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likes | 1.43k Views
유체기계 특론. 박 용 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터보 기계 (1). 정의 :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유체로부터 에너지를 뽑아내거나 혹은 그것에게 에너지를 주는 모든 기계장치 비연속적인 흐름인 경우는 용적 유체기계라고 한다 . 용적기계 는 밀폐된 공간에 유입된 유체의 유입부나 유출부가 주기적으로 분리되어 에너지를 전달한다 . 터보 기계의 종류. 터보기계의 형식과 모양. 터보 기계 및 용적식 기계의 비교. 유체기계의 정의 및 분류 (1). 유체기계의 정의
E N D
유체기계 특론 박 용 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터보 기계 (1) • 정의: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유체로부터 에너지를 뽑아내거나 혹은 그것에게 에너지를 주는 모든 기계장치 • 비연속적인 흐름인 경우는 용적 유체기계라고 한다. • 용적기계는 밀폐된 공간에 유입된 유체의 유입부나 유출부가 주기적으로 분리되어 에너지를 전달한다. • 터보 기계의 종류
유체기계의 정의 및 분류 (1) • 유체기계의 정의 • 물 또는 공기와 같은 점성이나 압축성을 가지는 실제 유체를 취급하는 기계로서 • 유체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든가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계 • 유체기계의 분류 <취급유체의 종류에 의한 분류> 유체- 액체- 액체기계- 수력기계 (물) 기체- 기체기계- 공기기계 (공기)
유체기계의 분류 (2) • 유체의 유동방향에 의한 분류 • 반경류형(radial flow type):유체가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흐름 • 축류형(Axially flow type): 유체가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름, 축류 수차, 축류 펌프, 축류 송풍기 • 혼류형(mixed flow type): 유체가 축의 원추면 상으로 흐름. 회전차 출구에서 유동방향이 반경류 성분만 있는 것을 혼류형 또는 Francis 형, 반경류와 축류형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을 사류형
유체기계의 분류 (3) • 유체기계의 구조에 의한 분류 • 수평형 (horizontal type)과 수직형 (vertical type) - 축 형상 • 밀폐형 회전차 (closed impeller)와 개방형 회전차(open impeller) - 회전차 형상 • 분할형 (sectional type),원통형 (cylindrical casing)과 상하 분할형 (split type) - 케이싱 형상
유체기계의 분류 (4) • 유체기계의 에너지 변환과 결합형식의 분류 • 유체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 : 수차, 풍차, 유압모터 •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 에너지로 변환 : 펌프, 송풍기, 압축기 • 상기의 방식을 조합하여 1개의 목적으로 사용 : 유체 커풀링, torque converter • 기타 유체기계의 응용기계 : 유체동력 제어기기, 유압장치, 유압프레스
유체기계의 분류 (5) • 유체기계의 작동원리에 의한 분류 • 터보 기계(Turbo machinery) : 회전차의 회전력에 의해 에너지 전달, 소형, 경량, 대동력형에 적합-반경류형, 축류형, 혼류형 • 용적식 기계(positive displacement machinery): 피스톤 또는 로우터 등의 용적배출작용에 의해 정압으로 에너지 전달,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합-왕복동형, 회전형 • 그 외의 유체기계(miscellaneous fluid machinery): 특수한 작동원리-재생펌프, 제트펌프, 기포펌프
과제 1 • 유체기계를 다음의 분류 방식으로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 유체의 유동방향 -. 유체기계의 구조 -. 에너지의 변환과 결합 -. 작동원리 -. 형식상의 분류 제출일자: 3/22/2004
