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9

05. 한옥주거

05. 한옥주거. 공업교육 기술교육 200872134 윤성훈. 목 차. 1-1 움집 1-2 초가집 ( 민가 ) 1-3 기와집 1-4 온돌 1-5 우데기집 1-6 기타 ( 연경당 ). 1-1. 움집. 움집은 무엇인가 ?. 움집은 신석기 시대에서 초기 철기 시대 (B.C 4 세기경 ) 에 걸쳐 인류가 살았던 주거 유적. 움집은 무엇인가 ?.

Download Presentation

05. 한옥주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05.한옥주거 공업교육 기술교육 200872134 윤성훈

  2. 목 차 1-1 움집 1-2 초가집(민가) 1-3 기와집 1-4 온돌 1-5 우데기집 1-6 기타(연경당)

  3. 1-1. 움집

  4. 움집은 무엇인가? 움집은 신석기 시대에서 초기 철기 시대(B.C 4세기경)에 걸쳐 인류가 살았던 주거 유적

  5. 움집은 무엇인가? 지면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중앙에 간단하게 기둥을 세우고 서까래를 벽선에 따라 원추형으로 세운 다음 그 위에 잔 나뭇가지나 풀, 흙 등으로 지붕을 덮어 만든 구덩식 주거

  6. 움집은 어떻게만들까? ① 1미터나 1.5미터 가량 땅을 팝니다.

  7. 움집은 어떻게만들까? ② 한쪽에 입구를 내고 발 디딜 수 있게 턱을 만듭니다. ③ 구덩이 둘레에 작은 구멍을 홈처럼 파고 굵은 나무 삭쟁이를 박아 넣은 후, 비스듬히 세워 그 끝을 중앙에 모아 끈으로 단단히 묶습니다.

  8. 움집은 어떻게만들까? ④ 풀이나 새 같은 것으로 이엉을 잇거나 짐승 가죽으로 덮습니다. 이엉 : 초가집의 지붕이나 담을 이기 위하여 짚이나 새 따위로 엮은 물건

  9. 신석기시대의 움집 <움집터> - 바닥은 진흙을 깔아 다짐 - 원형, 반원형(직경 6m, 깊이는 30~70cm) - 깊이가 깊음

  10. 신석기시대의 움집 <외부> • 출입구는 동남쪽, 서남쪽(햇빛이 잘드는 방향) • - 땅을 파고 둘레에 기둥을 세운 뒤 그 위에 비바람을 막기 위해 이엉을 덮어 만듬.

  11. 신석기시대의 움집 <내부> • 바닥은 진흙을 깔아 다짐 • 중심부에 화덕(노)를 설치(취사 및 난방의 역할) • 화덕 옆에는 저장 구덩 위치(취사에 필요한 물품 보관) • 남자: 출입구 근처에서 간단한 석기(石器)를 만드는 등의 작업을 함 • 여자: 출입구 반대쪽 깊숙한 곳에서 취사 등의 일을 했을 걸로 추정

  12. 신석기시대의 마을 상상도 • 원추형의 작은 움집들이 보인다.

  13. 신석기시대의 움집 생활 모습 • 오른쪽에 사냥하고, 채집한 토끼와 식량이 걸려있다. • 원추형의 지붕을 지탱하고 있는 기둥과 서까래가 보인다.

  14. 청동기시대의 움집(외부) • 직사각형 움집이 주류 • 깊이가 점점 짧아짐 • (점차 주상가옥화) <외부> <특징> 농경사회로 접어들면서 구릉, 배산임수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집단 취락의 형태를 띄게 되었다.

  15. 청동기시대의 움집(내부) • 화로, 저장 구덩의 외부 이동 • (내부 공간의 효율화) • 내부공간이 커서 칸막이 설치 • (주택의 혁명적 변화) <내부> <특징> 농경사회로 접어들면서 구릉, 배산임수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집단 취락의 형태를 띄게 되었다.

  16.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비교 움막터 비교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 원형,반원형 - 사각형태 - 깊이가 깊다. - 깊이가 낮다.

  17.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비교 •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 - 땅파서 집지음(수혈식) - 점차 지상가옥화 • 화덕 중앙에 위치 - 화덕 한쪽 구석 • 강,바다 주변 - 구릉,배산임수 • - 집단취락

  18. 청동기시대(초기)의 집 복원도 • 장방형의 움집(넓이 50m2)으로, 기둥 위에 얹은 서까래가 지표면에 닿아 있다. • 기원전 10세기를 전후한 초기청동기시대의 집으로 추정된다. • [조선유적유물도감](원시편), 88쪽. .

