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likes | 265 Views
[ 사 내 한 ]. 주간 시장 전망. 본 자료는 Retail 영업 지원자료로 외부 유출을 제한한 사내용 자료입니다. 9 월 미국 소매판매 예상치는 상회했으나 1 분기 이후 둔화세 뚜렷. 중국 견조한 성장에도 , 버블 우려로 위안화 절상 더딜 듯 갈등 확대 가능성. 자료: Datastream,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Datastream, Bloomberg,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성장률 , 위안화 절상 압력 높일까 ?.
E N D
[ 사 내 한 ] 주간 시장 전망 본 자료는 Retail 영업 지원자료로 외부 유출을 제한한 사내용 자료입니다.
9월 미국 소매판매 예상치는 상회했으나 1분기 이후 둔화세 뚜렷 중국 견조한 성장에도, 버블 우려로 위안화 절상 더딜 듯 갈등 확대 가능성 자료: Datastream,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Datastream, Bloomberg,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성장률, 위안화 절상 압력 높일까? • 중국 3분기 성장률이 견조하다면, 아시아 통화 절상 압력은 확대될 듯 • 10월 금통위: 기준 금리 동결, 원화 강세는 지속: 환율 변동의 불확실성 언급 > 물가 급등(일시적) • 미국 9월 소비, 물가는 연준의 양적확대를 시사: 소매판매분기별증가 속도는 1분기 이후 현저히 둔화, 소비자물가 yoy +1.1% < 연준 목표 +2% • 水, 중국 성장 속도와 위안화 절상, 긴축 여부 확인 필요:3Q 성장 yoy +9.5%(2Q:10.3) 예상: 견조한 성장 = 위안화 절상 압력 • 중국 정부 위안화 절상시 ‘자산 버블 + 수출 둔화 ‘경계 갈등 지속 • 미국 9월 제조업 및 주택 지표, 경기 둔화 진행 중: 달러 약세 압력 • 月, 산업생산: mom +0.2% 예상(2Q+0.4%), 제조업 주도 회복력 약화/ 火, 주택착공: mom -3% 예상(8월+11%), 4Q 바닥권 통과 기대
중국 견조한 성장 여부에 따라 아시아 통화 변동성 확대될 수 있을 듯 글로벌 달러 약세 추세적인 변화는 당분간 기대하기 힘들 듯 자료: Bloomberg 자료: Bloomberg 주간 환율동향 및 전망 원/달러 환율 1111.4원 마감, 전주 대비 -8.9원, 7주간 하락 지속 - 연준의 추가 양적확대에 대한 기대로 달러 약세 압력 지속, 엔달러 81.45(역대 최저 79.75) 하락, 유로달러 1.398 -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동결했으나, 싱가폴 중앙은행은 인플레로 추가 절상을 용인: 전반적인 달러 약세 기조 유지 주간 환율 레인지 1,105~1,120원, 달러 약세에 따른 원화 강세 지속 예상 - 주말 버냉키 의장이 추가 양적확대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회피, 달러 약세 다소 조정될 여지를 남겨 - 그러나 주중 중국 경제 성장률이 견조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아시아 통화 강세 압력은 지속될 전망 - 주초 발표되는 미국 산업생산과 주택착공 지표 역시 완만한 경기 둔화를 예고할 것으로 보여, 달러 약세 추세를 되돌리지는 못할 듯
