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3. 농민의 저항

3. 농민의 저항. 농민의 유랑 농민 의식의 성장 홍경래의 난 진주민란. 1) 농민의 유랑. 농민 생활의 궁핍 삼정 문란 , 탐관 오리의 착취 , 자연 재해 심화 : 홍수 , 가뭄 , 전염병 농민의 유랑 화전민 , 광산 • 수공업촌의 품팔이 간도 , 연해주로 이주 잔존 농민의 부담 가중  농촌 피폐. -' 춘향전 ' 암행어사 이몽룡의 시 -. 金樽美酒千人血 ( 금준미주천인혈 ) 玉盤佳肴萬姓膏 ( 옥반가효만성고 ) 燭淚落時民淚落 ( 촉루락시민루락 )

Download Presentation

3. 농민의 저항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3. 농민의 저항 농민의 유랑 농민 의식의 성장 홍경래의 난 진주민란

  2. 1) 농민의 유랑 • 농민 생활의 궁핍 • 삼정 문란, 탐관 오리의 착취, • 자연 재해 심화 : 홍수,가뭄,전염병 • 농민의 유랑 • 화전민, 광산•수공업촌의 품팔이 • 간도, 연해주로 이주 • 잔존 농민의 부담 가중  농촌 피폐

  3. -'춘향전' 암행어사 이몽룡의 시- 金樽美酒千人血(금준미주천인혈) 玉盤佳肴萬姓膏(옥반가효만성고) 燭淚落時民淚落(촉루락시민루락) 歌聲高處怨聲高(가성고처원성고) 금동이의 아름다운 술은일만 백성의 피요 옥소반의 맛좋은 안주는 백성의 기름이라 촛불의 눈물이 떨어질 때 백성의 눈물이 떨어지고 노래 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 높았더라

  4. 홍수의 피해 • 1729년 : 함경도 1,000여 명 사망 • 1832년 : 전국 7,670여 호 유실293명 사망 • 1845년 : 관서지방 4,000여 호 유실500여 명의 사상자 • 1856년 : 해서지방 5,000여 호 인가 파괴 • 홍수로 수재민이 다수 발생 농촌을 떠나 유랑민이 된 경우가 많음

  5. 기근(흉년이 들어 식량이 부족함) • 17c 중엽~19c : 규모가 큰 기근이 52회 • 1672년 : 전국, 기민 68만 명, 6월의 아사자만 1만 9천여 명 • 1733년 : 연인원 40여 만의 기민, 1만 3천여 명 아사 • 1763년 : 호남 지방, 48만 의 기민 • 1792년 : 해서, 관서 지방, 46만 명 기민 • 1839년 : 전국 기민의 연인원 839만 명(전국 인구 758만 보다 많음) • 빈번한 기근으로 대규모의 유랑민 발생

  6. 전염병의 유행 • 17c 중엽~ 19c 중엽 • 피해가 큰 전염병(콜레라, 장티푸스, 천연두 등)이 79회나 발생 • 1699년 25만여 명 사망 • 1742년 수십만 명 사망 • 1749년 50만-60만 명 사망 • 1799년 12만 8천 명 사망 • 1821~1822년:콜레라 수십만명 사망

  7. 2) 농민 의식의 성장 • 농민층의 의식 성장  저항 • 정부 및 탐관 오리 비방(벽서,소청)납세 거부,집단 항의, 수령 모욕 • 관아 습격, 탐관 오리 폭행, 도적화 • 양반의 불만 증대 • 세도가와 연결되지 못한 지방 양반들의 불만 고조 : 관직 소외 • 19c : 전국적 농민 봉기 • 홍경래 난, 진주 민란

  8. 19c민란

  9. 3) 홍경래의 난(1811) • 원인 • 세도 정치하의 농민층의 시달림 • 서북 지방인에 대한 차별 대우 • 홍경래(몰락 양반)의 봉기 • 참여 : 빈농, 광부, 품팔이꾼 • 청천강 이북의 여러 고을 점령 • 정주성 싸움에서 진압됨(1812) • 영향 : 농민 각성 계기 이후 농민 봉기에 큰 영향

  10. 4) 진주 민란(1862) • 원인 : 경상 우병사 백낙신의 착취 • 봉기 : 유계춘(잔반) + 농민층 • 결과 : 전국적 농민 봉기 확산의 계기(함흥 ~ 제주도)  임술 봉기 • 농민 봉기의 의의 • 정치적 혼란,삼정 문란, 탐관오리의 가렴주구에 항거하여 사회적 불만을 나타낸 농민층의 자각 운동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