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890 Views
+. +. +. +. +. +. +. +. +. 제 1 장 유아수학 교육의 기초. 제 1 부 유아수학교육의 배경. +. CONTENTS. +. +. Ⅰ. 유아수학교육의 중요성. +. Ⅱ. 유아수학교육의 성격. +. Ⅲ. 수학적 지식의 특성. +. Ⅳ. 유아의 수학적 사고. +. Ⅴ. 목적 및 방향. +. 유아수학교육의 중요성. 21 세기 미래사회 핵심 역량. STEM. STEAM. Art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
E N D
+ + + + + + + + + 제1장 유아수학 교육의 기초 제1부 유아수학교육의 배경
+ CONTENTS + + Ⅰ. 유아수학교육의 중요성 + Ⅱ. 유아수학교육의 성격 + Ⅲ. 수학적 지식의 특성 + Ⅳ. 유아의 수학적 사고 + Ⅴ. 목적 및 방향
+ 유아수학교육의중요성 21세기 미래사회 핵심 역량 STEM STEAM Art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 . Key Word Science & Math Education 출처: 조선일보 2011. 5. 22일자/ 중앙일보 2011.4.27일자
+ 고정관념 1. 수학 및 수학교육의 성격 학문의 기초가 되는 주요 학문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 수학은 숫자만 다루어야 한다 수학교육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아동들의 수학 공포증 부모나 교사들의 무관심
+ 1. 수학 및 수학교육의 성격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한 잘못된 인식(Smith, 1997) • 수학은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이 따로 있다? • 수학은 산수와 같은 것이다? • 수학을 가르치려면 교과서가 있어야 한다? • 계산기는 머리를 녹슬게 할 것이다? • 셈하기에는 연필과 종이가 필요하다? • 조작 교구가 수학을 가르친다? • 연습을 많이 하고 설명을 들으면 수학을 배울 수 있다? • 능력별로 집단을 나누어 수학 교육을 해야 한다? • 실제 활동 중에는 평가를 할 시간이 충분치 않다?
+ 2. 수학적 지식의 특성 <표1-1> 지식 유형의 비교 물리적 지식 논리· 수학적지식 사회적 지식 지식의 근원 사물 유아 성인 습득방법 사물에 대한 신체활동 정신적 활동 직접적인 가르침 경험적 추상 내성적 추상 발견 발명 사 례 공은 물에 뜬다 공은 둥글다 공은 장난감의 일종이다 두 공은 같다(크기) 두 공은 다르다 (색깔) 공 Ball 球
+ ‘수’는 대표적인 논리·수학적 지식 2. 수학적 지식의 특성 1) 논리·수학적 지식 1이 10개면 10이 1개 인 것과 같다 10이 10개면100이 1개인 것과 같다 <그림1-1> 물체와 그 이름은 물체들 간의 관계와 같지 않다(Van De Vile, 2007).
+ 2. 수학적 지식의 특성 2)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 • 사물이나 상황의 관계에 관한 지식 • 비형식적 지식 절차적 지식 • 공식이나 절차 혹은 수학 기호에 관한 지식 • 형식적 지식 • 계산은 잘하나 응용/문장체 문제를 어려워하는 학생은 절차적 지식에 능하나 개념적 지식이 없기 때문 • 연령이 어릴수록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균형을 이루도록 지도 (예, 손가락으로 세기)
+ • 자다깬다 • 배고파 운다 • 우유 • 놀다가 잔다 • 배고파 운다 • (1) 영아기 (0∼2세) 3. 유아의 수학적 사고 • 감각과 운동능력을 이용하여 주변 세계 탐색 • 크기, 무게, 형태, 시간, 공간 등 수학적 개념 학습 시작 • 예) 시간 • ‘대상 영속성’개념과 ‘표상적 사고’가 가능해짐 1) 수학적 개념과 발달단계
+ • 빗자루 • 남아 • 총 • 아빠 • (2) 유아기 (2∼7세) 3. 유아의 수학적 사고 • 성인과 유사한 수학적 개념의 발달이 시작되나 아직 미숙함 : 전조작 • 언어가 급속히 성장하며,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 • 예) • 표상적 놀이에서 상징적 행동을 사용 • 예) • 추상적인 기호(숫자) 이해에 필요한 상징적 기능을 이해 • 중심화 • 비가역적 사고 • 보존개념 부족 • 순서 짓기나 분류하기 시도 1) 수학적 개념과 발달단계 크다-작다 (크기) 늦다-빠르다 (시간)