금통위 금리동결 후 금리 급락, 사상 최저치 미 양적완화 규모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에 장기금리 급등 자료: Bloomberg,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주간 금리동향 및 전망 양적완화 기대감과 금통위 이후 불확실성 제거는 채권시장에 우호적 금통위 금리 동결 후 금리 사상최저치로 급락 (국고3년 3.27% 3.05%) 주 초반, 정부가 외국인 채권이자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 재개를 검토하겠다는 소식에 금리 상승. 하지만 금통위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환율을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하자, 환율이 문제라면 단기간에 해결될 수 없어 연내 금리동결 기대 강화되며 금리 급락. 금요일 버냉키 연준 의장은 양적완화를 시사하긴 했지만, 얼마나 공격적으로 국채를 매입할 지에 대해서는 아직 고민 중이라며 한발 뒤로 물러선 모습. 당초 연준의 확실한 입장표명을 기대했던 시장은 연준의 조심스런 태도에 국채매입 규모가 5천억 달러 정도로 줄어들 수도 있다며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고 있음. 연준이 양적완화 규모를 줄이고 환율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나온다면, 빠르면 12월 한은이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 있음. 외국인 매수세에 금리가 더 떨어질 수는 있겠지만, 추가하락 룸이 얼마 남지 않은 이상 더 이상 욕심부릴 필요는 없다고 판단. 금주 국고3년 레인지 3.0~3.2% 전망
10년 4분기 신규 대출 여건은 양호할 전망 원자재 재고 감소 이후 4분기 수요 증가 가능성 자료: Thomson Reuters,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중국: 3Q GDP성장률 이후 숨고르기 예상 • 풍부한 유동성과 국경절 이후 원자재 수요 기대에 따른 거침없는 랠리 • 상해종합지수 6일 상승(+10.3% 원인은 ① 부동산 정책 불확실성 완화, ② 4Q 유동성 환경 개선 기대, ③ 3Q 실적과 4분기 원자재 수요 개선 기대 • 9월 신규 대출이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4분기 예상 신규 대출 규모는 절대 금액 및 전년 대비 측면에서 08년을 제외하면 04년 이후 최고 수준 전망 • 또한, 국경절 연휴 이후 원자재 수요는 그동안 재고 조정 이후 회복 국면으로 전환 전망, 소재주에 대한 관심 필요한 시점 • 금주 17기 5중전회 및 3분기 GDP성장률 발표 이후 급등에 따른 숨고르기 예상, 그러나 우상향의 주가 회복 시도는 이어질 전망
현물 외국인: PR 순매수 감소 추세 지속. 개별 종목 역시 순매도 반전 선물 외국인: 전매 1차 완료. 신규매도-환매 사이클? 아니면 신규매수 복귀? 자료: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외국인 현물 순매수 약화. 일시적인가? 구조적인가? • 현물 외국인, 차익 이어서 비차익 PR까지 순매수 약화. 개별 종목은 순매도 반전. 선물 외국인, 1찬 전매 완료 후 방향성 모색 • 지수 추세는 외국인 비차익 PR, 지수 사이클은 외국인 차익 PR에 의해 거의 설명 가능. 6월부터 시작된 지수 상승 국면의 주역은 외국인 PR 순매수 • 그러나, 차익 PR 순매수는 9/10, 비차익 PR 순매수는 9/30을 기점으로 모두 감소 반전. 대신에 개별 종목 순매수 늘었지만 역시 10/6 이후 급감 • 같은 상태 이어진다면 향후 지수 상승 탄력 둔화 불가피. 물론, 최근에는 일부 투신 중심으로 산발적 현물 순매수 유입되고 있으나 지속성은 의문 • 특히, 환율 재차 하락 반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본 현상 지속되고 있어 구조적 원인일 수도. 결국 조만간 지수 상승 국면에 변화 관찰 가능성 높은 편 • 한편, 선물 외국인의 연속 순매도는 지난 주 만기일 직전에 종료. 이는 기존에 누적한 신규매수가 청산 완료된 탓. 때문에 문제는 다음 방향 • 만일 신규매수-전매 사이클 재개된다면 미약한 차익 PR 순매수 유지되겠지만, 신규매도-전매 사이클 시작한다면 차익 PR 순매도 가능해 주의 요망
지난주 수급 동향 : 업종별 순매수 규모 단위 : 억원
