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likes | 1.14k Views
아프리카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2011. 12. 해외건설협회 가나지부. 목 차. I. 아프리카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II. 가나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1. 아프리카 개황 2. 아프리카 경제 동향 및 전망 3. 아프리카 긍정적 투자 전망 요인 4. 아프리카 직면 주요 문제점 5. 주요 경쟁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6. 한국 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 7. 아프리카 진출전략. 1. 가나 일반개황 2. 가나 경제 동향 및 전망
E N D
아프리카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2011. 12 해외건설협회 가나지부
목 차 • I. 아프리카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 II. 가나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1. 아프리카 개황 2. 아프리카 경제 동향 및 전망 3. 아프리카 긍정적 투자 전망 요인 4. 아프리카 직면 주요 문제점 5. 주요 경쟁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6. 한국 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 7. 아프리카 진출전략 1. 가나 일반개황 2. 가나 경제 동향 및 전망 3. 가나 건설시장 현황 및 특징 4. 진출 유망분야, 진출전략 및 진출시 유의사항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가나 프로젝트 수주현황 - 연도별 가나 프로젝트 수주현황 - 기업별 가나 프로젝트 수주현황 - 가나 시공중 프로젝트 현황 - 가나 수주활동중 프로젝트 현황 - 가나 프로젝트 수주전망
1. 아프리카 개황(북아프리카 포함) 면 적 30,221,532 Km2(지구 육지의 1/5) * 사하라 이남: 23,585,374 Km2(아프리카의 78%) 국가수 54개(사하라 이남 국가: 47개) 약 10억명(전 세계 인구의 약 15%) * 사하라 이남: 약 8억 6천만명(아프리카의 86%) 인 구 종 교 유입 종교와 토착신앙 혼재 - 북부: 이슬람교 강세 - 동부ㆍ중부ㆍ남부: 기독교 강세 - 서부 : 이슬람교가 다소 우세 2천여개 종족 언어와 구 식민지국 언어 (영어/불어/포르투갈어) 혼재 - 영어권 국가: 남아공, 나이지리아, 케냐, 가나 등 언 어
1. 아프리카 개황(북아프리카 포함) 주요 자원 광물 - 백금: 전 세계 매장량의 90%(남아공 등) - 망간: 전 세계 매장량의 80%(남아공, 가봉 등) - 코발트: 전 세계 매장량의 75%(DR콩고, 잠비아, 코트디봐르 등) - 다이아몬드: 전 세계 매장량의 60%(보츠와나, 나미비아, DR콩고 등) - 우라늄: 전 세계 매장량의 약 22.8%(남아공, 나미비아, 니제르 등) - 니켈: 전 세계 매장량의 약 9.2%(마다가스카르, 코트디봐르, 보츠와나 등) 에너지 - 석유 매장량(‘08): 1,250억 배럴(북아프리카 포함) (전 세계 매장량의 10%) * 리비아(415억 배럴), 나이지리아(362억 배럴), 알제리(123억 배럴), 수단(66억 배럴) 등 -가스 매장량(‘08): 14.7조cm(북아프리카 포함) (전 세계 매장량의 8%) * 나이지리아(187Tcf), 알제리(160Tcf), 리비아(53Tcf), 앙골라(9.5Tcf), 적도기니(7.7Tcf) 등
