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836 Views
발표를 잘하는 방법. 한국과학기술원 VLSI Systems 연구실 배영돈 99 년 10 월 5 일. 왜 발표를 못하는가 ?. 발표 잘하는 방법은 알고있다 자신의 문제점을 모른다 청중의 반응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 새로운 시도 ( 고정관념의 파괴 , 사고의 전환 ) 간결한 표현 청중반응을 통한 자신의 문제 파악 / 개선 한번 얻은 기술은 쉽게 잊혀지지않는다. 발표내용의 결정. 전달하려는 것 ( 주제 , Theme) 을 먼저 결정한다
E N D
발표를 잘하는 방법 한국과학기술원 VLSI Systems 연구실 배영돈 99년 10월 5일
왜 발표를 못하는가? • 발표 잘하는 방법은 알고있다 • 자신의 문제점을 모른다 • 청중의 반응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 • 새로운 시도(고정관념의 파괴, 사고의 전환) • 간결한 표현 • 청중반응을 통한 자신의 문제 파악/개선 • 한번 얻은 기술은 쉽게 잊혀지지않는다
발표내용의 결정 • 전달하려는 것(주제, Theme)을 먼저 결정한다 • 성격(설명, 의미, 아이디어)을 분명히 • 청중이 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 자세한 설명, 간략한 내용 및 비교 평가 • 문제점 및 대안 제시, 주장과 근거, 정량적인 자료 청중이 원하는 것 전달하려는 것 발표내용의 결정 물리적인 환경(시간)
발표자료의 준비 • 발표자료를 만들기전에 시나리오 구성 • 발표자료는 자기가 한일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다 • 자신이 힘들었던 일¹가치있는 일 • 청중과의 공감대 형성 (도입부) • 피상적인 내용보다 주제에 의한 전개 • 결론은 정리가 아니라 강조 • 발표자료의 의미 • 시각적인 강조 및 정리 • 이해를 돕는 그림
발표자료의 준비시 유의할 점 (1) • 내용의 과감한 정리 • 넣을까 말까 망설여지는 내용 삭제 • 잘 모르는 내용 삭제 • 반복되는 내용 삭제 • 잘안보이는 그림 삭제 • 형식적으로 넣는 그림 삭제 • 문장은 짧게 • 슬라이드 한장의 내용이 많아지면 여러장으로
A B C 중요한 데이터 highlight & 의미의 해석 E 0.01 0.02 0.03 F 0.01 0.02 0.03 G 0.01 0.02 0.03 H 0.01 0.02 0.03 I 0.01 0.02 0.03 J 0.01 0.02 0.03 발표자료의 준비시 유의할 점 (2) • 치밀한 준비 • 지시대명사가 없는 발표(충분한 자료, 정량적인 자료) • 복잡한 그림(표,그래프)은 사용하지 않는다. (꼭 필요한 경우 highlight 처리) • 청중의 질문을 예측하자
발표시 주의사항 • 버릇 • 헛기침 • 손동작 • 말끝흐리기 • 포인터 흔들기(필요할 때만 잠시 켠다) • 청중의 반응을 살핀다 • 주제를 벗어나지 않는다(즉흥적인 발표) • 넘어갈때는 확실히 넘어간다 • 질문은 끝까지 듣고 이해한뒤 대답한다
잘못된 사례 분석 (1) • 10분분량의 논문 발표 • outline • 서론 (과학기술의 발전…) • 지나치게 자세한 내용 발표(일반적인 내용, 수식/그림 설명) • 발표내용의 핵심 없음 • 객관적 평가 없음 • 필요없는 자료(시뮬레이션 파형, 측정 파형) • 피상적인 결과 요약 • 발표시간 초과
잘못된 사례 분석 (2) • 보다 바람직한 예 (청중의 생각을 예측) • 무엇을 했는가 요약 • 기존의 연구와의 차이점 부각 • 중심이 되는 아이디어 설명 • 정량적인 결과 • 결론 및 주장
잘못된 고정관념 • 같은 시간이면 많은 내용을? • 많은 내용은 오히려 핵심을 가리게 됨 • 리허설을 하면 발표를 잘 할 수 있다? • 리허설은 발표자료를 외우는 것이 아니다 • 스스로 청중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질문해본다 • 리허설 후 발표 내용 및 자료를 개선한다 • 발표는 하면 할 수록 개선된다? • 노력이 없으면 같은 잘못을 끝없이 반복한다
어떻게해야 잘 할 수 있나? • 각자의 ‘고쳐야할 점’ list를 만든다 • step by step으로 개선한다 • 발표할 때마다 자신의 문제점을 찾아낸다 예1) 이번발표에서는 내가 알고있는 개념을 얼마나 쉽게 표현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자 예2) 청중이 어떤질문을 할것인가 예측할 수 있나를 알아보자 • 최선을 다해야만 발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