비달러화 자산과 이머징에 대한 선호는 추세적 현상(EM Capital Inflow) 코스피 대형주 vs. 중소형주 멀티플 비교 자료: IIF,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Wisefn,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주식시장 전망 • 이번 주 전략은 전과동 • 이번 주 시장 재료나 전반적 흐름은 지난 주와 큰 차이가 없을 전망. 1,900선을 중심으로 한 등락 과정 예상 • 환율과 외국인의 매매가 여전히 시장의 핵심. 3분기 실적은 이번 주가 피크이나 실적 관심은 떨어져 • 시장과 외국인 매수의 정체기 : 대형주 < 중소형주, 주도주 < 소외주, 외국인 선호주 < 기관 선호주-> 중소형주 : 세아제강, 풍산홀딩스, LG상사 등-> 소외주 : 코오롱인더스트리, 삼영전자, 외환은행 등 -> 기관 선호주 : 심텍, 하림, 한라건설 등
10월 셋째주(10. 18~10. 22) 국내외 주요 경제부처 및 경제지표 발표 일정 국내10월 18일(월) ※임플란트·구강관리용품 국제표준화 논의- 2013년 국제표준화 총회 서울개최 ※‘10년 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석간) ※SW산업 대기업 참여하한제 예외 ‘명확화’- SW산업 진흥법 시행령 개정(석간) 10월 19일(화)※KDI 정책포럼 ‘국가간, 언론사간 인식 비교를 통해 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의 정체성 및 정책적 함의(조간) ※아프리카에 대규모 EDCF 지원을 통한 녹색원조(Green Aid) 개시(조간)※“당신이 진정한 글로벌 IT 리더입니다” - 20(수) 제1회 글로벌 IT CEO상 시상식 개최(조간) ※뿌리산업 IT융합기술지원단 발대식 - 19(화)14:30, 엑스코인터불고호텔(대구)※ASEAN 국가 대상 한국 녹색에너지 기술 전수 - FTA 경제협력사업으로 아세안대상 기술·표준 교육 실시(조간) 10월 20일(수) ※ESCO 산업 활성화방안 발표 - 공공임대아파트 ESCO 시범사업 협약 체결 ▶ 브리핑 : 20(수) 11:00, 제2차관(기자실)(조간) ※해외 기술규제 증가 추세 - 기표원, ‘10년 3/4분기 무역기술장벽 동향 발표 ※인도네시아·중국산 백상지 반덤핑 종료재심사 최종판정 - 제283차 무역위원회 개최(석간) 10월 21일(목)※공공기관의 부가가치 추정(한국조세 연구원)(배포시)※공공기관 민영화 및 출자회사 정리 추진현황(배포시) ※열사용기자재 제도개선 시행 - 보일러 등 안전사고 방지 및 에너지효율 제고 ※퇴직 전문인력, 中企 해외진출 현장 재투입 - 해외진출 전문인력 中企 채용 지원 사업 추진(조간) 10월 22일(금)▲장관 G20 재무장관회의<경주>※제15차 예산집행특별점검단회의 개최(배포시)※인도 엘리트 고위공무원단 연수과정 개최(25일 조간)10월 23일(토)▲장관 G20 재무장관회의<경주> 국외10월 18일 (월)2350 日 8월 3차산업활동지수0530 日 9월 전국/도쿄 백화점판매1300 美 8월 월간 해외자본수지(TIC)흐름1315 美 9월 산업생산/설비가동률1400 美 10월 NAHB 주택가격지수10월 19일 (화)0500 日 9월 철강생산0800 EU 8월 유로존 경상수지0900 EU 8월 건설지출1230 美 9월 신규주택착공2100 美 10월17일주간 ABC뉴스 소비자신뢰지수N/A 日 10월 월간 경제보고서N/A 日 8월 노동조사(최종)10월 20일 (수)0500 日 8월 기업환경지수0600 獨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1100 美 10월15일MBA 모기지금융협회 리파이낸싱지수1430 美 10월15일EIA 주간석유재고1800 美 연준(Fed) 베이지북10월 21일 (목)0430 日 8월 산업활동지수0800 EU 10월 유로존 PMI1230 美 10월16일주간 신규실업보험청구자수1400 美 10월 필라델피아연은 경기활동지수1400 美 9월 경기선행지수1400 美 10월9일 DJ-BTMU 경기지표 1430 美 10월15일EIA 주간천연가스재고2030 美 10월11일총통화10월 22일 (금)0800 獨 10월 Ifo 기업체감지수 0900 EU 2분기 국제수지(수정치)