2. 아프리카 경제 동향 및 전망 경제 지속 성장 전망되고 외국인 투자 계속 증가 기대되나 물가 상승이 우려 됨 • ○ GDP 성장률(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5.1%(2011예상) → 5.8%(2012전망) • 가나, 이디오피아 등의 저소득 국가가 견인하고 나이지리아 및 앙골라 등의 주요 석유 수출국이 지지 • ※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 3.1%(2011) → 3.5%(2012예상) * UN 전망 • ○ GDP 규모(북아프리카 포함): 16조불(2010)에서 향후 10년내 약 63% 증가 26조불로 전망 • * 미정부기관 밀레니엄챌린지(MCC) 전망 • ○ 물가상승: 5-20%대 • 국제적 상품가격 인상 및 기후변화 따른 농산물 감소 등이 물가 상승 요인
2. 아프리카 경제 동향 및 전망 • ○ 중산층수(연간 3,900불 이상 소득 개인) 증가 • 1억 1,100만 명(1980)(전체 인구의 26%) → 1억 9,600만 명(2010)(전체 인구의 27.2%)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 ○ 외국인 직접투자액 증가 • 90억불(2000) → 620억불(2008) → 840억불(2010) → 1,500억불(2015전망) • *밀레니엄챌린지(MCC), 언스트앤영(E&Y) (단위:억불) <외국인 직접투자액>
3. 아프리카 긍정적 투자 전망 요인 • ○ 지속적인 경제 성장세 • 경제성장률: 4.5%(2010) → 5.1%(2011) → 5.8%(2012) • ※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 3.1%(2011) → 3.5%(2012) • GDP 규모: 1.6조 불(2008) → 2.6조 불(2020) 긍정적 POSITIVE <경제 성장률> (단위: 조불) <GDP 규모>
3. 아프리카 긍정적 투자 전망 요인 • ○ 꾸준한 자본 및 투자 유입 증가세 • 자본 유입액: 358억불(2009) → 411억불(2010) → 485억불(2011전망)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외국인 직접투자액: 90억불(2000) → 620억불(2008) → 1,500억불(2015전망) 긍정적 POSITIVE (단위:억불) (단위:억불) <SSA 자본유입액> <외국인 직접투자액>
3. 아프리카 긍정적 투자 전망 요인 • ○ 풍부한 천연자원 매장량 • 석유: 1,250억 배럴(전 세계 매장량의 약 10%) • 천연가스: 14.7조 cm(전 세계 매장량의 약 8%) • 기타 각종 광물자원(금, 보크사이트, 우라늄, 구리, 철광석 등) 풍부 긍정적 POSITIVE • ○ 지속적인 인구 및 중산층 증가세 • 인구: 약 10억 명(2010)(전 세계의 약 15%) → 약 14억 명(2025 )(전 세계의 약 17%) • 중산층 인구: 약 1억 1,100만 명(1980) → 1억 5,140만 명(1990) → 1억 9,600만 명(2010)
3. 아프리카 긍정적 투자 전망 요인 긍정적 • ▶ 투자 관심도 및 관심분야 • * 언스트앤영(E&Y)이 향후 10년간 지역 투자 관련 전 세계 사업가 562명 대상 조사 • 관심도: 조사대상의 42%가 아프리카 투자 고려 • 관심분야: 광물자원, 건설, 소비재 상품, 통신, 금융서비스 등 POSITIVE
4. 아프리카 직면 주요 문제점 문제점 • ○ 자원의존적 경제구조로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의 대외여건에 취약 • 제조산업의 미발달로 인해 각종 공산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 RISK • ○ 원조 및 투자 의존적 재정구조로 자체투자에 한계가있음 • OECD 개발원조위원회의 총 원조액(1,044억불)(2008)의 38%(399억불)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지원됨
