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likes | 1.05k Views
제 33 장 물질관련장애 . P 534-. 학습목표. 1. 남용 , 의존 , 중독 , 금단을 정의한다 . 2. 물질관련장애의 원인과 관련된 소인에 대해 토의한다 . 3. 알코올 및 기타 약물사용 시의 건강위험을 자가 사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4 . 알코올 및 기타 약물문제를 지닌 대상자의 역기능적 행동유형을 사정한다. 5 . 남용약물의 약리작용을 설명한다. 6 . 남용 및 의존과 관련된 개념들을 정의한다. 7 . 약물 및 알코올 문제를 지닌 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을 세운다.
E N D
제 33장 물질관련장애 P 534-
학습목표 1. 남용, 의존, 중독, 금단을 정의한다. 2. 물질관련장애의 원인과 관련된 소인에 대해 토의한다. 3. 알코올 및 기타 약물사용 시의 건강위험을 자가 사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4. 알코올 및 기타 약물문제를 지닌 대상자의 역기능적 행동유형을 사정한다. 5. 남용약물의 약리작용을 설명한다. 6. 남용 및 의존과 관련된 개념들을 정의한다. 7. 약물 및 알코올 문제를 지닌 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을 세운다. 8. 간호계획 시 이중진단 여부를 확인한다. 9. 물질사용 및 남용과 대상자의 건강 및 간호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Ⅰ. 개념 • 뇌에 영향을 주어 의식이나 마음상태를 변화시키는 물질: ⅰ) 합법적 약물 또는 물질 : 진정 수면제, 항불안제,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alcohol, 카페인, 담배 ⅱ) 비합법적인 물질 : 아편류, 정신자극제, 환각제, 방향성 물질(본드)
1. 물질관련 장애 용어 정의 • 남용(abuse) : 반복적인 물질사용으로 인해 해로운 결과가 명백하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부적응적 물질사용 • 물질중독(addiction) : 최근의 물질섭취나 노출로 인해 가역적인 물질 특이적 증후군이 발생하는 것. • 심리적 의존(psychological dependence) : 불쾌감 해소나 쾌감을 얻기 위해 특정 약물 사용을 반복하고자 하는 욕구가 지나칠 때. • 신체적 의존(physical dependence) : 물질의존 물질과 관련된 문제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인지적, 행동적, 신체적 증상군 때문에 물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 • 내성(tolerance) : 급성중독상태 혹은 바라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물질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 • 금단증상(abstinence syndrome) : 장기간 과도하게 사용한 물질을 중단하거나 감소시켰을 때, 생리적, 인지적인 증상을 포함한 물질 특유의 부적응적 행동변화가 나타나는 것.
2. 물질관련 장애 원인 • 생물학적 요인 • ⑴ 유전적인 증거를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 • ⑵ 약물남용과 관계 깊은 신경전달물질 - opiate, dopamine, GABA, serotonin • 심리적 원인 •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많다. 우울증과 관련 • 인격발달이 구강기에 fixation • 행동이론 • 조건화(conditioning)이론 • positive reinforcement된다(양적인 강화). • negative reinforcement( 물질의 부작용 측면)
