mg/dL • 경구당부하 2시간 혈장 혈당  200 mg/dL * 3가지 경우 중 하나면 당뇨병 *당뇨병 증상: 3多  체중감소

  21. Points ! • 공복: 최소 8시간 동안 no calorie섭취 • 경구당부하: 75 g無水 포도당을 물에 녹여 마심 (15분 정도 이내) • 通夜 8~14시간 금식 후 아침 • 최소 3일간 • 비제한 식사(≥ 150 g 탄수화물), 활동 비제한 • 검사 중 앉지 말고, 금연 • 2시간 후:just after swallowing부터

  22. Points ! • 혈장: 血漿, plasma • 혈청: 血淸, serum • 전혈: 全血, whole blood • 혈장 혈당 =전혈 혈당 1.13

  23. Point ! 정맥 동맥 모세혈관 • 동맥혈당, 모세혈관혈당, 정맥혈당의 차이? (자가혈당측정=모세혈관혈당 측정) 正答: 공복시엔 同一식사후엔 동맥혈당 = 모세혈관혈당 >정맥혈당 + ~40mg/dL

  24. 공복혈장혈당(mg/dL) 당부하2시간 혈장혈당(mg/dL) 정 상 < 100 < 140 공복혈당장애(FPG) 내당능장애(IGT) 당뇨병  126  200

  25. IFG, IGT Impaired Fasting Glucose Impaired Glucose Tolerance

  26.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27. 소아에서 제2형 당뇨병의 검사시행 경우 • 비만 (BMI > 85 ‰또는 이상체중의 120%이상) • 다음의2개 이상 •  당뇨병 환자의 가족력( 직계, 삼촌) • 인종적 위험군 •  인슐린저항성 또는 관련 질환 • (흑색극세포증, 고혈압, 이상지질형증, 다낭성 난소증후군) • 10살 또는 사춘기 시작 시(조숙 사춘기) 시행 • 매 2년마다 공복혈장혈당을 시행

  28.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29. GDM위험군 분류 • 저위험군 (low risk) • 보통위험군 (average risk) • 고위험군 (high risk)

  30. 임신성 당뇨병 저위험군 • 25세 미만 • 정상체중 • 당대사 이상의 과거력이 없는 경우 • 과거 산과적 문제가 없었던 경우 • 당뇨병 빈도가 높은 인종(예: Hispanic계 미국인, 아메리카 인디언 미국계 아시안, 흑인, 태평양성 인종들)이 아닌 경우

  31. 임신성 당뇨병의 고위험군 • 고도비만 •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 • 소변 검사상 당 검출 • 당뇨병 환자 가족력

  32. GDM위험군별 검사 지침 • 저위험군: no glucose testing • 보통위험군: 임신 24~28주에 검사 시행 • 고위험군 산전이라도 가능한 일찍 하고, 정상이면 임신 24~28주에 검사 다시 시행

  33. GDM 검사  1단계 검사: 아무런 혈당 검사 실시하지 않고 경구당부하 검사를 시행 2단계 검사: 50mg 경구 당부하 후 1시간 뒤 혈당이 140mg/dL초과인 경우 경구당부하 검사 시행

  34. 100 g 경구당부하검사 아래의4개 혈당치 중2개 이상이면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 공복 ≥95 mg/dL, 1시간 ≥ 180mg/dL, 2시간 ≥ 155mg/dL, 3시간 ≥ 140mg/dL • 通夜 8~14시간 금식 후 아침 • 최소 3일간 • 비제한 식사(≥ 150 g 탄수화물), 활동 비제한 • 검사 중 앉지 말고, 금연

  35. 75 g경구당부하검사 아래의4개 혈당치 중2개 이상이면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 공복 ≥ 95 mg/dL 1시간 ≥ 180mg/dL 2시간  ≥ 155mg/dL • 通夜 8~14시간 금식 후 아침 • 최소 3일간 • 비제한 식사(≥ 150 g 탄수화물), 비제한 활동 • 검사 중 앉지 말고, 금연

  36. 함께 나눌 이야기 • 분류 • 병태원인 • 무증상 미진단자 검사 • 진단 기준 • 소아 제2형 당뇨병 검사 • 임신성당뇨병 검사 • 요약 결론

  37. 요약 결론 • Type 1A DM의 병태원인은 주로 자가면역 Type 2 DM은 주로 인슐린저항성 관여 • 최신 진단기준 지침에 따른 정밀한 진단 실시와 판단이 중요

  38. “고맙습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