4. 아프리카 직면 주요 문제점 문제점 • ○ 경제 성장 및 산업 발전의 장애요인인 열악한 인프라 • 도로, 철도 등의 교통망 연결 취약: 경제 성장 및 지역 발전 주요 저해 요인 • 기타전기, 물 부문 시설 부족: 경제 성장 및 민생 안정 저해 • - 전력 사용인구 비중: 24%(개발도상국: 58%) • - 하수시설 비중: 65%(개발도상국: 82%) • - 상수: 3억 명 정도가 안전한 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 • 매년 930억불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아프리카 인프라는 매우 열악 RISK
4. 아프리카 직면 주요 문제점 문제점 • ○ 개선되고 있는 추세지만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받는 내전 등의 사회불안 및 부정부패 • 부패인식지수 아프리카 국가 순위: 소말리아(178위), 수단(172위), • 차드(171위), 부룬디 (170위), 적도기니(168위), 앙골라(168위), • 기니아(164위), 나이지리아(134위), 세네갈(105 위) 등 • * 국제투명성기구 178개국 조사(2010) • ○ 외국인 방문을 꺼리게 하는 치안불안 및 풍토병(말라리아, 황열병 등) • 말라리아로 매일 3천 명, 연간 100만 명 사망 • 가나(2011 상반기): 495명 사망(같은 기간 병사자의 약 15%) RISK
4. 아프리카 직면 주요 문제점 문제점 • ○ 외국기업 진출의 장애요인인 제도의 미비 및 비전산화 • 세무제도, 기업등록 제도, 부동산 취득제도, 비전산화로 인한 서류 분실 및 위조 등 • ○협력 가능한 일정 수준 이상의 현지기업 부족 • 대부분 건설기업이 소수 인력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금난 등으로 어려움 직면 RISK
4. 아프리카 직면 주요 문제점 문제점 • ○ 현지 노동력의 경험 및 기술력 부족 • 농업 및 서비스업 중심 산업 구조, 일자리 부족 등으로 기술인력 취약 • ○ 사업계획 수립, 사업타당성 검토 등을 위해 필요한 관련 정보 및 자료의 부족 • ○ 높은 극빈층 인구 비중: 41%(사하라 이남)(2008) • 남아시아: 31%, 동아시아: 9% RISK
5. 주요 경쟁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 중국 평 가 자국 경제 및 산업 발전에 필요한 자원 확보 및 외교관계 강화 위해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지원 및 지원규모 확대 진출전략 중국 정부가 차관 지원 및 외교관계 강화 통해 기업 진출 뒷받침 - 중아협력포럼(2009)에서 2013년까지 아프리카에 100억불 추가 지원 발표 - 중국 정부 대가나 130억불 차관지원 협정 체결(2010.9) 등 진출분야 광물 및 에너지, 도로 및 철도, 항만, 댐, 발전소, 정유소, 산업단지 등 광범위 중국기업의 강점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오랜 진출 역사(70년 이상), 재원 조달 능력, 저렴한 코스트, 신속한 시공능력 등
5. 주요 경쟁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 일본 평 가 아프리카 진출에 있어 중국에 열세이며, 그동안 진출에 소극적이었음 진출전략 국영 광물자원기구(JOGMEC) 통한 진출 추진 현지 기업 또는 자국 기업(상사 등)과의 합작 진출 추진 진출분야 광물, 철도 및 발전소 등 인프라 개발 등 - 건설장비 회사인 고마츠 제외 일본 건설관련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거의 전무한 실정
5. 주요 경쟁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 인도 평 가 오랜 아프리카 진출 역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중국과 비교하여 진출이 열세 강 점 100여년 전 식민지 시대부터 아프리카 진출, 경제 및 사회 등 다양한 분야 활동 활발 단 점 남아공, 케냐 등 일부 국가 중심 진출 진출전략 전통적 강세지역인 케냐를 아프리카 진출기반으로 활용 인프라 지원 통한 진출 확대 및 중국세에 대응 아프리카와의 경제협력 관계 강화 - 아프리카 개발프로그램 지원 위해 3년간(-2014) 50억불 무상원조 실시 아프리카 지역별 협력 강화 - 서부아프리카공동체(ECOWAS)와 협력강화 MOU 체결(2011.5) 진출분야 발전소, 빌딩, 도로 및 철도, 금융, 제조시설 등