  19. 청동기시대(중기)의 집 복원도 • 장방형의 움집으로, 가운데 높은 기둥을 세워, 내부 높이를 높혔다. 그리고 서까래가 지표면 위로 올라가도록 벽도 쌓았다. • 기둥 밑에 초석을 놓은 것도 있다. .

  20. 청동기시대 움집의 밀집화, 광역화 신석기시대에 비해서 청동기시대에 들어오면서 농경생활의 영향으로 한 곳에 오랫동안 정착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움집이 밀집화되고, 또한 광역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취락의 규모가 커지기 시작했다. <백제 건국초기의 움집과 망루> 출처 : 뉴시스기사(이진영) 2010.09.20

  21. 청동기시대의 마을모습(상상도) • 마을 전체를 환호 및 목책을 두르는 방어시설을 갖추었고, 내부에는 주거공간, 청동기공방, 제사시설(제단 및 소도), 광장, 다락창고, 집짐승 기르는 울타리, 외부의 침입자를 경계하는 망루, 공동집회장소 등이 있었다.

  22. 움집체험 공간 1. 선사 체험 마을(서울 강동구 암사동) : 선사주거지(국가 사적 제267호)를 활용하여 약 6000년 전 우리 조상이 살았던 신석기 시대 생활 근거지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크게 어로ㆍ수렵ㆍ채집ㆍ발굴 체험장과 3개의 체험 마당으로 이뤄져 있다. △ 문 여는 시간 : 화~일요일 오전 9시 30분~오후 6시(월요일은 쉼) △ 찾아가는 방법 : 지하철 8호선 암사역 1번 출구로 나와 마을버스 02번을 타고 선사주거지 정문 앞에서 내린다. 입구에서 오른쪽에 있는 유물 전시관 쪽으로 200m 정도 들어가면 선사 체험 마을이 보인다. △문의: (02)3426-3857, 3867

  23. 1-2. 초가집

  24. 초가의 정의 <초가> 초가는 갈대, 짚(볏짚, 조짚)이나 새(억새풀) 등으로 만든 이엉 또는 그 재료로 지붕을 한 집

  25. 초가집의 구조

  26. 초가집의 구조 볏짚을 언제부터 지붕에 덮기 시작하였는지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으나, 벼농사가 시작된 삼국 시대에 이미 이것을 사용했으리라고 추측된다.

  27. 초가의 실내공간 안방, 건넌방, 부엌, 마루가 있다.

  28. 초가의 외부 공간 장독대, 우물, 뒷간, 마당 등이 있다.

  29. 초가 지붕의 형태 지붕의 이용 초가지붕 이엉줄매기

  30. 초가집의 구분 평면에 따른 분류

  31. 초가집의 구분 벽의 재료에 따른 분류 귀틀집 귀틀 : 네모진 목재나 통나무 따위를 써서 가로세로 어긋나게 짠 틀 토벽집

  32. 초가의 도구 끌쌈지 : 끌을 넣어 보관, 활비비 : 구멍을 뚫는 송곳, 연장괘 : 연장을 넣어두는 보관함 다림줄과 다림추 : 수직상태의 기준을 잡는데 사용

  33. 초가의 도구 꺾쇠 :  양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주로 ‘ㄷ’ 자 모양으로 만든 쇠토막. 두 개의 물체를 겹쳐 대어 서로 벌어지지 않게 하는 데 쓴다.

  34.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남부지방) 남부는 덥기 때문에 초가집이 바람이 잘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한 대부분 'ㅡ'자 모양이다. 열을 식히기 위한 대청마루와 여러 개의 창문이 있다.

  35.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남부지방) • 경남 지방과 경북,전남 일부 지방 • 一자형의 평면 형태가 압도적 • 간잡이는 3칸 또는 4칸의 전퇴집 • 큰방, 작은방, 부엌 • 작은방 앞에는 툇마루를 깔아 사용 • 지붕의 줄매기: 일자매기

  36.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서부지방) • 전라남북도 지방과 충청도 일부지방 • 一자형 3칸 초가와 거의 비슷 • 네칸 또는 다섯칸잡이 집 • 지붕의 줄매기: 마름모매기의 기법과 일자매기

  37.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중부지방) 중부는 남부보단 시원하고 북부보단 덥기 때문에 거의 중간 정도이다. 중부의 초가집은 대부분 'ㄱ'모양이다. 그리고 마루가 있긴 하지만 남부보단 작다.

