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수영야류 ( 중요무형문화재 제 43 호 )

수영야류 ( 중요무형문화재 제 43 호 ). ( ) 초등학교 학년 반 이름. 탈놀이 ( 춤 ) 가 뭐예요 ?. 종이나 흙으로 사람이나 동물 모양의 탈을 만들어 쓰고 노는 놀이를 말합니다 . 탈놀이는 각 지방마다 이름이 다른데 , 이를테면 황해도에서는 탈춤 으로 , 경기도 일대에서는 산대놀이 로 , 낙동강을 중심으로 동쪽 ( 부산 ) 에서는 들놀음 으로 , 서쪽인 경남에서는 오광대 로 불립니다 . 이 밖에 화회나 동해안 지역의 별신굿 ,

Download Presentation

수영야류 ( 중요무형문화재 제 43 호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수영야류(중요무형문화재 제43호) ()초등학교 학년 반 이름

  2. 탈놀이(춤)가 뭐예요? 종이나 흙으로 사람이나 동물 모양의 탈을 만들어 쓰고 노는 놀이를 말합니다. 탈놀이는 각 지방마다 이름이 다른데, 이를테면 황해도에서는 탈춤으로, 경기도 일대에서는 산대놀이로, 낙동강을 중심으로 동쪽(부산)에서는 들놀음으로, 서쪽인 경남에서는 오광대로 불립니다. 이 밖에 화회나 동해안 지역의 별신굿, 강릉단오굿의관노놀음, 함경도의 북청사자놀음, 제주도의 입춘굿 등도 있습니다.

  3. 수영야류에대해 알고 싶어요!!! 수영야류는 매년 정월 대보름에 그 해의 모든 일이 잘 되기를 기원하는 놀이로 수영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전통 민속놀이입니다. 야류(野遊)란, 들에서 노는 놀음을 말하며 들놀음이라고도 합니다. 수영야류의 순서 1.지신밟기 지신밟기패가 수영야류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곡식과 돈을 얻습니다. 2.탈제와시박 탈제(가면제)는 들놀음에 쓰일 탈을 만들고 간단한 제물을 차려서 고사를 지내는 것을 말합니다. 시박(試瓠)이란 탈놀음에 출연하기 위해 각자 연습한 연기를원로들 앞에서 심사를 받아 배역을 결정하는 오늘날의 오디션 받는 것과 같습니다. 3.동제당 고사 그 해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 더불어 들놀음이 무사히 마치기를 비는의미로 동제당과 먼물샘에서 고사를 지냅니다. 4.길놀이 대보름달이뜰 무렵 들놀음 준비가 끝난 마을 사람들이 먼물샘이나 수영다리 근처에 모여서 풍물을 치며 춤을 추는 놀이입니다. 일종의 가장행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한바탕 춤놀이 길놀이 행렬이 끝나면, 모든 사람들이 어울려 제 각기 추고 싶은 춤을 추며 즐깁니다.마음대로 재주를 뽐내기도 하면서 감탄과 웃음을 주는 놀이입니다. 6.탈놀음 한바탕 춤놀이가끝나꼬 밤이 깊어지면 탈놀음을 알리는 수양반이 등장합니다. 이어서 차양반, 셋째양반, 종가도령이 등장하면서 탈놀음이 시작됩니다. 탈놀음은 수영야류의 중심적인 부분 입니다. 7.탈소각제 밤 12시쯤 놀이가 끝나면 고사상을 차려놓고 그 앞에 탈을 모아 태우며 절을 합니다. 이것은 수영 야류를 무사히 마친 것에 감사하고, 마을의 태평과 풍요를 기원함은 물론 각 가정의 행운을 비는 의식입니다. 동래야류는 뒤풀이를 반드시 행하는 대신 탈소각제가 없으나 수영야류는 뒤풀이 대신 탈을 태우는 의식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4. 탈놀음은 어떤 내용인가요? 수영야류의 탈놀음은 양반과장, 영노과장, 할미*영감과장, 사자무과장의 4과장으로 이뤄졌습니다. 첫째마당: 양반과장 말뚝이가 양반의 무능력과 허세를 희롱하는 장면입니다. 양반탈의 수염은 권위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이것은 바로 힘없고 늙었다는 것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말뚝이 탈은 얼굴에젊음의상징인 여드름이 나 있고 양반들의 잘못을잘 보고 들으라는 의미에서 눈과 귀가 크게만들어졌습니다. 또한 양반들을강하게 혼내주라는 뜻에서 입이 무섭게 귀밑까지올라가 있습니다. 능력도 없으면서 양반행세를 하는냐약한 양반들을 꾸짖는 양반과장은 탈놀음 중에서 가장 중심적인 마당입니다. 2. 둘째마당: 영노과장 반은 사람이고 반은 짐승인 영노가 나타나 수양반을 잡아 먹는 장면입니다. 영노는 영남지방에서만 나오는 상상의 동물로, 양반 백 명을 잡아먹으면 하늘로 올라간다고 합니다. 양반은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비굴하게 굴다가 결국 영노에게 잡아먹히고 마는 내용으로, 무능력한 양반행세가 아니라 사람의 됨됨이와 행실이 중요하다는 의미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5. 3.셋째마당: 할미*영감과장 영감과 본처인 할미 그리고 첩인 제대각시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표현한 장면 입니다. 영감과 첩이 노는 것을 보고 할미가 질투를 하자 영감이 재산을 잃고 아들도 잃게 한 것을 핑계로 할미를 발로 차 죽입니다. 넉넉지 못한 살림에 첩까지 얻어 본처를 학대하는 장면은 가부장적인 가족제도를보여주는 것입니다. 결국 패가망신하여 영감 자신도 처량하게 되었 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넷째마당; 사자무과장 사자가 담비를 잡아먹고 춤을 추는 장면으로, 대화가 없는 무언극입니다. 수영야류 중에서 가장 큰 사자탈은 세 사람이 서로 호흡을 맟춰 춤을 춰야합니다. 수영지방에는 호암이란 바위가 있는데 이는 호랑이로부터 마을을 보호한다는 의미로 사자탈을 쓰고 놀았다고 합니다. 또한 수영 동남쪽에 백산 이라는 산이 있는데 모양새가 마치 마을을 등지고 달아나는 사자의 모습과 비슷하여 그 사자신을 위로하기 위해 담비를 제물로 제사지내는 내용으로 꾸민 것이라고 합니다.