5. 주요 경쟁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 브라질 평 가 최근의 높은 경제성장세를 기반을 한 아프리카 진출 확대 모색 강 점 과거 식민지 시대 아프리카 노예의 주요 송출지로서의 역사적 연관성 진출전략 과거 식민지 시대의 노예문제 관련 참회 위한 경제 협력 및 지원 표명 통한 진출 국가 정상 모임 통한 진출기반 강화 - 룰라 전 대통령: 중남미-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2006.11, 아부자) 주도적 역할 담당(집권 기간 5회에 걸쳐 17개국 방문) 자국의 세계적 광물회사 통한 지원 및 협력 확대 - 발레(Vale): 아프리카 3대 구리 생산회사 도약 위해 5년간 350억불 투자 추진 진출분야 광물, 바이오 연료, 도로 등
6. 한국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2011.10말 기준) • ○ 수주 누계액: 111개사, 353건, 약 145억불 • →전체 수주액(4,627억불)의0.4% 불과 • 중동이 전체 수주액의 약 60%(2800억불) 점유 • ○ 국가별 수주현황 • 나이지리아: 23개사, 82건,약 82억불(아프리카 전체의 57% 점유) • 가나: 19개사, 33건, 약 21억불 • 앙골라: 19개사, 88건, 약 17억불 • 적도기니: 6개사, 14건, 약 7.7억불 • 마다가스카르: 5개사, 6건, 약 3.8억불 <국가별 수주현황>
6. 한국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2011.10말 기준) • ○ 수주 누계액: 111개사, 353건, 약 145억불 • →전체 수주액(4,627억불)의0.4% 불과 • 중동이 전체 수주액의 약 60%(2800억불) 점유 • ○ 기업별 수주현황 • 대우건설: 68건, 55.7억불(아프리카 전체 수주액의 38%, 나이지리아 전체 수주액의 68% 점유) • 현대중: 5건, 26.2억불(나이지리아) • STX건설: 1건, 15.2억불(가나)(가나 전체 수주액의 72% 점유) • 남광토건:9건, 12.6억불 • 경남기업: 35건, 10.9억불 • 현대엔: 10건, 6.4억불(적도기니(9건, 5.86억불) 전체 수주액의 76% 점유) <기업별 수주현황>
6. 한국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2011.10말 기준) • ○ 최근 5년간 연도별 수주현황 • →최초 진출:1974.8, 두산건설, 나이지리아 유리용광로 공사(14만불) • →최근 연도별 수주현황 • 2011: 47개사, 17개국, 44건, 9.48억불 • 2010: 32개사, 16개국, 39건, 24.5억불 • 2009: 30개사, 11개국, 25건, 12.1억불 • 2008: 38개사, 14개국, 37건, 15억불 • 2007: 26개사, 11개국, 37건, 16.9억불 • * 최근 5년간 수주액(약 78억불)이 아프리카 전체 수주액의 약 54% 점유 <최근 연도별 수주현황>
6. 한국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2011.10말 기준) ○ 최근 5년간 공종별 수주현황 →산업설비 점유율이 약 48%(37억불)로 가장 높으나 상대적으로 건축(31%)(전세계 14.3%), 용역 (3.2%)(전세계 1.7%)의 점유율도 높은 편임 • 전세계공종별 점유율: 산업설비(70%), 건축(14.3%), 토목(12%), 전기통신(2%), 용역(1.7%) 등 (단위: 백만불)