Ⅱ. 아편류(Opioid substances) • 아편의 종류 • Morphine,Heroin,Codeine,Hydromoirphone • Methadone, Meperidine(Demerol), Fentanyl, • Propoxyphene, Nalbuphin, 감기약(러미라)에 포함된 dextromethorphan ※paregorictincture : 장운동 억제 위해 사용 ※Pentazocin(talwin) : 진통효과(+) ※아편 길항제: noloxone, naltrexone, nalophine, levallophan, apomorphine ※아편류 강화제와 길항제를 겸한 물질 : pentazocine, batorphenol, bupremorphine
아편 중독 증상 ⑴ 경도의 중독 • 다행감, 따뜻한 느낌, 사지의 무거운 느낌, 구갈, 홍조, 가려운 느낌, 용량증가와 더불어 주의력과 기억장애, 무감동, 정신운동 지연, 판당장애, 사회적 직업적 기능의 장애, 망상, 환각, 조증, 우울 기분등도 가능 ★ 신체증상 : 동공축소, 식욕상실, 성욕상실,졸음, 오심, 구토, 변비, 진통 • 용량이 증가되면 : 혈압강하, 체온하강,서맥 • 대량복용시 : 진전, 경련, 섬망 ½, 혼수, 폐부종 • 장기복용시 : 변비, 성욕감퇴, 불안
아편 중독 증상 • ⑵ 금단증상 • 투여중단 6-8시간 후에 나타나기 시작, 36-72시간에 최고조, 점차 약화, 7-10일간 지속 • Meperidine : 8-12시간에 최고조, 4-5일만에 끝. • Methadone : 1-3일만에 시작 10-14일간 지속 ① 금단 12-14시간 후 : 아편류를 찾는 행동, 사지통증, 재채기, 식욕감퇴, 동공산대, 피부홍조, 오한, 발열 ② 36시간후 : 근육경축, 초조, 불면, 맥박증가, 혈압상승, 구토, 설사 ③ 48-72시간 : 최고조에 달하다 경련 ④ 5-10일에 걸쳐 서서히 회복 ⑤ 잔류증상 :우울, 과민, 진전, 허약상태....
아편 중독 치료 • 중독상태 • 대증 요법을 실시, 세심한 관찰 • 과량: opiate antagonist • Naloxone사용(진단목적으로 사용), Nalorphine • Levallophan, Cyclazocine, Naltrexone • 금단증상치료 • Methadone 유지요법, Clonidine, lofexidine, • 1-methadyl acetate, levo-α-acetyl-methadol, • Propoxyphene, napsylate\
Ⅲ. 진정수면제(Sedative-hypnotics) • 바비튜레이트계 약물 임상 양상 • secobaraital, phentobarbital, phenobarbital, amobarbital • 중독증상-꿈과 같은 상태, 다행감, 말이 많아지고 비현실감, 이인증 • 신경학적 증상-호흡마비, 혼수, 심혈관계 장애 • 금단증상-구토, 무력감, 자율신경계 기능항진(발한, 심계항진), 불안, 기립성 저혈압, 손·혀·눈꺼플의 진전, 불면, 격정, 환각·망상, 대발작 경련, 섬망
진정 수면제 • 비Barbiturate계 수면제 임상양상 • methaguaione, glutethimide, chioral hydrate, ethchlorvynol 등이 흔히 사용 • 중독증상 : 다행감, 이인증, 섬망, 경련, 사망, 심장호흡억제는 많지 않음, 구갈, 현훈, 두통, 코피, 오한, 설사, 불안, 공황, 이상감각 • 금단증상 : 불안, 식욕감퇴, 두통, 악몽, 환각
과량 복용시 치료 : 과량 복용시: 위세척 해준다. v/s check 뇌기능 감지 I/V 확보 호흡기 확보 금단증상의 치료 입원하여 대증요법 실시 같은 약물을 적당량 투여하면서 점차 감량. 금단과정은 long acting drug 인 phentobarbital로 대치 후 점차 감량 금단치료가 끝나면 정신치료와 가족 및 사회적 도움을 받는 방향으로 유도 Benzodiazepine 금단증상인 경련을 치료하기 위해 Carbamazepine을 사용 진정수면제 치료
중독증상 바비튜레이트계보다 비교적 안전 졸음, 보행실조, 저혈압, 심장, 호흡기능 억제, 착란등 알코등 다른 물질과 병용하면 위험할 수 있다. 금단증상 치료용량을 1개월이상 복용하다가 중단하면 2-3일 후부터 나타난다. 증상 - 불안, 불쾌감, 팔다리 저림, 빛이나 소음이 싫고, 복통, 불면, 진전, 오심, 발한, 경련, 격정, 망상, 환각, 섬망 등 benzodiazepine 장기간 복용시 - 지속적 치매나 지속적 기억장애 가능 Ⅳ. 항불안제(Anti anxiety drugs or anxiolytics)