단위 환산 • 힘 또는 중량 (N): = 질량 x 중력가속도 1kgf= 1kgm x 9.8 m/s2=9.8 kgm-m/s2=9.8 N • 밀도=1000 kgf/m3 , 비중량: 9800N/m3 • 압력 (Pa)=1N/m2 1atm=1.013 bar=1.013 x105 Pa=760 mmHg =1.033 kgf/cm2=1.033 x 10 mAq =14.7 psi • 일 또는 열량 (J)=1N-m 1kgf-m=9.8N-m 1kcal=4186 J (N-m) • 동력 또는 공율 (J/s) 1J/S=W (Watt) 1PS=735.5 W 1HP=745.7 W
수력기계의 차원해석 • 차원해석의 목적 • 모델 기계의 시험을 통해서 원형기계의 성능을 예측 • 주어진 수두, 속도 및 유량에서 최적의 유체기계형태를 선정
수력 기계의 성능곡선 Turbine Pump
수력효율 • 터빈의 수력효율의 정의 (유체 E 기계 E) 러너에 실제로 전달된 동력 = 러너가 사용할 수 있는 동력 • 펌프의 수력효율의 정의 (기계 E 유체 E) • 출력 • = • 입력
모델시험 • 모델 시험의 목적 실제 크기의 장치를 설치하기 전에 모델을 만들어서 시험하고 이로부터 기계의 특성에 관한 많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함. • 모델 시험의 조건 • 모델과 원형의 기하학적 상사성 • 모델과 원형의 운동학적 상사성 (상응점의 속도비가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 • 모델과 원형의 역학적 상사성 (상응점의 힘의 비가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 • 기하학적 상사와 역학적 상사를 만족하면 운동학적 상사성을 가진다. • 모델시험의 세가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무차원 그룹의 값이 같아야 한다.
압축성 유체기계의 압축과 팽창 Turbine Compressor
원형과 모델의 효율 • 원형 (p, prototype)과 모델 (m, model)이 상사관계에 있는 경우 무차원 그룹이 같아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러너에 실제로 전달된 동력 = 러너가 사용할 수 있는 동력
무차원 비속도 • 유체기계의 형태가 달라지면 그 특성도 달라진다. • 그 특성을 표시하는 값이 무차원 비속도이며 이에 따라 기기가 선정된다. • 펌프가 설계되면 효율이 최대가 되는 점은 한 점밖에 없으며 이는 수두계수와 유량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 이 경우의 최대 효율점에 해당하는 수두계수와 유량계수를 각각 , 라 하면 무차원 비속도 ( )는 다음과 같으며 단위는 회전수의 단위 (rev, rad)를 따른다. • 수차의 경우는 유량계수 대신에 동력계수가 적용된다. , 유량계수를 직경에 대해 표시하고 이를 수두계수에 대입하면 , , , ,
비속도 •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력가속도 ( )를 빼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비속도라 한다. 이는 무차원 비속도와 다른 값을 가진다. • 그리고 무차원 비속도를 표시하는 N, H 및 Q의 단위도 일관성 없이 사용되므로 비속도의 값이 주어진다면 어떠한 정의 하에서의 값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과제 2 • 아래 표에서 비속도와 무차원 비속도의 상수를 각각 구하시오 • 제출일자: 3/22/2004
연속방정식 • 어떤 검사체적을 통과하는 정상유동에서 질량유량은 일정하다. • 유체의 흐름형태 -. 층류/난류 -. 실제유체/이상유체 (비압축성, 비점성) -. 정상류/비정상류 -. 가역류/비가역류 -. 등류/비등류 -. 회전류/비회전류 -. 정상류의 조건
에너지 방정식 • 에너지 보존법칙 = 열역학 제 1의 법칙 • 어떤 검사체적을 통과하는 정상유동에서 계에 유입되는 열량이과 외부에 수행한 일이 있는 경우 에너지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뉴턴의 운동법칙 • 터보기계가 각속도 로 운전하는 경우의 출력 • 검사체적에 가해진 모든 힘들의 합은 검사체적 내의 운동량의 시간 변화율과 같다. • 검사체적에 가해진 모든 토오크의 합은 검사체적 내의 각운동량의 시간 변화율과 같다.
엔터로피 • 유체 운동이나 중력의 영향이 없는 경우, 열역학 제 1법칙은 다음과 같다. • 열역학 제2의 법칙 • 가역단열과정을가지는 유체계에서의 엔트로피의 변화는 0, 비가역 단열변화인 경우 엔트로피는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 가역과정에서의 열역학 제 2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