6. 한국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2011.10말 기준) ○ 최근 5년간 공종별 수주현황 →산업설비 점유율이 약 48%(37억불)로 가장 높으나 상대적으로 건축(31%)(전세계 14.3%), 용역 (3.2%)(전세계 1.7%)의 점유율도 높은 편임 • 아프리카 공종별 점유율: 산업설비(48%), 건축(31%), 토목(17%), 전기통신(0.8%), 용역(3.2%) 등 (단위: 백만불)
6. 한국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2011.10말 기준) ○ 시공중 공사현황: 19개국, 66개사, 119건, 약 83억불 • 주요 시공중 공사현황
6. 한국해외건설 아프리카 진출현황(2011.10말 기준) ○ 최근 연도별 수주활동 현황 ※ 접수일 기준, 수의 및 개발 제외 (단위: 억불) <기간별 아프리카 수주활동 참여 프로젝트 규모> <기간별 아프리카 수주활동 참여사 및 프로젝트 수>
7. 아프리카 진출전략 투자 사업 적극 모색 및 추진 * 각국 정부는 재정 부족으로 인해 PPP 및 BOT 사업 추진에 매우 의욕적인 실정임 현지 유력 민간부문과의 합작사업 적극 추진 자원 매장량이 풍부하거나 정치 및 사회가 안정된 국가 중심 진출 국내외 동종 및 이종 기업간 합작 및 컨소시엄 구성 통한 협력 진출 국내 동종 기업간 불필요한 경쟁 회피
7. 아프리카 진출전략 중국 건설기업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특화된 전략 수립 필요 한국 및 일본 종합상사와의 협력 방안 적극 강구 리스크 회피 가능한 적정규모 사업부터 시작, 사업환경 이해 및 시공 경험 축적 중요 투자대상 사업 발굴 시 신속한 투자 등 실질적인 대응 필요 단기적 성과 도출이 아닌 장기비전에 입각한 진출전략 수립 및 인내력 필요
1. 가나 일반개황 정식국명 가나 (Republic of Ghana) 일반사항 수 도 : 아크라(Accra)(인구: 약 200만명) 인 구 : 2,400만명(‘10) 면 적 : 238,539㎢(한반도 크기) 민 족 : 아칸(Akan)족, 에웨(Ewe)족 등 종 교 : 기독교(69%), 회교(16%) 언 어 : 영어(공용어, 70%), 튀(Twi)어, 판티(Fante)어 독립일 : 1957. 3. 6 (영국) 정치현황 정부형태 : 공화제(대통령 중심제) 대 통 령 : 아타밀스(John Evans Atta-Mills)(’09.1.7 취임) * 2012.12 대선 집권 NDC 후보 재출마 확정 상태 주요자원 금, 코코아, 석유, 목재, 보크사이트 등 * 아프리카 2대 금, 세계 2위 코코아 생산국으로 전체 수출액(35억불)(2009)의 약 70% 차지
2. 가나 경제 동향 및 전망 • ○경제성장률 하락 전망에도 불구 여전히 높은 수준 유지 • 경제성장률: 7.7%(2010) → 13.6%(2011)(예상) → 9.4%(2012)(전망) • 명목 GDP(2011): 약 380억불 • 1인당 GDP(2011): 약 1,500불 • ○과다한 공공부채에 대한 우려감 확대 • 공공부채 규모: GDP의 약 40%(약 150억불) • * 외환보유액: 약 50억불(2011.11) • ○ 하향 안정 추세이지만 여전히 높은 물가 • 물가상승률: 18.1%(2008) → 8.4%(2011.9) → 8.7%-9%대(2012)(전망) <경제성장률/물가상승률>
2. 가나 경제 동향 및 전망 • ○현지화 가치 하락세 • 달러화대비 세디화 환율: GHc1.441(2010.11) → GHc1.605(2011.11) • ○석유 생산량 목표치 대비 미달 • 서부 해상 쥬빌리 유전: 매장량 약 18억 배럴(2010.12 생산 개시, 가나측 지분 약 14%) • - 석유 생산량(2011.10): 8만 배럴/일 (* 당초 예상 석유 생산량: 12만 배럴/일) • - 석유 수입(收入): 약 4억불(2011) → 약 8억불(2012) • ※ 기타 탐사 유정 포함 시 매장량: 30억 배럴 정도(추정) • * 나이지리아 360억 배럴, 앙골라 90억 배럴 <USD 대비 GHc 환율변동>