항불안제 예방 및 치료원칙 • 항불안제 및 장기단 복용시 만성중독에 대한 예방 및 치료원칙 • 예방 : 의사처방시 알콜이나 기타 약물을 남용하는 사람은 조심해야 한다. • 처방하더라도 단기간 처방하고 끊을 때도 서서히 감량해라. • 치료 : 중독 상태 치료시 상용량을 알아내서 내성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 barbiturate 치료와 유사
Ⅴ. 정신자극제(Psycostimulants) • 정신자극제 분류 1) Amphetamine계 약물 ① amphetamine(benzedrine) ② dextoramphetamine(dexedrine) ③ methamphetamine(methedrine, 히로뽕(phillopon) 2) methylphenidate(ritalin) 3) pemoline(cylert) • etc.cocaine
정신자극제 역학 및 약리작용 • 역학 • 각성이 요구되는 사람: 학생, 운전기사 • 체중 목적으로 사용하다가 남용 •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아동들에서 과잉 운동 장애, 주의력 결핍시 • 비만증 치료제로 사용 • 약리작용 • 시냅스에서 도파민 유지를 증가시키고 재흡수를 차단하는 작용
정신자극제 임상양상 • 중독증상 • 소량에서는 고양, 다행감, 친밀감, 주의기능 증가, 식욕↓, 통증가↓, 불안, 공황,......, • 부정맥, 과호흡, 구토, 설사, 성욕증가 또는 감퇴 • 대량투여 • 섬망, 감정고양, 다행감, 전능감, 신체적 힘이 증가, 공격적, 격정, 우울, 편집증, 환각상태, 살인, 폭력행위, 심근경색과 같은 통증, 고혈압, 심장혈관계 기능의 파탄, 고열, 경련, 뇌출혈, 사망
Amphetamine psychosis • 정신분열증과 유사한 상태(정신병적 상태) • ★ 정신분열증과 차이점 ① 사고 내용의 추상 능력이 보존된다. ② 감정 둔화가 별로 없다. ③ 경과가 일주일 이내이다. • ☆ DDX: • coccain 중독과 유사, 정신 분열병, 조증,알코올 금단 증상 • 예후 : 8-72시간 내에 회복. • 치료 : dopamine blocker인 antipsycotics로 치료.
정신자극제 금단증상 • 장기 남용 후 중단할 때 나타나는 금단증상 중 가장 두려운 것이 우울증상 • 기타 불쾌감, 불안, 악몽, 과민성, 피로감과면 또는 불면, 격정, 진전, 두통, 복통.... • 금단 2-4일간 가장 심하고 이후 1주일이내에 소실된다.
정신자극제 복용 후 치료 ①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회복하는 수가 많다. ② 지지적이면 된다. ③ 환자가 자신과 주위 사람들 폭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④ 자극을 줄이고 조용한 밤에 둔다. ⑤ 정신병적 상태에서는 haloperidol 같은 항정신병 약물이나 항불안제 투여한다. ⑥ 금단증상이 오는 우울증은 항우울제로 치료할 수 있다.
Ⅵ. 환각제(Hallucinogen) • 환각제의 종류 • 금단증상은 거의 없다. • 환각제 관련 정신장애는 의존, 남용, 중독, 지속적 지각장애, 중독섬망, 정신병적 장애, 불안장애 등 1) LSD(α-lysergic acid diethylamide-25) 2) Mescaline 3) Psilocybin과 Psilocin(미국과 멕시코의 토종버섯추출물) 4) Amphetamine류 5) 항콜린성 물질: atropine, scopolamine 6) Bromide
환각제 약물별 특징 • LSD : 내성이 빨리 발현, 신체 의존이 드물고, 중독증상 있을 때 haloperido, benzodiazepine로 치료 • Mescaline :심리적 의존은 있으나 금단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 • Psilocybin과 Psilocin : 사망 위험 크다. • Amphetamine : 합성 Amphetamine, LSD 효과 공유. • 항콜린성 물질 : 환각 작용, 외부 열감, 발진, 구갈, 고열, 무력감, 착란, 섬망, 혼수 나타남. • Bromide : 2-6주가 증상 지속. 치료는 sodium cloride로 치료.
