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대중 가요 심의 에 대하여

대중 가요 심의 에 대하여. 2006018073 경제학과 양소정. 1. 2. 3. 4. 5. Intro. 논란 발단 배경. 찬 성 입장. 반대 입장. 비 평. Contents. Intro. 영상자료. [ 영상 ] 110812 KBS1. 미디어비평 . < 대중가요심의그때그때달라요 >

chuck
Download Presentation

대중 가요 심의 에 대하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대중 가요 심의에 대하여 2006018073 경제학과 양소정

  2. 1 2 3 4 5 Intro 논란 발단 배경 찬성입장 반대 입장 비평 Contents

  3. Intro. 영상자료 • [영상] 110812 KBS1.미디어비평. <대중가요심의그때그때달라요> http://pmay89.cafe24.com/bbs/zboard.php?id=board_2&page=7&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5904

  4. Intro. 역사 대중가요 심의 역사 1967 1996 1996 2006 • 음반법 제정으로 음반에 대한 사전심의가 의무화 • 사전심의가 강제조항에서 선택조항 • 헌법 재판소의 위헌판결 후 완전 폐지 • 청소년 유해 매체물심의 제도 시행 1990-2000 1970-80 정권의 지배, ‘반공 이데올로기’의 직접적인 반영에 대한 음반심의가 강화. 심의에 통과되지 못한 음악들은 금지곡에 선정되는 대상이 되었음. 성(性)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 반말이나 격식을 차리지 않는 말투, 노골적이고 퇴폐적인 가사, 육체적 사랑을 직접적이고 도발적이게 묘사. 성(性)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 소재의 대상이 당신이나 님, 그녀 등 사랑하는 사람에 대하여 비교적 존중하는 가사 사용. 성에 대한 표현들도 함축적인 의미나 암시하는 표현을 담아 은유적이 면이 많음.

  5. 논란 발단 배경 • 대중 가요에 대한 심의 문제가 떠오르게 된 계기는? 본격적인 논란: 2008년 비의 '레이니즘‘ 문제가 된 가사: '떨리는 네 몸 안을 돌고 있는 나의 magic stick, 더 이상 넘어갈 수 없는 한계 느낀 body shake' 성행위를 연상케 한다는 지적여성가족부 입장: "은유적 표현이기는 하나 '매직 스틱'은 분명히 남자의 성기로 해석될 수 있다"

  6. 논란 발단 배경 • 유해약물 사유로 청소년 유해 매체물 판정 받은 국내 음악 자료: 여성 가족부

  7. 첫째 둘째 셋째 찬성 입장 실제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제 7조와 동시행령 별표 1 "청소년유해매체물의 심의기준" 2호 타 항에 따르면 "청소년 유해약물 등의 효능 및 제조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그 복용 제조 및 사용을 조장하거나 이를 매개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유해 매체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청소년들의 음주 흡연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과 이를 우려하는 많은 부모님들의 입장을 고려하면 과잉심의라는 지적은 옳지 않다. 여성 가족부는 일부 노래의 경우 초등학생 부모들이 가사가 아이들에게 적절치 않다고 민원을 제기해 와 금지곡으로 지정한 것도 있다며 음악을 창작하는 젊은이들은 억울할지 모르지만,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입장은 완전히 다르다는 점도 염두 해 둬야 한다

  8.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반대 입장 1. 편의점 어디서나 술, 담배를 쉽게 팔 수 있도록 허용하는데, 술 담배 가사가 들어간 노래를 규제한다는 것은 앞 뒤가 맞지 않다. 2,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버젓이 담배피고 술 마시는 장면이 나오는데 왜 유독 대중가요만 문제가 되는지 이해할 수 없다. 3. 이 같은 음반심의위원회의 모호하고 자의적인 심의기준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죽이고 창작 의욕을 꺾고 있다. 4. 어린 아이들에게 술, 담배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 청소년들에게 가장 유해한 건 이런 노래 가사가 아니라 어른들의 불신이며 아이들이 이런 노래를 듣는다고 바로 술 담배를 마시고 사지는 않을 것이다

  9. 반대 입장-네티즌들의 반발 *미쓰에이- '굿바이베이비' (아기를 버려서 유해판정) *GG - '바람났어' (유부남이 클럽 가서 청소년 유해판정) *티아라- '롤리폴리' (가슴이 떨려서 유해판정) *처진 달팽이 - '압구정날라리' (신사동 사람들이 서러워서 유해판정) *현아 - '버블팝' (밤늦게 나가 놀아서 유해판정) *2NE1 - '내가 제일 잘나가' (청소년들에게 자만심을 심어줄 수 있어서 유해판정) *애프터스쿨레드- '밤하늘에' (밤길을 여자 혼자 걸어서 유해판정) *지디앤탑- '집에 가지 마' (뭘 할지 몰라서 유해판정) *엠블랙- '모나리자' (눈썹 없는 청소년들이 놀림거리가 될 수 있어서 유해판정) *2NE1 - 'Hate You' (청소년들에게 배타의식을 심어줄 수 있어서 유해판정) *리쌍- 'TV를 껐네' (그냥 방송사들이 별로 안 좋아할 듯) *슈퍼주니어 - 'Mr.Simple' (Ms.Simple은 없다고 여성부에서 태클 들어올 듯) *비 - '부산여자' (광주사람들이 싫어할 수 있어서 방송불가 판정) *달샤벳- '블링블링' (청소년들이 명품에 빠질 수 있어서 유해판정) *걸스데이- '한번만 안아줘' (안는 걸로 끝나지 않을 수도 있어서 유해판정) *바비킴- '사랑 그 놈' (바비킴은 남자인데 '놈'과 사랑을 해서 유해판정) 네티즌들은 여성가족부의 심의에 반발했고, 이에 대한 풍자적 유머가 나오기도 했다.

  10. 관련 설문조사 ※조사대상: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표본수: 700명) 출처: 대중가요 심의제도 논란 토론집(2011)

  11. 미디어 비평 (나의 생각) 음반심의 형평성에 대하여… 음반 심의에 대한 기준이 명확히 없다. 민원에 의해 심의가 이루어지거나 심의 의원들의 자의적인 잣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첫 번째 논점 개선필요 청소년은 보호대상인가에 대하여… 대중가요의 가사로 인해 술을 마신다거나 성적인 행동을 실행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아직 정서적으로 부족한 부분들이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제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 논점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에 대하여… 표현의 자유는 중요하다. 하지만 자유와 방종은 다르다. ‘술’이라는 단어 하나로 심의에 걸리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 생각하지만, 최근 들어 성적인 묘사를 하는 내용의 가요가 많아진 것 같다. 가요의 최대 소비층 중의 하나가 청소년이라 생각 할때 관계자들의 심사숙고가 필요하다. 세 번째 논점 결론: 국민들을 설득 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음반 심의 기준이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

  12. Thank You ! 감사합니다.r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