2. 가나 경제 동향 및 전망 • ○외국인 투자자 및 투자기업의 가나 고평가 요인 • 정치적 안정 • - 2000년 평화적 민선정부 권력 이양 • -2008.12 대선에서 야당에 평화적 정권 이양(당시 2차 투표 격차: 0.5% 불과) • 아프리카 타국에 비해 상대적인 치안 안정 • 고 경제성장세 지속 • 언어 수월성 • -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 • 다른 아프리카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성이 선량 등 • →서부 아프리카 진출 거점지역으로 고려
3. 가나 건설시장 현황 및 특징 • ○소규모 건설시장 • 건설시장 규모: GDP의 5-10%(20억-40억불)(추정) • ○소규모 영세기업 난립 • 보유장비 절대 부족, 소수 정직원 보유, 고이자율 등으로 인한 자금난 직면 등 • ○차관 의존적 공공 발주시장 • AfDB, World Bank, 프랑스개발청(AFD) 등 유럽 공공 개발협력기관 등 • - 도로, 송배전 시설, 물관련 시설 등 주로 지원 • ○ 기초 자재(시멘트, 철근, 골재 등) 제외한 대부분 건자재를 수입에 의존 • 무역수지: -67억불(2009)(수출액: 35억불, 수입액: 102억불) • - 만성적 무역수지 적자 국가
3. 가나 건설시장 현황 및 특징 • ○민관합작(PPP) 방식 프로젝트 추진에 적극적 • 재정적 여력이 작은 가나 정부는 경제 성장, 고용 창출 등 위해 PPP 적극 추진 • - 예산 지출규모(2011): 약 100억불(예상) • - 만성적 예산적자 상태 • ○중국 건설기업 진출 강세 • 정부간 우호적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한 중국기업 진출 강세 • -China Railway 등 중국 건설기업 약 20여 개사 진출 • - 중국정부, 가나와 130억불 차관 지원협정 체결(2010.9) • ○공공발주 및 차관지원 공사의 경우 수주경쟁 매우 치열 • 다수 중국 기업 외 일부 현지기업 및 레바논, 포르투갈 등 기업 입찰 적극 참여
4. 진출 유망부문, 진출전략 및 진출시 유의사항 • ○진출 유망부문 • 전력(발전 및 송배전) • - 2천MW의 발전시설 능력을 5천MW로 확대할 계획 • 물관련 사업(상수도 중심) • - 추후 하수부문도 적극 확충 예상 • 연료(가솔린, LPG 등) 저장탱크 • 빌딩(상업용 빌딩, 주상 복합빌딩, 아파트) 등
4. 진출 유망부문, 진출전략 및 진출시 유의사항 ○진출전략 투자사업 적극 모색 및 추진 * 정부가 재정 부족으로 PPP 및 BOT 사업 추진에 매우 적극적인 실정 현지 유력 민간부문과의 합작사업 적극 추진 국내외 동종 및 이종 기업간 합작 및 컨소시엄 구성 통한 협력 진출 국내 동종 기업간 불필요한 경쟁 회피
4. 진출 유망부문, 진출전략 및 진출시 유의사항 ○진출전략 중국 건설기업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전략 수립 필요 한국 및 일본 종합상사와의 협력 방안 적극 타진 리스크 회피 가능한 적정규모 사업부터 시작, 사업경험 축적 및 관행 이해 필요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비전에 입각한 진출전략 수립과 인내력을 갖고 사업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
4. 진출 유망부문, 진출전략 및 진출시 유의사항 • ○진출시 유의사항 • 기본적으로차관에 의존하고 또한 투자 유치에 적극적인 시장이라는 점 인식 필요 • 중국 기업의 진출 역사가 길고 진출이 활발하며, 중국 기업에 대한 반감이 의외로 크지 않음 • 일반적으로 사업자의 제안에 대해 가능하다고 답변하는 성향이 있음 • 협력협정을 복수 체결하는 경우가 많으며, FS 등이 진행되는 중에도 재원을 • 우선 지원하는 곳에 우선권 부여 • 사업제안 시 투자대책과 사업추진 계획을 사전 수립해 놓아야 사업이 지속가능성 있음