환각제 중독증상 치료 • 환각제 중독증상의 일반적 치료 ① 감정적지지 ② diazepam 같은 항 불안제 투여. ③ 심한 정신병적 상태 : haloperidol 같은 항 정신병약물 투여
Ⅶ. 마리화나(Marijuana):대마잎줄기건조 • 중독증상 ① 다행감 ② 감각의 예민화, 시간, 개념의 확대 ③ 이인증 ④ 운동기능의 장애 등이 나타나고 30분에 최고조에 달하고 2-4시간 지속 ⑤ 결막충혈, 식욕, 성욕증가 ⑥ synesthesia ⑦ 인지장애, 섬망
Ⅷ. 휘발성 용매(Volatile solvents) • 종류 • 본드흡입, 부탄가스 흡입, nitrogen oxide, ether, chlorofom, 각종 도료의 용매, 신나, 에어로졸, 라이터 기름, 니스, 고무 시멘트, 페인트 스프레이, 구두약, 타자기 교정액 등 • 작용기전 ① 중추 신경 억제 ② 5분만에 효과가 나타나 30분 내지 수 시간 지속 ③ 술과 같이 사용 시 효과가 오래감 ④ 내성은 생기나 금단 증상은 뚜렷하지 않다.
휘발성 용매 중독 증상 • 중독증상: • 다행감, 붕 뜨는 느낌, 공포, 착란, 피해망상, 환각,섬망, 정신병, 무감동, 충동, 난폭성, 우울, 공황 • 신체적 증상 : 오심, 구토, 식욕상실, 반사기능 저하, 대뇌손상,장기간 사용할 때 치매,대뇌 위축가능 • 골수기능저하, 백혈병, 구토와 투혈로 위장관계 증상, 말초 신경염, 두통, 감각손실, 납에 의한 뇌손상, 신장 및 간기능 장애, 호흡마비나 심장장애로 사망 • 금단증상 • 드물다. 수면장애, 과민, 발한, 오심, 구토, 빈맥, 망상, 환각
휘발성 용매 중독 치료 • 치료 ① 흡입 중단 ② 의학적 합병증의 치료 ③ 정신병 상태에서는 antipsychotics 사용→다른 물질 사용으로 옮겨갈 수 있기 때문에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
카페인 • 종류 : 커피, 차, 청량음료, 진통제, 감기약 • 약리작용: 반감기는 3-10시간. 복용한지 30-60분 후에 최고 농도에 달한다. • 대량 사용시 정신병적 증상 악화. • 중독증상 : 불면, 불안, 과민, ④ 안면홍조 • ⑤ 위장장애 ⑥ 부정액 • ⑦ 호흡곤란 ⑧ 근육의 twitching ⑨ 빈뇨, 발한 • 장기 사용시 : 위궤양 악화, 심장 부정액 일으킬 수 있다.
카페인 • 여성에서 유방에 fibrocystic disease를 일으킨다. • 내성은 불확실 • 심리적, 신체적 의존을 일으킨다. • 대량 사용할 때: 언어장애, 사고장애, 격정, 탈진, 이명, 환시 • 10mg이상 복용시: 경련, 호흡곤란, 사망
카페인 • 금단증상: • 두통, 피곤, 좌불안, 우울, anhedonia, 오심, 구토, 근육통.... • →공식적으로 진단에 금단은 인정하지 않음 • 치료: • ① 복용 중단 • ② 진통제, 항불안제등 대승 요법을 해준다. • ③ 1-2주 감량 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