+ 3. 유아의 수학적 사고 • 연령 특유의 수학적 사고의 성향이 있음 • 교사는 이에 따라 환경구성, 학습경험을 계획 2) 연령적 적합성과 개인적 적합성 (1) 연령적 적합성 • 동일연령이라도 발달스케줄, 사전 지식, 흥미, 능력 등에 개인차 • 같은 과제도 유아마다 다른 과정으로 학습, 학습 결과도 차이 • 교사는 개별 유아의 수준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융통성 있게 조절 (1) 개인적 적합성
+ 4. 유아수학교육의 목적 및 방향 • 생활과 밀접한 관련 • 환경에 대한 이해에 필요 •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수학적 소양이 요구됨 유아 수학교육이 중요한 이유 • - 인지 발달의 원동력 • - 합리적인 생활 자세 • - 수학에 대한 흥미를 형성하기 좋은 시기
+ 넬슨과커크패트릭 버루디 4. 유아수학교육의 목적 및 방향 • 유아가 매일의 활동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사건들의 순서와 의미를 알도록 돕는 것 • 유아들이 비형식적 방법으로 터득한 수학적 개념을 보다 더 의미있게 증진시키는 것 • 유아가 매일의 활동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사건들의 순서와 의미를 알도록 돕는 것 • 유아들이 비형식적 방법으로 터득한 수학적 개념을 보다 더 의미있게 증진시키는 것 미국수학교사 협의회 • 수학적 소양의 중요성을 반영해야 함 유치원 교육과정(2007) ‘탐구생활’영역의 ‘수학적 기초능력 기르기’ 유아가 주변을 탐색하고 놀이하면서 부딪히는 문제를 논리·수학적으로 해결하는 경험을 통하여 기초적인 수, 공간 및 도형과 측정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며, 규칙성을 이해하고 자료 정리 및 결과 나타내기의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4. 유아수학교육의 목적 및 방향 • 문제해결력, 탐구력, • 추리력, 수학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 • 수학에 대한 긍정적 • 태도와 수학 학습의 가치 인식 유아수학교육이 나아갈 방향 (5W1H) • 유아가 매일의 활동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사건들의 순서와 의미를 알도록 돕는 • 인지적 측면과 함께 정의적 측면을 강조 유아수학 교육의 목적 Why 유아수학 교육의 내용 What • 폭넓은 내용을 포함 • 수학적 개념들을 상호연관적으로 • 유아의 능동적 참여를 통한 수학적 지식 구성 • 이를 위해 유아에게 의미, 흥미 있는 수학활동 기회 제공 유아중심의 수학교육 Who
+ 3세 4∼5세 5세 4. 유아수학교육의 목적 및 방향 • 구체적 물체의 탐색 중심으로 시작 • 분류하기 등으로 확장 • 탐색, 발견, 문제해결 등을 중심으로 유아수학교육이 나아갈 방향 (5W1H) 일과를 통한 수학교육 When • 유아가 매일의 활동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사건들의 순서와 의미를 알도록 돕는 • 특별히 시간을 마련하기보다 일과(예, 간식시간)를 통한 교육이 바람직함 • 자연스럽게 수학적 개념을 습득 • 수학이 일상생활의 문제해결도구임을 인식 통합적 수학교육 Where • 수학영역뿐 아니라 언어, 미술 등 타영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가정, 지역사회 등과 연계 발달에 적합한 수학 교육 How
+ Eric Carle “Rooster’s off to see the world” 수탉의 세상구경-에필로그 중에서 어린시절 나는 그릇에 사과가 두개 있었는데 하나를 없애면 사과 몇 개가 남게 되느냐는 문제에 자신이 없었다. 우리는 사과를 정말로 없앨 수는 없다. 우리가 사과로 주스를 만들거나 혹은 바구니 속에 사과를 숨기더라도 여전히 사과는 사과이니, 사과가 정말로 없어진 것은 아니지 않은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7777pine&logNo=140128151464
+ 나의 수학경험 돌아보기 • 1 • 2 • 3 • 4 • 수학과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억은 무엇인가? • 수학수업에 학생으로 참여했을때 가장 긍정적/부정적 경험은 무엇인가? • 이제까지 받았던 수학교육에 대해 평가하시오. • 마음에 쏙 드는 이성을 만났는데 그 사람의 직업이 수학자라면? 출처: 조선일보 2011. 5. 22일자/ 중앙일보 2011.4.27일자
+ + + + + + + + +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