4. 진출 유망부문, 진출전략 및 진출시 유의사항 • ○진출시 유의사항 • 정부 발주공사의 경우 대금 미지불 가능성이 매우 큼 • 로컬컨텐츠를 강화하는 추세임 • 인프라, 특히 도로망이 열악하여 물류에 많은 문제가 있음 • 기본적으로 사업계획 수립 및 FS 등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 및 정보, 자료가 크게 부족함 • 대체적으로 현지인 노동력의 질이 많이 떨어지며, 노동에 대한 인식 및 업무를 • 대하는 태도에 문제가 있음 • 현지 파트너 선정 시 철저한 신용조사 필요 등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가나 프로젝트 수주현황(2011.10말 기준) • ○ 수주 누계액: 24개사, 34건, 21억불 • →전세계 수주액(4,624억불)의0.5% 점유 • 중동지역(북아프리카 포함):전체 수주액의 61%(2,833억불) 점유 • 아프리카: 전체 수주액의 3%에 불과 • →아프리카 전체 수주액(145억불)의 14%점유 • 나이지리아(82억불/아프리카 전체 수주액의 57%)에 이은 아프리카 2위 시장 <2011년 지역별 수주금액> <2011년 아프리카 국가별 수주금액>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연도별 가나 프로젝트 수주현황(2011.10말 기준) • ○ 최초 진출: 1989년 • →한국농어촌공사: 관개기술 지원사업(약 375만불) • ○ 연도별 수주현황 • 2010년 이후 수주액: 전체 수주액의 약 73% 점유 • 1999년 이전 수주액: 전체 수주액의 약 17% 점유 (단위: 백만불)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기업별 가나 프로젝트 수주현황(2011.10말 기준) ○ 기업별 수주현황 (단위: 백만불) <기업별 수주현황> <기업별 수주금액>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가나 시공중 프로젝트 현황(2011.10말 기준) ○ 시공중 공사현황: 2개사, 4건, 약 16억불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가나 수주활동중 프로젝트 현황(2011.10말 기준) ○ 수주활동중 공사현황 (단위: 백만불) ※ 수의 및 개발형 공사 제외 <기간별 가나 수주활동 참여 프로젝트 규모> <기간별 가나 수주활동 참여사 및 프로젝트 수>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가나 프로젝트 수주전망(2011.10말 기준) • ○ 2010년 이후 수주활동 활발 • 전체 수주활동 중 프로젝트(1990-2011.9말)의 53% 집중 밝음 THE PROSPECT IS BRIGHT 해외건설협회(www.icak.or.kr) 1976년 특별법(해외건설촉진법) 설립 법정단체 가나 주재원 파견(2010.4), 지부 개설(2010.6) 지부개설 주요 목적: 시장 다변화 위한 시장 정보 제공 및 기업 수주활동 지원 등 ※ 시장정보(프로젝트 포함): 월평균 약 35건 제공(2011.1-10) • ○ 출장 및 상담 기업 수 급증 • 월 평균 10개사, 13건(2011.1-10)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가나 프로젝트 수주전망(2011.10말 기준) 밝음 • ○ 한국 정부 금융지원 사업 확대 추세 • 국토해양부(해건협) 시장개척, 수은 EDCF 및 KOICA 무상금융 지원사업 등 THE PROSPECT IS BRIGHT • ○ 투자개발 프로젝트 관심 증대 • 주상 복합빌딩, 연료 저장시설, 항만 등 • ○ 한국 건설기업에 대한 호의적 평가 • 기술력, 사업 수행 및 관리 능력, 금융제공 능력 등
5. 한국 해외건설 가나 진출 현황 및 전망 - 가나 프로젝트 수주전망(2011.10말 기준) • ○ 유럽발 금융위기의 경제 악영향 지속 • 경제성장률 하락, 세디화 가치 하락, 물가 상승 등 예상변수 UNCERTAINTY • ○ 과다한 공공부채의 증가 • 예산지출 및 사업 축소, 기 수행 사업의 대금지불 지연 등 • ○ 석유 생산량 목표량대비 미달 지속 • 수입 감소 및 대외 신인도 하락 등 • ○ 2012말 예정 대선 과정의 혼란 및 예상 밖 결과 • 정치ㆍ사회적 혼란 및 정책의 일관성 결여, 외국인 투자 보류 및 감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