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711 Views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 6 주차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 (1).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구조 분석 (1): 경제구조 분석. 1. 공급과 수요구조 2. 산업구조 3. 중간투입과 부가가치 4. 중간수요와 최종수요 5. 수입구조. 1. 경제구조 분석 _ 공급과 수요구조. 산업연관표의 이용
E N D
지역경제 및 공공재정6주차.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분석(1)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구조 분석 (1): 경제구조 분석 • 1. 공급과 수요구조 • 2. 산업구조 • 3. 중간투입과 부가가치 • 4. 중간수요와 최종수요 • 5. 수입구조
1. 경제구조 분석 _ 공급과 수요구조 • 산업연관표의 이용 : 주로 경제구조분석에 이용되었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정부의 경제정책 수립 및 각종 경제적 파급효과 측정에는 물론 경제전반 및 산업구조에 대한 분석 및 예측과 개별기업의 수요예측에 이르기까지 활용범위가 넓음. • 공급과 수요구조 - 공급: 국내생산, 수입의 구성비 - 수요: 국내수요(중간수요, 국내최종수요), 해외수요(수출) 총공급과 총수요의 변화 추이
2. 경제구조 분석 _ 산업구조 • 산업부문은 총산출액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도 동시파악 할 수 있음. • 국민소득계정은 산업구조를 분석할 때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지만 산업연관분석은 총산출액을 기준으로 함. • 2003년 총산출액의 산업별 구성 : 농림어업2.3%, 광업0.2%, 전력·가스 ·수도 및 건설업10.4%, 서비스업40.6%로 제조업 44.5%로 제조업의 비중이 가장 높음. • 1995년~2003년간 산업구조를 비교해보면 농림어업, 광업,제조업의 비중이 낮아지고 서비스 부문의 비중이 높아짐. 산업구조의 변동추이(총산출액 기준)
3. 경제구조 분석 _ 중간투입과 부가가치 • 산업연관표의 열 - 중간투입: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을 위해 투입된 원재료 - 부가가치: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소모 및 순생산세(생산세-보조금) • 중간투입액/총투입액 = 중간투입률 • (총투입액 – 중간투입액)/총투입액 = 부가가치율 ▶ 중간투입률의 변동추이 ▶ 산업별 중간투입률의 추이
4. 경제구조 분석 _ 중간수요와 최종수요 • 중간수요율: 총수요액에서 중간수요액이 차지하는 비율 • 최종수요액: 총수요액 중에서 다른 산업의 중간재로 판매되지 않고, 최종구매자에게 판매되는 금액 ▶ 산업별 중간수요율 추이 ▶ 최종수요 항목별 구성 추이
4. 경제구조 분석 _ 중간수요와 최종수요 • 후방연쇄효과(backward linkage effects) : 다른산업으로부터 중간재를 구매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중간투입률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함. • 전방연쇄효과(forward linkage effects) :다른산업에 중간재를 판매하는 정도 즉, 다른 부문의 생산에 중간재로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중간수요율로 확인이 가능함. • 각 산업의 중간투입률이나 중간수요율이 전산업의 평균중간투입률이나 평균중간수요율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됨.
4. 경제구조 분석 _ 중간수요와 최종수요 • 중간투입률과 중간수요율에 의한 산업유형 분류 15(수송장비), 14(정밀기기), 13(전자 및 전기기기) = 전방연쇄효과 낮고 후방연쇄효과 높은 산업 10(제1차금속제품),8(화학제품), 5(목재 종이제품) = 전후방연쇄효과가 모두 높은 산업 25(공공행정 및 국방), 26(교육 및 보건) = 전후방연쇄효과가 모두 낮은 산업 2(광산품),1(농림수산업) = 전방연쇄효과가 높고, 후방연쇄효과가 낮은 산업
5. 경제구조 분석 _ 수입구조 • 수입구조 분석방법 1) : 총 공급액에서 수입액(최종재 포함)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수입계수를 보는 방법 2) : 국내생산활동을 위해 수입중간재에 얼마나 의존하는지 분석하는 수입의존도 분석 3) : 수입상품 구성비 각항목별수입액 총수입액 수입액 총공급액 수입중간재투입액 총투입액 X100 X100 X100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구조 분석 (1):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 1. 최종수요와 생산유발 • 2. 최종수요와 부가가치유발 • 3. 최종수요와 수입유발
1.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생산유발 • 일정기간 중 한나라에서 생산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종류나 그 규모는 최종수요 구성이나 크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각 산업부문의 생산활동은 최종수요의 변동과 일정한 함수관계를 가짐. • 산업연관분석은 산업부문별 투입구조가 일정기간 안정적이라는 가정하에 최종수요의 변동이 각 산업부문의 생산활동에 미치는 직·간접 파급효과를 계측,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음. • 이와 같은 분석에는 생산유발계수표가 활용되는데, 최종수요에 따른 생산유발효과와 수입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정확히 계측하기 위해 국산과 수입을 구분하여 작성한 형의 생산유발계수 활용함.
