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likes | 873 Views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이 장에서 배울 것.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표준. 멀티미디어 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스템. 목적에 따른 분류 저작 시스템 (Authoring System) 재생 시스템 (Presentation System) 멀티미디어 플랫폼 (Multimedia Platform) 제작 + 재생 H/W+S/W.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멀티미디어 컴퓨터. 멀티미디어 PC (MPC: Multimedia PC)
E N D
이 장에서 배울 것 •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멀티미디어 표준
멀티미디어 시스템 • 목적에 따른 분류 • 저작 시스템(Authoring System) • 재생 시스템(Presentation System) • 멀티미디어 플랫폼(Multimedia Platform) • 제작+재생 • H/W+S/W
멀티미디어 컴퓨터 • 멀티미디어 PC (MPC: Multimedia PC) • Microsoft, Fujitsu, Philips 등 PC 관련 업체들이 제정 • 멀티미디어 정보의 재생을 위해 요구되는 PC 기준 • 1990년 MPC Level 1 • 1996년 MPC Level 3 • 75MHz CPU • 540MB HDD • 4xCD-ROM •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 16 Bit Sound Card w/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Vs. 현재의 PC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 그래픽 워크스테이션 • 그래픽 처리 전용 하드웨어(그래픽 엔진) 장착 • 그래픽스 라이브러리 지원 • 멀티미디어 워크스테이션 • GW + 입출력 장치 + 사운드 카드 + 비디오 카드 • 가상현실용 워크스테이션 • 고성능 실시간 처리 가능 Vs. 현재의 PC
미디어 처리장치 • 사운드 카드 • 사운드 입출력 지원 • 요즘은 메인보드 일체형 • 고급형: SoundBlaster 시리즈 • 그래픽 카드 • VGA + 3차원 그래픽 가속 • 3D 게임에 첫 번째 요구 사항 • nVidia vs. ATI
미디어 처리 장치 • 비디오 보드 • 비디오 데이터 고속 압축/복원하여 모니터 상에 재생 • 프레임 그래버 보드(Frame Grabber Board) • 카메라로 촬영한 실세계의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저장 •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Video Overlay Board) • 컴퓨터 내에서 생성된 영상정보와 TV와 같은 외부 영상정보를 중첩하여 표현 • 그래픽 카드 일체형, TV 수신카드, HDTV 수신카드
입력 장치 • 스캐너 • 사진 등을 읽어 들여 메모리에 비트맵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 • dpi (dot per inch) • 평판/필름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 실세계의 장면을 촬영하여 카메라에 내장된 메모리에 디지털 이미지의 형태로 직접 저장 • 내장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카드 • 화소: ~ 4,288 x 2,848 • http://dcinside.com
디지털 캠코더 • 실세계의 장면을 촬영하여 카메라에 내장된 메모리에 디지털 동영상의 형태로 직접 저장 • 내장 메모리: 6mm DV 테이프, 8cm miniDVD,하드디스크 • 컴퓨터와 데이터 교환: IEEE 1394 포트, USB 포트
그래픽 태블릿(Graphic Tablet) • 대형 그래픽 도면, CAD 등에 이용 • 마우스보다 정밀도를 요하는 작업 • 스타일러스(Stylus) • 펜의 끝 부분(바늘)과 태블릿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컴퓨터로 전송 • Cf) 펜마우스, 전자펜 상대 좌표 vs. 절대좌표
출력 장치 • 모니터 • 해상도: ~2560 x 1600 30inch
프린터 •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 dpi, ppm • 복합기 • 프린터, 스캐너, 팩스, 복사 • 플로터
3D 프린터 • www.zcorp.com
프로젝터 • 지금 보고 있는 것
Head Mounted Display (HMD) •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 스테레오 시각 차에 의한 3차원 인지 유도
FMD Head Mounted Display (HMD) •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 스테레오 시각 차에 의한 3차원 인지 유도
DVD의 종류 • DVD-ROM • DVD-Video • DVD-Audio • DVD-R • DVD-RW • DVD-RAM
멀티미디어를 위한 OS • 하드웨어 설치,관리 용이 • 멀티미디어 장치와 소프트웨어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Windows 3.x :Media Control Interface • Windows 95 이후: PnP (Plug & Play) • 특징 • 멀티태스킹 기능 •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능 • 실시간 처리 기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작도구 •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의 결과물을 통합하는 소프트웨어 • 패키지 저작도구 • GUI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편리하고 손쉽게 편집 가능 • 상호작용성을 지원하기 위해 구조화된 방법이나 스크립트(Script)와 같은 언어를 제공 • Adobe Premiere, Macromedia Director • 웹 페이지 저작도구 • 페이지 단위 • HTML 지원 • Microsoft FrontPage, 나모 웹에디터
멀티미디어 표준 • 왜 표준화 하는가? • 정보 전달/공유 • 압축/복원 • 전자문서 • 표준화기구
표준화 기구 • 국제 표준화 기구 •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지역별 표준화 기구 • 미국(ANSI, IEEE), 영국(BSI), 일본(JIS), 한국(KS) • 컨소시엄 • IMA (Interactive Multimedia Association) •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국제표준화 절차 • 제안서 접수 • 워킹그룹 초안(WD: Working Draft) • 위원회 초안(CD: Committee Draft) • 국제 초안(DIS: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 국제 표준안(IS: International Standard)
이미지 표준 •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 ISO 10918-1, 10918-2
동영상 표준 •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ISO 11172 • MPEG-1: 1.5Mbps • Video-CD • MPEG-2: 40Mbps • DVD, HDTV • MPEG-4: 64kbp • Cf) DivX, XviD, 3ivX
오디오 표준 •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MP3: MPEG-1 Audio Layer-3 • Cf) ogg, wma
그래픽 표준 • CGM (Computer Graphics Metafile): ISO 8632 • 2차원 그래픽 데이터 • GKS와 PHIGS: ISO/IEC 7942, ISO/IEC 9592 • 2차원 그래픽 요소, 3차원 그래픽 기능 지원 API • OpenGL
전자 문서 표준 • ODA (Open Document Architecture) - ISO 8613 • 문서를 편집, 프리젠테이션, 교환하기 위한 표준안 • ODA는 문서의 내용, 논리적 구조, 레이아웃 구조를 분리하여 기술 • 이미지, 그래픽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문서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규정 •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ISO 8879 • 미 국방성, 미국 출판협회 등에서 사용 • SGML 문서는 선언부, 문서구조 정의부, 실제 문서로 구성됨 • 태그(Tag) 사용
전자 문서 표준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상에서 이용되는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기술하는 방식 • HTML 문서의 논리적 구조는 SGML로 기술 가능 • 태그(Tag) 사용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사용자가 임의의 문서를 간편하게 작성하여 웹에 수록 • SGML의 부분집합: SGML의 각종 규제를 많이 제거하였으며 크기도 축소시켰음 • HTML의 상위 호환 http://w3c.org
가상 현실 표준 • VRML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1997 • 사이버스페이스를 웹 환경에서 간단하게 구축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언어 • X3D (Extensible 3D): 2004 • VRML + XML • http://www.web3d.org/x3d/ • Viewer: http://octaga.com 가상현실 vs. 사이버스페이스
멀티미디어의 활용 • CD-ROM/DVD 타이틀 • 프리젠테이션 • 웹페이지 • 가상현실 • 멀티미디어 서비스 • 서버형 서비스 • 그룹 통신형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