  6. 수영야류에나오는 각 탈의 이름을 알아봅시다. 수영야류에 나오는 탈의 이름을 적어 봅시다. ( ) 수양반( ) 영감 ( )( ) 담비 ( ) 종가양반

  7. 잠깐, 다시 한번 생각해볼까요? 수영야류는 부산 수영에서 전승되고 있는 탈놀음을 중심으로 한 민속놀이 입니다.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제사의 과정이 탈놀음과 함께 이루어지며 모든 마을 사람들이 참여하는 대동놀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지닙니다. 수영야류에나오는 각 마당의 이름을 적어 보세요 첫째마당: 둘째마당: 셋째마당: 넷째마당: 내가 만든 탈을 그려 보세요.

  8. 내가 만든 탈로 탈놀음을 해볼까나? 다음은 둘째 마당인 영노과장의 대화 장면의 일부분입니다. 대화를 읽어 보고 나도 탈을 쓰고 탈놀이 한다고 생각해 보고 대화문을 적어 봅시다. <대화 장면의 일부분> 양반 : 니가 무엇을 하는 물건인고? 영노: 내가 날물에날잡아 잡아먹고 들물에들잡아 잡아먹고 양반 아흔 아홉을 잡아먹고 하나만 더 잡아 먹으면 득천을 한다. 양반 : (놀라 떨며) 내가 양반이 아니다. 영노 : 양반 아니라도 먹는다. 양반 : 내가 쇠뭉치다. 영노 : 쇠뭉치는 쫀득쫀득 더 잘 먹는다. 양반 : 내가 그림자다. 영노 : 그림자는 거침없이 훌훌 더 잘 넘어간다. 양반 : (한참 생각하다가) 니가 제일 무서워하는 것이 뭐노? 영노 : 참양반이 호령하면 물러가겠다. 양반 : 옳지! 우리 고조할아버지는 영의정이고 우리 증조할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냈고 우리 조부님은 병조판서를 지냈고 우리 아버지는 부마도위요, 나는 한림학사를 지냈으니 나야말로 참양반이로다. 이놈 영노야~ 썩 물러가거라. 영노 : 옳지~ 그런 양반을 잡아먹어야 득천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