1.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생산유발 • 생산유발계수: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각 산업부문에서 직·간접으로 생산되어야 할 산출액. • 산업부문별 열합계는 그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할 경우 국민경제 전체에 생산되어야 할 직·간접 산출액. • 2003년 제조업에 최종수요 한 단위 발생에 따른 전산업에 유발되는 직·간접 생산유발효과는 1.972단위 • 2003년 국산품 최종수요 975조2782억을 충족시키기 위한 직·간접 생산유발효과는 1740조9453억원 (부록참조) 산업별 생산유발계수
1.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생산유발 • 생산유발 최종수요항목별 의존도 - 액수는 부표5-1참조 - 2003년도 생산유발의 소비의존도:48.0% = (707조6303억원(민간소비지출) +127조8769억원(정부소비지출) /1740조9453억원)*100 - 2003년도 생산유발의 투자의존도:29.5% = (317조5899억원(민간고정자본) +79조2767억원(정부고정자본) -5조5992억원(재고증가)) /1740조9453억원)*100 - 2003년도 생산유발의 수출의존도:22.5% = (514조1707억원/1740조9453억원)*100 2003년 최종수요1단위 증가=1.682단위 생산유발 2003년 소비1단위 증가=1.572단위 생산유발 2003년투자1단위 증가=1.688단위 생산유발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계수(2003년)
1.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생산유발 • 영향력계수 : 어떤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전산업부문에미치는 영향 : 즉 후방연쇄효과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 계수 : 당해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합계를 전산업의 평균으로 나눈값 • 감응도계수 :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단위 증가할 때 어떤산업이 받는 영향 :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 : 그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합계를 전산업의 평균으로 나눈 값 Ex) 농림수산업 영향력 계수 = 농림수산업 열합계(1.680)/전산업 평균(1.849) = 0.909 농림수산업 감응도 계수 = 농립수산업 행합계(1.792)/전산업 평균(1.849) = 0.969
2.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부가가치유발 • 최종수요에 의한 부가가치 유발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형의 부가가치유발계수를 활용 • 산업부문별 부가가치액 = 부가가치유발계수행렬 x 최종수요벡터 = • 최종수요 1단위 증가-> • 전산업의 부가가치가0.741이 유발됨 • 부가가치유발의 최종수요항목별 의존도 • (최종수요항목별 부가가치 유발액/총 부가가치 유발액)*100 • 2003년 소비55.5%, 수출21.6%, 투자22.9%에 의해 부가가치가 유발됨 • 액수는 부표<7-1> 참고 • 총부가가치유발액=766,978,145,000,000 • 소비1단위 증가-> • 전산업의 부가가치0.800 증가 • 투자1단위 증가-> • 전산업의 부가가치0.715 증가 • 수출1단위 증가-> • 전산업의 부가가치0.647 증가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 최종수요 항목별 부가가치유발계수
2.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부가가치유발 • 외화가득률 : 수출액에서 수출상품을 생산하는데 사용한 원자재액 공제 : 산업연관표에서는 직접 투입된 수입원자재액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유발된 수입액까지 공제 : 수출상품의 경우 1에서 수입유발계수를 뺀 부가가치유발계수와 같은 개념 • 부가가치율과 생산유발계수가 외화가득률에 영향을 미침. • 수출품은 대부분 시장가격으로 결정되고 수입이 불가피한 중요소재부품은 독과점원리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는 경우 수출품의 수출가격이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수입부품이 가격조정이 불가능한 경우 수출입상품의 가격만으로 외화가득률이 낮아짐. 유도식= =부가가치 유발계수 단, 부가가치율, :생산유발계수, E: 수출액 벡터
3.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수입유발 • 최종수요에 의한 수입 유발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형의 수입유발계수를 활용 • 산업부문별 수입유발액 = 수입유발계수행렬 x 최종수요벡터 + 수입품최종수요액 = 산업별 수입유발계수 • 수입유발의 최종수요 항목별 의존도 • (최종수요 항목별 수입유발액/ 수입총액)*100 • 2003년소비의존도: 39.5%, 투자의존도: 24.6%, • 수출의존도: 35.8% • 액수는 부표<6-1> 참고 • (2003년)소비의 수입유발효과 -> 0.200 • (2003년)투자의 수입유발효과 -> 0.285 • (2003년)수출의 수입유발효과 ->0.353 • (2003년)최종수요의 수입유발효과 -> 0.259 최종수요 항목별 수입유발계수
3. 최종수요 유발효과 분석 _ 최종수요와 수입유발 • 자급자족도 : 국내최종수요 즉 소비 및 투자를 전부 국내생산만으로 자급자족할 경우 필요생산에 대한 실제생산액의 비율을 말함. 산업별 자급자족도 추이
참고: 왕의 남자 및 괴물(영화)이 국민경제에 미친 영향 • 왕의 남자 및 괴물이 국민경제에 미친 영향 - 괴물의 흥행수입: 입장료7000원 x 관객 1,302만명 = 약 911억원 - 왕의남자의 흥행수입:입장료7000원 x 관객 1,230만명 =약 861억원 SONATA와의 파급효과 비교 SONATA 1대 가격= 1,895만원 승용차산업 생산유발계수=2.431 SONATA 1대생산유발액= 4,607만원 승용차산업 부가가치유발계수=0.744 SONATA 1대 부가가치 유발액=1,410만원 승용차산업 고용유발계수=0.00000913 SONATA 1대고용유발인원= 0.174명 괴물1편 =SONATA 3,869대의 생산유발유발효과 =SONATA 5,504대의 부가가치유발효과 =SONATA 6,200대의 고용유발효과 왕의남자1편 =SONATA 3,655대의 생산유발효과 =SONATA 5,200대의 부가가치유발효과 =SONATA 5,900대의 고용유발효과 영화산업 생산유발계수=1.956 괴물의 생산유발액=1.956x911억원=1,782억원 왕의남자의 생산유발액=1.956x861억원=1684억원 부가가치 유발계수=0.853 괴물의 부가가치유발액=0.852x911억원=776억원 왕의남자의 부가가치유발액=0.852x861억원=733억원 괴물의 고용유발인원=1,084명 왕의남자의 고용유발인원=1,02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