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시각탐색에서 음영에 의한 3 차원 정보와 타원 방위의 역할

시각탐색에서 음영에 의한 3 차원 정보와 타원 방위의 역할. 남종호 · 차지선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사선 효과 (Oblique Effect). 다른 어떤 방위보다도 수직 / 수평 방위에 대한 민감도가 높음 연구 결과들 수직 / 수평 방위에 반응하는 신경원이 더 많음 (DeValois, R. L., Yund, E. W., & Helper, N., 1982).

Download Presentation

시각탐색에서 음영에 의한 3 차원 정보와 타원 방위의 역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시각탐색에서 음영에 의한 3차원 정보와 타원 방위의 역할 남종호·차지선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2. 사선 효과(Oblique Effect) • 다른 어떤 방위보다도 수직/수평 방위에 대한 민감도가 높음 • 연구 결과들 • 수직/수평 방위에 반응하는 신경원이 더 많음 (DeValois, R. L., Yund, E. W., & Helper, N., 1982). • 비율적으로 시각 피질에서 더 넓은 공간을 차지 (Coppola, D. M., White, L. E., Fitzpatrick, D., & Purves, D., 1998). • 그리고

  3. 수직/수평 방위에 대한 높은 민감도(행동 측정)와 높은 반응(fMRI 측정) (Furmanski, C. & Engel, S., 2000).

  4. 연구목적 • 차지선·남종호(2004) • 수직 표적@수평 배경 조건이 반대 조건보다 빠른 탐색시간을 보임

  5. 오목 표적@볼록 배경 조건이 반대 조건보다 빠른 탐색시간을 보임

  6. 수직 표적에 대한 빠른 탐색 • 수평 배경 자극의 빠른 집단화의 결과로 생긴 것인가? • 수직 표적 자극 자체가 빠르게 탐지되는가? • 오목/볼록 자극의 경우 집단화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음 • 배경 자극 수가 적은 경우(1, 2, 4) 볼록 표적에 대한 반응 시간이 오목 표적에 대한 반응 시간보다 짧음. • 배경 자극 수가 많은 경우(8, 16) 오목 표적에 대한 반응 시간이 볼록 표적에 대한 반응 시간보다 짧음. • 배경 자극 수가 많은 경우 볼록 자극의 집단화 과정이 강화

  7. Tomonaga(1998) • 침팬지에게 시각탐색과제 수행 훈련 • 빛이 ‘위’, ‘좌하단’, ‘우측’에서 들어오는 조건에서 다른 방향의 음영 원을 찾기 • 인간은 ‘위’ 조건에서, 침팬지는 ‘우측’ 조건에서 가장 빠른 수행을 보임

  8. 시각 탐색 과제에서 • 타원에 음영 정보를 결합 • 타원 방위와 음영 정보가 시각 탐색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 집단화가 잘되는 조건과 자연 장면과의 관계

  9. 방법 • 자극 • Tomonaga(1998)의 자극을 타원으로 변형 • 방위(가로/세로) • 음영(오목/볼록) • 표적 자극과 배경 자극 간의 관계 (방위 상이; 음영 상이; 방위 및 음영 상이) • 제시되는 자극 수(1, 2, 4, 8, 16) • 표적 자극의 존재 유무 • 실험참가자 • 가톨릭대학교 재학생 29명 • 정상시력 또는 교정된 정상시력 소유자 • 도구 • PowerMac G4 • 17”모니터 (가시화면 16”, 해상도 1024x768, 수직 주사율 85Hz) • 관찰 거리 60cm

  10. ②조건

  11. ⑪조건

  12. 결과

  13. 결과 • 볼록 자극의 수평 배경에서 수직 표적을 찾는 조건이 가장 빠른 수행을 보임 • 차지선과 남종호(2004) 실험 1과 일치하는 결과 • 수평 표적/배경 조건에서 오목 표적@볼록 배경이 볼록 표적@오목 배경보다 빠름 • 차지선과 남종호(2004) 실험 2와 일치하는 결과

  14. 음영 차원과 방위 차원이 중복 제시가 되어도 일관성 있는 이득이 보이지 않음 • 표적의 방위와 음영과의 삼원상호작용을 보임 • 수직 표적의 경우 수평 볼록 배경의 집단화 과정의 영향으로 해석됨 • 수평 표적의 경우 볼록 표적이 수직 오목 배경 속에서 쉽게 드러나는 것으로 보임

  15. 논의 • Kleffner & Ramachandran(1992) • 볼록 배경에 오목 찾기가 빠른 수행을 보임 • Tomonaga(1998) • 인간은 위에서 빛이 비추는 조건에서 수행 높음 • 음영이 가운데서 변할 때 타 방향에서 변할 때보다 수행이 높다

  16. 방위에 의한 표적/배경 자극의 차이가 탐색 시간을 크게 결정함 • 음영에 의한 3차원 정보가 빛이 위에서 비추는 장면을 구성하는 경우, 방위에 의한 표적 탐색을 용이하게 함 • 수평 배경이 볼록인 경우, 수직 표적 탐지가 빠름 • 수평 표적이 오목인 경우 탐색 시간의 변동이 가장 적음 • 배경의 변화에 따른 반응시간 차이가 가장 적음 • 수평/볼록 배경자극이 집단화가 잘 되는 이유가 자연 장면에서의 경험 때문인가?

  17. 수평 오목 표적 수평 볼록 배경

  18. Ramachandran(1988) • 자연 상태에서 생존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음영 구성 • 역음영(countershading)

  19. 참치

  20. 감사합니다

  21. 결과 • 표적음영[F(1,28) = 5.814, MSE = 65489.173, p<.05] • 표적방위[F(1,28) = 9.142, MSE = 68595.911, p<.005], • 표배관계[F(2,56) = 86.393, MSE = 149063.344, p<.001], • 배경자극 수[F(4,112) = 80.937, MSE = 18832.898, p<.001], • 목표유무[F(1,28) = 106.873, MSE = 43289.259, p<.001] • 표적음영×표배관계[F(2,56) = 20.831, MSE = 59300.045, p<.001], • 표적방위×표배관계[F(2,56) = 3.275, MSE = 24427.379, p<.05], • 표적음영×배경자극수[F(4,112) = 6.412, MSE = 8403.965, p<.001], • 표배관계×배경자극수[F(8,224) = 53.154, MSE = 13576.736, p<.001], • 표적방위×목표유무[F(1,28) = 9.180, MSE = 6048.000, p<.005], • 표배관계×목표유무[F(2,56) = 38.999, MSE = 18443.699, p<.001], • 배경자극수×목표유무[F(4,112) = 33.269, MSE = 7014.692, p<.001]

  22. 표적음영×표배관계×배경자극수[F(2,56) = 5.742 , MSE = 76714.267, p<.005], • 표적음영×표적방위×표배관계[F(8,224) = 7.137 , MSE = 7490.134, p<.001], • 표적음영×배경자극수×목표유무[F(4,112) = 2.707 , MSE = 3946.067, p<.05], • 표적방위×배경자극수×목표유무[F(4,112) = 3.112 , MSE = 2407.167, p<.05], • 표배관계×배경자극수×목표유무[F(8,112) = 26.628 , MSE = 5828.287, p<.001] • 표적음영×표적방위×배경자극수×목표유무[F(4,112) = 2.847 , MSE = 3439.906, p<.05], • 표적방위×표배관계×배경자극수×목표유무[F(8,112) = 2.173 , MSE = 4072.515, p<.05] • 표적음영×표적방위×표배관계×배경자극수×목표유무[F(8,112) = 1.978 , MSE = 3056.749, p<.05]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