  38.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중부지방) • 경기도, 강원도,황해도, 충청도 일부 지역 • 주로 ㄱ자형과 ㄴ자형, ㅁ자형의 구조 • 일부 지역에 있어서는 一자형,田자형 주거 • 다양한 주거 형태: 중간 위치의 영향

  39.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북부지방) 북부는 제일 춥기 때문에 마루가 거의 없다. 그리고 집도 'ㅁ'형으로 둘러싸여있어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정주간이라는 특별한 곳이 있다. 정주간 : 부엌과 안방 사이에 벽이 없이 부뚜막에 방바닥을 잇달아 꾸민 부엌. 함경도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40.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북부지방) • 방의 배치 田자형으로 구성 •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하여 복도나 마루가 없다. • 정주간(부엌과 방사이): 현재의 거실

  41.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제주지방) • 방의 배치 田자형으로 구성 •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하여 복도나 마루가 없다. • 정주간(부엌과 방사이): 현재의 거실

  42. 초가집의 과학적 원리&이점 <지붕> 볏짚: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보온효과가 뛰어나며 무게가 가벼운 이점. 가늘고 자연스러운 곡재의 사용으로, 초가지붕의 둥글고 울퉁불퉁한 모습이 보는 사람들을 편안하고 포근하게 한다. 자연의 소재로서 전통흙집에 가장 잘 어울리고 자연 친화적인 대신, 썩기가 쉬워 매년 갈아 지붕 잇기를 하여야 하고, 볏짚으로 인한화재의 위험이 크다.

  43. 초가집의 과학적 원리&이점 바닥 초가는 마루와 구들을 갖춘 집의 구조를 띠고 있다. 계절의 특징이 뚜렷한 나라로 더운 여름에는 시원한 마루에서, 추운겨울에는 따뜻한 온돌방에서 생활할 수가 있다. 온돌 온돌은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방바닥 밑의 구들장을 데워 방안을 따뜻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그 열을 오랫동안 보존 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아궁이에 땐 불로 음식을 조리할 수도 있다.

  44. 초가집의 과학적 원리&이점 벽  체 초가집의 골조를 질이 좋은 소나무를 이용하여 기둥을 세우고 대들보와 도리, 인방 등을 모두 홈을 파서 끼워 맞춤으로 집을 짓기 때문에 나무가 건조되면서 서로 맞물려 아주 튼튼한 집이 된다. 겨울에는 따듯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만들어준다. 벽에 짚을 섞는 이유는 흙벽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넣는 것이며, 흙벽에 균열이 가는 것은 흙의 수분 함수량과 건조시 대기 온도에 따라 갈라짐의 차이가 많이 나타나기도 하며, 미장을 하는 기술에 따라서 갈라짐의 차이도 나타날 수 있다.

  45. 초가집의 과학적 원리&이점 벽  체 흙집이 따뜻한 이유는 흙의 성질은 축열 효과가 높기 때문으로 흙벽은 차가운 온도가 전달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시멘트벽은 찬 기운을 전달하는 시간이 짧다. 짚을 섞어 바른 진흙벽은 단순하고 소박하며 습도를 조절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유리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적인 재료와 달리 인간의 몸에도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6. 민가

  47. 민가의 정의 <민가> 일반 서민의 가정이나 주거를 칭한다.

  48. 민가의 정의 한국의 민가(전통 살림집)는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에 오랫동안 거주하면서 우리에게 물려준 전통이 담겨진 민중의 주택을 의미한다. 민가를 잘 분석해 보면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의 풍토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우리 조상들이 장기간의 시행착오를 통해서 이 풍토에 잘 적응해서 살 수 있는 형태와 구조의 민가를 우리에게 물려주었음을 알 수 있다.

  49. 민가의 정의 민가는 어느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경우보다는 민중문화의 확산 결과에 의해서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민가를 통해서 그 확산 경로와 분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비해서 민가가 지역적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은 한국의 반도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민가는 민중의 건축 문화이며, 귀중한 문화유산의 하나이다.

  50. 민가의 특징 민가에는 농가가 주종을 이루는데, 이 밖에 상가(商家) ·어가(漁家) 등 각종 서민 계급의 주거가 포함되며, 조선시대의 양반계급의 주거에서도 중 ·하층은 일반 서민이나 대농가와 그리 차이가 없는 것은 민가로 취급하였다. 민가의 규모나 형식은 직업이나 신분에 따라 많은 차가 있으며, 지역이나 시대에 따른 변화도 많으나, 시대와 지역의 구별 없이 항상 변함없는 것은 소시민의 주거인 초가삼간 오막살이이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